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1/30 21:06:18
Name attark
Subject [일반] 영국이 배출한 각분야의 본좌들 (수정됨)
lriWBG9.jpg

물리학,근대과학,미적분학의 아이작 뉴턴



HdbPLcI.jpg

생물학의 다윈

TJNnryh.jpg


문학의 셰익스피어 

acWM5Nz.jpg

대중음악의 비틀즈

 Tl4y7NO.png

중세 판타지 장르의 톨킨(반지의 제왕 원작 작가)


8UMNTRv.png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화감독중 하나인 알프레드 히치콕 




AjtXLMR.jpg

인터넷의 팀 버너스리 

X3ahW31.jpg

컴퓨터 과학의 앨런 튜링


4Ho0KZ9.jpg

현대 문명의 근본인 전자기학의 창시자이자 뉴턴 아인슈타인과 함께 가장 위대한 물리학자로 꼽히는 패러데이와 맥스웰

s2utln7.jpg

경제학의 애덤스미스

cCS3OKb.png

딥러닝(알파고에 쓰인 인공지능 이론)의 창시자 제프리 힌튼 



영국 위인들중 상당수는 아예 학문을 만들어 버리거나 세상을 뒤바꾼 사람들이군요 후덜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피지알망해라
19/01/30 21:09
수정 아이콘
케인즈와 마샬도... 경제학을 아예 다른 학문으로 만들어버린 본좌들이죠
19/01/30 21:15
수정 아이콘
위대한 과학자, 음악가, 작가, 상인, 기술자
위대한 장군에는 인간흉기 리차드 사자심왕, 제독으로는 넬슨
스타팅 별로 좋아보이지도 않는데 민주주의 시빅 찍고 UU로 정벅플에 위인플까지...
그대의품에Dive
19/01/30 21:19
수정 아이콘
코미디 본좌 채플린
고기반찬
19/01/30 21:2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축구종가니까 역대 축구선수 No.10 안에 한 명은 있겠죠?
LucasTorreira_11
19/01/30 21:29
수정 아이콘
감독으로 퍼거슨 경
지금뭐하고있니
19/01/30 21:58
수정 아이콘
축구니까 스코틀랜드는 영국이 아님
醉翁之意不在酒
19/01/31 15:18
수정 아이콘
사람마다 순위가 다를수 있겠지만 조지 베스트는 10위권에 들어갈수도 있는 선수죠.
리콜한방
19/01/30 21:30
수정 아이콘
영화에 채플린은 넣어야죠
19/01/30 21:34
수정 아이콘
톨킨보다는 코난
열역학제2법칙
19/01/30 21:42
수정 아이콘
절레절레
모든 분야가 화수분 같습니다.
몸쓰는 건 제외...
앚원다이스키
19/01/30 21:43
수정 아이콘
골도 드리블도 아닌 축구의 웨인 루니..
19/01/30 21:45
수정 아이콘
스미스보다는 케인스 넣고 싶네요.
초짜장
19/01/30 21:47
수정 아이콘
튜링이 좀만 더 관용적인 사회에서 살았다면...
로즈 티코
19/01/30 21:51
수정 아이콘
영국이 배출한 본좌 미국
19/01/30 22:24
수정 아이콘
이거 리얼 크크크크
칙힌먹구싶당
19/01/30 21:54
수정 아이콘
알파고를 만든 딥마인드의 데미스 하사비스도 영국인이죠. 아마 시간이 지나면 이름을 남길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브리엘
19/01/30 21:58
수정 아이콘
기냥 뉴턴 보유국으로 끝인거 같은데요....
아웅이
19/01/31 08:55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이과시군요 크크크크크
지존보
19/01/30 22:05
수정 아이콘
아사의 본좌 처칠도 넣어주세요.
19/01/30 22:17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작곡가는 독일에 비교하기 무리네요.
춘호오빠
19/01/30 22:19
수정 아이콘
많은 위인을 낳았지만 요리는 맛이 없었다고 한다...
possible
19/01/30 22:20
수정 아이콘
역시 요리, 음식은 없군요...크크크
전립선
19/01/30 22:24
수정 아이콘
영국 vs 독일 쌍벽 같은데 택1하자면 어디일까요
醉翁之意不在酒
19/01/31 15:24
수정 아이콘
아인슈타인의 압박이 크긴 하지만 뉴턴으로 쌤쌤하고 영국 압승 봅니다. 벤치멤버에 켈빈같은 분들이 계시는지라....
19/01/30 22:44
수정 아이콘
퍼거슨을 생각하고 들어왔는데...
우중이
19/01/30 22:57
수정 아이콘
1승의 본좌
한종화
19/01/30 22:48
수정 아이콘
과학은 영국, 철학과 음악은 독일, 미술은 이탈리아가 본좌라인인 듯.
세크리
19/01/30 23:19
수정 아이콘
과학분야는 예전만 훨씬 못하죠. 노벨상 수상자만 봐도 2000년대 이후에 미국대학에 많이 밀리고 있습니다(인구수 차이 훨씬 이상으로). 제프리 힌튼 교수님도 교수직은 캐나다에서 하고 있고요. 유럽 안에서도 많은 세부분야에서 독일에 뒤쳐지고 있고요, 브렉시트 되면 가속화 될듯..
한글날
19/01/30 23:30
수정 아이콘
톨킨에 밀린 사람이 무려 조앤 K 롤링 덜덜...
차라리꽉눌러붙을
19/01/30 23:37
수정 아이콘
스파이의 본좌 제임스 본드 응?
19/01/30 23:42
수정 아이콘
하지만 노딜브렉시트....
19/01/31 00:29
수정 아이콘
뭐 한때 세계를 주물렀던 만큼.
아마데
19/01/31 01:43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물리학의 거진 2/3을 저쪽에서 다 해먹은 셈이군요. 뭐 저따위야;;;
19/01/31 02:57
수정 아이콘
저는 영국이 인류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게 산업혁명이라고 보는데 그게 없네요
오렌지꽃
19/01/31 03:07
수정 아이콘
리카르도 빠져서 너무 섭섭하겠네요
19/01/31 08:22
수정 아이콘
셜록홈즈....
아웅이
19/01/31 11:50
수정 아이콘
톨킨 사진이 프로도 삼촌느낌이네요 크크
퀀텀리프
19/01/31 12:14
수정 아이콘
퀸도 영국
19/01/31 18:39
수정 아이콘
본좌급에 국한하지 않고 과학 분야에서 영국 vs 독일을 좀 더 따져보면,

영국: 뉴턴, 다윈, 크릭, 패러데이, 맥스웰, 달턴, 러더포드, 캘빈,...
독일: 아인스타인, 멘델, 하이젠베르그, 슈레딩거, 플랑크, 뢴트겐, 브라운, 폰 라우에, 파울리.... (멘델, 슈레딩거, 파울리는 사실 오스트리아입니다만...)

20세기 전의 영국이 압도적이고 워낙 빅네임들이 있어서 전반적으로 영국이 조금 우세라고 봐야 되긴 하겠지만 독일도 참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20세기 이후 과학전반하고 화학분야는 독일의 압승.
미나연
19/02/01 11:14
수정 아이콘
전세계를 찜쪄먹으려면 그정도는 되어야 하나봐요. 그렇게 생각하면 영국 독일도 대단하고 미국도 대단하고 일본도 참 얼마나 대단한지 알겠습니다. 30년째 정체중인데 아직도 세계에서 한 자리 차지하고 있으니까요. 우린 언제 그렇게 될까요. 지금이 역사상 제일 발전하고 있는 중인거 같은데 말이예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332 [일반] 이명박의 보석 허가와 사법개혁의 어려움 [49] 파이톤사이드12224 19/03/06 12224 8
80331 [일반] 고양이와 마우스 그리고 AS. [12] 김티모8994 19/03/06 8994 2
80330 [일반] [속보]이명박 전 대통령 조건부 보석허가 [51] 알레그리12737 19/03/06 12737 3
80329 [일반] 버닝썬 사건에서 언급된 물뽕, 그리고 마약 이야기 [9] 모모스201314466 19/03/06 14466 22
80328 [일반] [단상] 한반도 문제의 원만한 해결을 위한 접근 [27] aurelius9623 19/03/06 9623 3
80327 [일반] 지나가는 이야기. [4] 크라슈4778 19/03/06 4778 0
80326 [일반] To watch or not to watch? 캡틴마블 보고왔습니다 :)(스포일러 자제) [24] 복슬이남친동동이10732 19/03/06 10732 12
80325 [일반] 캡틴마블 소감(노스포) [92] 아이즈원13236 19/03/06 13236 3
80324 [일반] 성창호외 사법농단 의혹 판사들 기소 [91] ppyn11106 19/03/06 11106 14
80321 [일반] 미세먼지 제거를 위해서 수소차 활성화 하는 방안 어떻게 생각하세요? [61] 헝그르르10676 19/03/06 10676 0
80320 [일반] '이미지 구축' 과 '스토리텔링' 의 역사에 대한 반발 - 영국의 역사 [12] 신불해10983 19/03/05 10983 25
80319 [일반] 삼국통일전쟁 - 13. 다시 요하를 건너다 [4] 눈시BB9191 19/03/05 9191 18
80318 [일반] 환경부 장관이 민간 차량 2부제를 언급했습니다. [342] 아유23474 19/03/05 23474 24
80317 [일반] 삼성전자 DDR4 8G 21300 램 값이 4만원대에 진입했습니다. [92] 내꿈은퇴사왕16263 19/03/05 16263 2
80316 [일반] 미세먼지에 대한 중국 인민일보의 기사 [62] 醉翁之意不在酒16333 19/03/05 16333 2
80315 [일반] 장하성씨가 중국대사로 내정되었다네요. [205] 벌써2년22820 19/03/05 22820 13
80314 [일반] 워싱턴포스트 기자에게 메일을 보내보았습니다. [47] aurelius14109 19/03/05 14109 11
80312 [일반] 다이어트에 대한 소고 [75] 블루레인11649 19/03/05 11649 13
80311 [일반] 부부싸움, 그 사소함에 관하여 [26] 비싼치킨9150 19/03/05 9150 12
80310 [일반] 중국산 불매운동에 대한 단상 [37] 프로그레시브11716 19/03/05 11716 2
80309 [일반]  내가 광해군 미화에 꺼림칙해지는 근원, 노무현 = 광해군 등치 [64] 삭제됨12627 19/03/05 12627 38
80308 [일반] 개그맨형 과학자와 UFO 그리고 타이타닉 [17] 醉翁之意不在酒11488 19/03/04 11488 12
80307 [일반] [속보] 서울교육청, 한유총 설립허가 취소하기로 결정 [194] 修人事待天命27539 19/03/04 27539 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