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2/20 22:07:45
Name 광개토태왕
File #1 KakaoTalk_20190220_215948793.jpg (196.8 KB), Download : 75
File #2 KakaoTalk_20190220_215949359.jpg (265.7 KB), Download : 7
Subject [일반] 직쏘퍼즐 노아의 방주 4000 피스 완성 했습니다 (수정됨)




https://pgr21.net/pb/pb.php?id=freedom&no=79920&divpage=16&sn=on&ss=on&sc=on&keyword=%EA%B4%91%EA%B0%9C%ED%86%A0%ED%83%9C%EC%99%95

1월 29일에 관련 글을 올린 적이 있었는데요.
2월 3일부터 시작해서 2월 17일, 정확히 2주 걸려서 4000 피스를 완성 하고 오늘 액자 작업을 완료 하였습니다.

근데 사실 이 퍼즐을 맞히면서 한가지 웃긴게 뭐냐면
퍼즐 조각 개수는 4000개로 나와 있길래 당연히 크기상 80*50 으로 생각을 했었는데
테두리 작업을 하고 보니 74*54 가 나오더라구요.
테두리 조각 개수가 256 피스 인줄 알았는데 252 피스 였습니다.
곱하니까 3996 이라는 숫자가 나오는데 즉, 실제 퍼즐 조각 개수는 3996개 입니다.
제조사마다 이렇게 실제 퍼즐 조각 개수가 원래 약간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나 봅니다.

액자 디자인은 그린은장 으로 하였는데 이 그림에서는 전체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색상이 초록색이라서 그린 색상으로 맞췄습니다.
맞추고 나니 정말 볼만한 그림이긴 하네요.
힌트가 곳곳에 많은 그림이라서 조각은 많았지만 되게 쉽게 맞출 수 있었습니다.
위 사진 처럼 올려도 퍼즐이 결합이 잘 되는거 같아서 결합력은 좋은거 같네요,

참, 이런 대형 퍼즐 맞힐 때 관련 팁 하나 알려드리자면 해외 퍼즐들은 표기 사이즈 대로 액자를 사버리면 절대로 안됩니다.
왜냐하면 해외 퍼즐들은 국산 퍼즐들과는 다르게 실측 사이즈와 표기 사이즈가 정확히 맞지 않는 경우가 일쌍 다반사라서요....
표기 사이즈는 86*118 cm로 나와 있는데 실측 사이즈는 저 사이즈보다 가로 세로 0.몇 cm씩 큽니다.
그래서 사전에 액자를 먼저 주문해버리면 절대로 안됩니다.
실측 사이즈를 정확히 측정한 후 그 사이즈에 딱 맞춰서 반드시 커스텀 주문으로 해야 낭패를 안 봅니다.
사이즈를 재보니 86.8*118.6 cm 가 나오더라구요.
반드시 실측 사이즈로 액자 주문을 해야 퍼즐을 액자에 넣었을때 딱 맞습니다.

다음에 도전해 볼 작품은 빈 센트 반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4000 피스를 진행 해볼까 합니다.
지금 당장 시작 할 건 아니지만 완성 되면 또 올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저격수
19/02/20 22:12
수정 아이콘
화이트퍼즐 해보세요!
광개토태왕
19/02/20 22:14
수정 아이콘
그건 안합니다.
무턱대고 덤볐다가 정신질환 올 수도 있어서요...
저격수
19/02/20 22:15
수정 아이콘
혼자 안하면 재밌어요!
크크크 근데 예전 글에도 제가 화이트퍼즐 해보라고 댓달았었네요.. 이 일관성이란
광개토태왕
19/02/20 22:21
수정 아이콘
그거 색상별로 5가지가 있더라구요.
하얀색은 순백지옥
검은색은 암흑지옥
황금색은 황금지옥
빨간색은 작열지옥
파란색은 극한지옥
VinnyDaddy
19/02/20 22:12
수정 아이콘
퍼즐 개수가 하드디스크 용량 같은 거였던 거군요?!
19/02/20 22:17
수정 아이콘
멋지네요...
크림샴푸
19/02/20 22:35
수정 아이콘
전 어렸을때 다 맞추면 빤딱이 풀 발라서 빤딱빤딱하게 굳혔는데 그러면 안밀리지 않나요?
어렸을때라 액자 살돈은 없어서 한 20개 정도 해서 그냥 겹쳐서 방구석에 쳐박았었는데 크크
저는 머시기냐 그 매직아이 하듯이 박스 그림 죽어라 오래 보다가 똬악 퍼즐 조각들 보면 제가 집중해서 보던 애들이 딱딱딱 떠올라서
그 부분 파파파팍 맞추고 다시 또 반복 반복 해서 맞췄었네요.
광개토태왕
19/02/20 22:37
수정 아이콘
보통 액자에 걸려면 퍼즐 위에 유액이라는걸 바릅니다.
퍼즐 조각과 조각 사이를 고정시켜서 굳게 해주는 액체인데 일반적으로는 액체 유액을 많이 쓰는데요.
님께서 말하는 빤딱이 풀이 유액을 말하는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19/02/20 22:45
수정 아이콘
수고하셨습니다 크크크
한때 퍼즐에 미쳐서 온갖 브랜드의 온갖 퍼즐을 맞춰봤는데 일본산이 가장 좋더군요. 아귀 딱딱 잘 맞고 무엇보다 사진 인쇄질이 다른곳(특히 유럽산)과 비교가 안됩니다.

혹시라도 퍼즐 맞추실 분은 에포크/야노망/비버리에서 나온 퍼즐들 추천합니다.
광개토태왕
19/02/20 22:47
수정 아이콘
근데 일본꺼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비싸지 않나요?
텐요도 퍼즐 품질은 괜찮은거 같은데....
19/02/20 22: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유일한 단점이라면 그거 하난데 퍼즐을 한번 맞춘 후 부수지 않고 벽에 걸어놓을거라면 인쇄 퀄리티가 넘사벽이라 가격차에서 오는 단점보다 만족감이 훨씬 큽니다. 사실 벽에 걸지 않더라도 아귀가 딱딱 잘 들어맞아 손맛?도 월등해서..

개인적으로는 에포크를 가장 선호하는데, 에포크의 미니/초미니 사이즈 퍼즐이 2000/3000조각이지만 맞춰놓으면 일반 1000조각 사이즈로 나오거든요.근데 퍼즐이 작아서 촘촘하다보니 걸어놓으면 일반 사이즈 퍼즐보다 훨씬 이쁩니다.

아 텐요도 좋습니다. 로드도 괜찮고..사실 제가 맞춰본 일제는 하나같이 돈값 한다는 생각 들긴 했네요.
광개토태왕
19/02/20 22:54
수정 아이콘
텐요 4000피스는 14만원이나 나갑니다.........
이거는 토맥스껀데 4만 5천원 밖에 안되요........
19/02/20 22:56
수정 아이콘
엥? 그렇게 많이 올랐나요? 제가 한참 퍼즐 사들일때 보통 일제 3천피스가 5만원 정도 했던거같은데..
19/02/20 23:01
수정 아이콘
음.. 대체적으로 가격이 많이 뛰었네요. 클레멘토리 4천피스가 7.5만원이라니..
아 클레멘토리는 비추합니다... 퀄리티가 별로인 대신 싼맛에 샀었는데 이젠 싸지도 않군요.
광개토태왕
19/02/20 23:03
수정 아이콘
토맥스가 퍼즐 조각 개수당 가격이 가장 착한거 같습니다.
19/02/20 23:20
수정 아이콘
일본 아마존에서 6만원 정도에 파는 것 같은데요.. 4000피스, 102x146cm

https://www.amazon.co.jp/gp/product/B01NAAXHCN/ref=ox_sc_act_title_1?smid=AN1VRQENFRJN5&psc=1
광개토태왕
19/02/20 23:29
수정 아이콘
아마존이 싸긴 싸네요...
Foxwhite
19/02/20 22:51
수정 아이콘
작은 꿈중에 하나가 4천피스짜리 직소퍼즐 맞춰서 액자로 거실에 걸어놓는건데 그 꿈을 실현할 때 참고해봐야겠네용
19/02/21 01:46
수정 아이콘
인간 승리 덜덜덜합니다.
19/02/21 08:58
수정 아이콘
500피스 맞추는데 두세시간쯤 걸린 것 같은데 어우 저건...상상도 못하겠네요
홍승식
19/02/21 10:13
수정 아이콘
진짜 2주만에 하셨다니 덜덜덜
19/02/21 12: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와 2주만에 4천을.... 대단하시네요.
2천 피스 별이 빛나는 밤에 한달걸려 맞춰 놓은게 자랑인데... 4천은... 와~
2주 거의 풀로 작업 하셨을듯.
3천피스 게르니카 하는게 목표였는데 눈이 가물거려서 못하고 있네요.. 함 지를까 보네요
http://www.puzzlesarang.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80681
광개토태왕
19/02/21 14:20
수정 아이콘
4000 피스 별이 빛나는 밤 에는 노아의 방주 보다 훨씬 오래 걸릴것으로 보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582 [일반] 대한민국의 교사로서 느껴지는 고민 [124] 13163 19/03/28 13163 38
80581 [일반] 한국(KOREA)형 성공학모델 [59] 성상우9776 19/03/28 9776 11
80580 [일반] 북한에 대한 기본적인 저의 시각 [44] 류지나8866 19/03/28 8866 20
80579 [일반] 김의겸 칼럼 [43] LunaseA16346 19/03/28 16346 18
80578 [일반] 美의회 청문회서 쏟아진 한국 비판 '北비핵화에 도움 안되는 동맹' [326] 푸른하늘은하수16494 19/03/28 16494 15
80577 [일반] MB정부 민간인 사찰 재수사는 자료가 없어져서 결국 못하게 됩니다. [159] 탱구와댄스11612 19/03/28 11612 11
80576 [일반] 자게 첫글.. 국밥 사랑(사진없음) [19] 총알인생7573 19/03/28 7573 11
80575 [일반] ISIS와의 교전중 어머니와 형제에게 유언을 남기는 이라크 병사 [38] 검은우산11539 19/03/28 11539 11
80574 [일반] 정부가 부동산 팔라고 할 때가 매수타점입니다. [364] Vokoban25070 19/03/28 25070 54
80573 [일반] [북한] 독일 전 외무장관 Sigmar Gabriel 개인 자격으로 북한 방문 [2] aurelius7701 19/03/27 7701 0
80572 [일반] 교통공학 이야기 - 7. 택시, 무엇이 문제인가 [60] 루트에리노12013 19/03/27 12013 52
80571 [일반] [외신] 스페인, 미국에 北대사관 침입자 송환 요구 [20] aurelius10050 19/03/27 10050 0
80570 [일반] 나는 교사가 싫다 [313] 이리떼17228 19/03/27 17228 66
80569 [일반] 공익요원이 없어질 수도 있다? [96] 카루오스13029 19/03/27 13029 1
80568 [일반] 채널A는 왜 이러는걸까요 [82] 어강됴리11998 19/03/27 11998 7
80567 [일반] 여영국 41.3% 강기윤 28.5%···창원 성산 중앙일보 여론조사 [39] 어강됴리12969 19/03/27 12969 2
80566 [일반] 일하다 말고 아무말 [6] yisiot7450 19/03/27 7450 6
80565 [일반] 저 법대 다녔어요~~ [13] 표절작곡가12277 19/03/27 12277 8
80564 [일반]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34] 미끄럼틀8884 19/03/27 8884 37
80563 [일반] 작가 도전기 03. - 레오가 카카오톡에 출시됩니다. [114] Typhoon15025 19/03/27 15025 42
80562 [일반] (3.22일 삭게글 복구)北 "개성 공동연락사무소 철수…상부의 지시" [260] 푸른하늘은하수20193 19/03/22 20193 10
80561 [일반]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대한항공 사내이사 연임에 실패했습니다. [117] 홍승식14676 19/03/27 14676 8
80560 [일반]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42] 토끼10366 19/03/27 10366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