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3/04 22:44:57
Name 醉翁之意不在酒
Subject [일반] 개그맨형 과학자와 UFO 그리고 타이타닉 (수정됨)
언젠가부터 과학을 대중들한테 접하기 쉽게 전파를 하는 과학자들이 활약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일반인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칼럼을 쓰고 책을 내고 렉쳐를 하고 다큐를 만들고 심지어 드라마에 나오기도 하죠. 칼 세이건부터 시작해서 리처드 도킨스, 미치오 카쿠, 브라이언 콕스 등등 과학계의 얼굴마담들이라고 할수있습니다. 첨에는 과학계에서 대중들한테 잘 보일려고 딴따라짓을 한다고 무시를 받기도 했지만 결국 냉전시대처럼 원하는대로 연구자금을 얻을수없게 된 오늘날 대중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을 키우는게 아주 중요한 과제가 되다보니 이 분들의 가치는 실제로 일선에서 연구를 하는 학자들보다 더 중요할지도 모릅니다. 그중 최고의 스타가 누구냐하면 닐 디그라스 타이슨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뉴욕천문대의 관장, 대중들의 천문학자, 코미디언 뺨치는 웃기는 흑인 아저씨, 과학계 넘버원 덕후 정말로 매력 넘치는 사람입니다. 시트콤 빅뱅이론에 나와서 이분의 업적?중 하나인 명왕성 퇴출로 까이기도 하고, 심지어 스타토크라는 유투브 프로로 에미상에 노미네이트 되기도 했구요. 이분의 렉쳐나 대담같은걸 보게 되면 과학자로서의 면모도 대단하지만 정말 예능감이 하늘을 뚫습니다. 예시로 영상을 두개 올립니다. 자막이 없어서 제가 대충 생략 의역해봤습니다.


잠깐만, 어디서부터 시작하죠? 일단 UFO에서 U가 무슨 뜻인지 상기시켜봐야 합니다. Unidentified! 뭔지 모른다는 말이라고, 뭔지 모르겠으니까 아마도 외계인일거다 이러는데, 뭔지 모른다고 했으면 거기서 끝났어야지. 뭔지 모르는데 왜 외계인의 비행접시라고 생각을 하는데. 내가 봤다라는 말만큼 의미없는게 없어요. 과학에서는 이게 가장 가치가 없는 증거에요. 어떻게 돼먹은건지 법정에선 가장 효력이 큰 증거이긴 한데말이죠. 거 아까 거기 초등학교 2학년 친구 어디갔어, 마이크 줘봐. 꼬마야 학교에서 그 놀이 해봤지 여러사람이 줄을 서서 한명한명 이야기를 다음 사람한테 해주는거. 그거 다 하니까 어떻게 됐어? (꼬마: 원본 이야기하고 완전 딴판이였어요.) 거봐요! 딴판이라잖아. 여기서는 목격증언이 아닌 이격증언인데 암튼 이렇다니까요. 우리한테 와서 내가 봤다고 얘기해봤자 소용없어요. 그냥 집 보낸다고. 담에 잡혀가면 이렇게 하세요. 누워있잖아, 비행선안에. 외계인들이 막 만지고, 그 왜 걔네 섹스실험같은거 좋아하잖아. 암튼 꾹 참다가 외계인이 돌아선 순간 아무거나 집어서 주머니에 넣어. 그리고 끝나고 돌아오면 우리한테 그걸 가져와. 재털이라도 좋아요. 생각해보세요. 은하계를 여행하는 친구들이야, 걔네가 만든 물건이면 무조건 엄청 재밌는걸거라고....중략...영화같은거 보면 그 외계인이 막 오면우리가 활주로에 불켜고 마중하고 그러잖아, 비행접시가 왜 활주로가 필요하냐고?!. 로즈웰같은건 말할 가치도 없어, 아니 무슨놈의 외계인이 은하여행을 해서 지구에 왔는데 착륙을 못해서 추락을 하냐고. 그런 얼간이 외계인이라면 난 안 만나, 그냥 집가라 그래!


(SF영화 좋아하냐? 아니면 옥의 티같은걸 보고 화나냐 라는 질문에)난 SF 좋아해요. 고증에 충실한다같은 마케팅만 아니면 난 설정을 받아들여. 스타 트렉에 그 뭐냐 빨간 약을 떨궈놓으면 행성이 블랙홀이 된다 이런것도 문제없다고. 내가 화나는건 타이타닉같은 경우에요. 역사고증을 철저하게 했다, 벽지에 도자기모양까지 어쩌고, 우리가 실물을 본것도 아니고 카메론이 그렇다면 그런가 해야지. 문제는 그 배가 침몰하잖아, 여주가 물에 떠서 하늘을 쳐다보는데, 우리는 날짜 시간 위도 경도 날씨 모든걸 알고있다고, 즉 그녀한테 보이는 하늘은 정해져있어. 근데 그게 틀렸단말이야. 심지어, 그 하늘은 반쪽을 복사해서 대칭으로 붙인거라고. 말이 안되지, 그래서 내가 카메론한테 메일을 보냈는데 씹혔어요. 그리고 한 5년 지나서 나사 무슨 이벤트에서 만났어요. 그래서 내가 그랬죠. 카메론씨 나 반드시 해야할 얘기 좀 있어요. 하늘 어쩌고 막 얘기했지. 그러니까 그건 후기제작 문제래요, 책임전가를 하더라고, 그래서 난 더 화났지. 그리고 또 좀 지나서 와이어드 매거진에서 그한테 무슨 상을 줬어, 근데 그 세레모니를 우리 천문대 홀에서 한다는거야. 하늘을 망쳐놓고 감히 내 구역에 오시겠다. 암튼 세레모니가 끝나고 만찬회가 있었는데, 와인 막 따르고 말이야. 내가 그랬어요. 짐 예전에 한번 물어본적 있는데, 아니 고증을 그렇게 철저하게 했다면서 왜 하늘은 검증을 안했어요? 50딸러짜리 소프트웨어만 사도 되는건데. 했더니 뭐라는지 알아? 타이타닉의 매출이 13억달러인데, 내가 그 하늘만 제대로 했더라면 훨씬 더 벌수 있는건데...아놔.....내가 깨깽했지.... 근데 두주일 지나서 누가 전화가 왔어. 제임스 카메론의 후기제작팀인데요. 타이타닉 10주년 기념판을 제작하는데 감독님이 당신한테 연락하면 정확한 하늘사진을 준다네요. 오예!(댄스 작렬) 그러니까 난 그거에요. 고증을 주장할거면 철저하게 고증을 하고 주장하는게 아니라면 난 문제없어요. 그리고 내가 싫어하는게 하나 있는데 원작충들이야. 원작이 더 좋아 어쩌고, 그럴거면 영화 보지마. 그냥 책 읽어라고, 이런 사람들 진짜 노답이라니까. 그냥 집가, 영화보지 말고. 후략....

여담으로 다른 인터뷰에서:
가오갤 보면 우주선들이 전투를 하는데 막 굉음이 들리고 그런다고 누가 지적하더라고. 그래 맞아, 우주에선 비명소리가 안 들리지. 근데 어쩌라고, 아니 난 말을 하는 너구리가 로켓을 쏴대면서 깽판을 치는걸 받아들였다고. 우주선이 소리가 나? 문제 없어요. 설정이 그건데.

쓰고 보니 재미없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3/04 22:55
수정 아이콘
힘들게 번역 해주신 덕분에 전 재밌게 읽었습니다. 과학관련 가벼운 글은 언제라도 환영이죠.
딱총새우
19/03/04 23:00
수정 아이콘
이분 넷플릭스 Beyond the curve라는 평평한 지구 주장하는 분들 다루는 프로그램에도 잠시 나오시죠. 마이크 떨구면서 크크크
홍승식
19/03/04 23:16
수정 아이콘
영상 안보고 글만 봐도 재밌네요. 흐흐흐
aDayInTheLife
19/03/04 23:31
수정 아이콘
칼 세이건 이후 가장 대중노출이 많은 과학자가 아닐까... 너무 유쾌하신 분이죠 크크
及時雨
19/03/04 23:59
수정 아이콘
저도 읽을 수 있는 과학책들은 늘 조와요 미치오 카쿠 책 재밌게 봤습니다
19/03/05 00:37
수정 아이콘
코스모스에서 처음 보고 엄근진한 성격인 줄 알았는데 그 외의 영상에선 전혀 아니더군요; 여담이지만 70년대말부터 90년대까지 유행했던 UFO는 이제 다 뻥으로 드러난 듯합니다. 외계인 해부 동영상을 공중파에서 분석하고 그랬는데...
醉翁之意不在酒
19/03/05 09:20
수정 아이콘
타이슨박사: (UFO)목격증언도 의미가 없을뿐만 아니라 요새는 사진을 가져와도 쉽게 믿을수 없어요, 포토샵에 UFO 아이콘이 있을걸요.
metaljet
19/03/05 11:29
수정 아이콘
어릴때는 UFO 사진전도 열리고 그랬었는데 아쉽게도 인류에게 카메라 달린 스마트폰이 보급되고 나자 외계인들은 지구 방문을 중단하기로 결정한듯 합니다.
-안군-
19/03/05 14:30
수정 아이콘
카메라 달린 스마트폰 때문에 많은 희귀종들이 멸종해버렸죠 ㅠㅠ
네시호의 괴물, 설인, 사스콰치, 빅풋... 그 외 수많은 미스터리 생물들... ㅠㅠ
관지림
19/03/05 00:43
수정 아이콘
너무 재밌네요
혹시 자막 나오는 영상은 없나요
이런거 너무 좋네요
몽키.D.루피
19/03/05 01:52
수정 아이콘
넷플릭스에 평평한 지구를 믿는 사람들에 대한 다큐가 있는데 이분을 거의 사탄교 교주쯤으로 생각하더군요 크크
19/03/05 03:27
수정 아이콘
타이슨 말 참 재미있게 잘 해요. 저도 좋아합니다.
醉翁之意不在酒
19/03/05 09:14
수정 아이콘
가끔 너무 몰입해서 남의 말을 가로채거나 그래서 동료과학자들한테 쿠사리 먹기도 하죠.
리처드 도킨스와의 대담때도 서브컬처에 완전 무지한 할아버지를 앉혀놓고 밑도 끝도 없이 코믹스관련 드립들을 쳐대니...
Zoya Yaschenko
19/03/05 09:22
수정 아이콘
감독님이 당신한테 연락하면 정확한 하늘사진을 준다네요. 크크크
이세환 기자님 이 정도는 해야 영업입니다.
19/03/05 12:05
수정 아이콘
우아아앙 영상이 필요합니다 영상이
꿈꾸는용
19/03/05 15:46
수정 아이콘
자기분야에서 일가를 이루었는데 말까지 잘하시는게 대단하죠.
별개로 타이타닉은 너무 사소한걸로 까시는게 아닌가 하는 흐흐
醉翁之意不在酒
19/03/05 16:36
수정 아이콘
그래서 예능인 다 됐다는거죠. 큭
저분이 SF영화들에 토다는 시리즈도 있는데 되게 재밌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672 [일반] [팝송] 위저 새 앨범 "Weezer(Black Album)" [8] 김치찌개7386 19/04/05 7386 0
80671 [일반]  쑨원, 런던 한복판에서 위기에 봉착했다가 구사일생하다 [7] 신불해14451 19/04/05 14451 60
80670 [일반] [스포]『꼭두각시 서커스』를 통해 본 인간의 의미 [23] 9907 19/04/05 9907 20
80668 [일반] 진보vs보수가 아닌, 계몽을 하려는 자들과 날을 세워야... [203] LanceloT13052 19/04/04 13052 13
80667 [일반] '속초 산불' 비상사태인데..靑 안보실장 잡고 안보내준 국회 [342] 한국화약주식회사31410 19/04/04 31410 22
80665 [일반] (10mb)고성 대형산불 강풍 타고 속초 시내 위협-8시 25분 주불 진화완료 [102] 카루오스18924 19/04/04 18924 2
80664 [일반] 샤잠 : DC의 아쉬운 시도(약스포,15mb) [11] 잠이온다8153 19/04/04 8153 1
80663 [일반] 한국(KOREA)형 주류모델 [79] 성상우9680 19/04/04 9680 13
80662 [일반] 의도가 선하면 뭐든지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진보적 광신도 [166] 마빠이14920 19/04/04 14920 35
80661 [일반] 버닝썬 윤 총경 靑 근무 추천 누가?…靑 “말할 수 없다” 답변 [58] ageofempires12547 19/04/04 12547 15
80660 [일반] 성차별, 성희롱 결백 증거를 가해자가 입증해야하는 법안이 발의되었습니다 [192] 푸른하늘은하수17855 19/04/04 17855 40
80659 [일반] 삼성전자 "박영선 후보자 남편이 삼성 소송 관여 한적 없다" 반박 - 제목 수정, 내용 추가 [64] Cafe_Seokguram12267 19/04/04 12267 8
80658 [일반] 방탄복과 방탄헬멧을 착용하는 둘레길 [92] 사악군14554 19/04/04 14554 17
80657 [일반] 日산케이 “韓 초등교과서 강제징용 피해자 사진은 허위” [19] 잰지흔11152 19/04/04 11152 5
80656 [일반] (이미지 다수) 심심한데 군사/공학적 직관력이나 테스트해보아요. [24] OrBef10637 19/04/04 10637 4
80655 [일반] 제주 4.3사건에서 수 많은 사람의 목숨을 구했던 유재흥 [30] 신불해14481 19/04/04 14481 42
80654 [일반] 눈팅하다가 흥미롭게 본 "혼인, 출산율의 감소 이유" "마케이누 대란" [265] 삭제됨27552 19/04/04 27552 24
80653 [일반] 빡빡한 면접을 보고 온 취준생의 하루... (장그래냐 한석율이냐) [44] 에리_911074 19/04/04 11074 17
80652 [일반] 2019년 보궐선거 결과 [109] giants15466 19/04/03 15466 9
80651 [일반] 최근 준비중인 선거구제 개편 어떻게 보시는지요? [50] 삭제됨9427 19/04/03 9427 2
80650 [일반] 정부가 예비타당성조사 개편안을 발표했습니다. [72] 아유10419 19/04/03 10419 5
80649 [일반] 청와대 행정관이 연봉5억의 금융권 상무로 갔네요 [114] 싶어요싶어요17085 19/04/03 17085 17
80648 [일반] 한국(KOREA)형 성공학모델(3) [31] 성상우8467 19/04/03 8467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