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31 21:20:09
Name 성상우
Subject [일반] 한국(KOREA)에서의 생존법 (수정됨)
자원이 풍부하고 시장규모가 커 수출이 없어도 자체적으로 유지하고 생활할수 있는 국가는 지구상에서 미국과 중국이다. 단 두나라뿐이다.
만약 1억이상의 인구를 보유할 경우에는 어느정도 수출이 없어도 내수시장으로 버틸수가 있다. 대표적으로 이웃나라 일본이다.

일본은 인구가 1억2천만명정도이다. 한국은 5천만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므로 수출을 하지 않으면 살아갈수 없는 나라이다.
한국은 반드시 수출주도형으로 나아가야하고 다른 길은 없다. 이러한 영세한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는 한국내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한가지 해답은 한국은 영세한 시장규모를 가지고 있으므로 매력적인 아이템을 확보해 한국이라는 작은 시장내에서 계속적으로 단골장사를 하는 방법이 있다. 대표적으로 광동제약은 우황청심환이라는 아이템으로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거기다가 최근에는 새로운 아이템을 확보했는데 마시는 비타민제인 비타500으로 그 뒤을 잇고 있는 것이다. 비타500의 경쟁사인 동아제약도 자랑하는 아이템이 있는데 바로 박카스이다.

이런 제품 이외에도 드라마에는 허준이 있다. 역대 허준드라마는 1976년에 허준을 김무생이 연기하여 MBC에서 최초로 제작되었고 이후 1991년에는 서인석이 주연역인 허준을 맡아 다시 MBC에서 제작이 되었다.

또한 1999년에는 전광렬이 허준을 연기하여 MBC에서 제작되었고 이후 2013년에는 김주혁이 허준역을 맡아 연기를 펼쳐 MBC에서 다시 제작되었다. 이처럼 시간이 흘러가면서 허준이라는 드라마는 하나의 아이템으로 계속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문학방면을 살펴보면 김동인의 감자도 하나의 아이템이라고 볼수가 있다. 작가인 김동인은 천재작가로서 당대 최고의 근대소설가이다. 명월이(한국여자)와 왕서방(중국상인)이야기류는 오래전부터 내려오는 이야기인데 이것을 천재작가인 김동인이 감자에서 복녀와 왕서방의 스토리로 풀어낸 것이다.

이것은 특정한 소재 즉 아이템을 작품으로 승화시킨 것이다. 이것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을 대표하는 거장인 이문열작가도 삼국지라는 아이템을 가지고 이야기로 풀어내었다. 그리고 한국내에서 대성공을 거두어 이문열의 삼국지는 한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린 소설 1위가 되었다.

한편 한국을 대표하는 거장인 김훈작가는 이순신과 임진왜란이라는 특정한 소재 즉 아이템으로 칼의 노래라는 대작을 집필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고 2001년에는 동인문학상을 수상하였다.

또 한국예능계의 대부인 이경규는 몰래카메라라는 특수한 아이템으로 대박을 터뜨렸고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예능인중에 한사람이 되었다. 위의 설명들과 같이 매력적인 아이템을 확보하면 한국에서 통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즉 한국(KOREA)에서의 생존법은 아이템을 확보하는 길이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길이라고 생각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handler
18/12/31 21:22
수정 아이콘
오 이번글은 좀 괜찮은거같아요. 그럴싸합니다.
외력과내력
18/12/31 21:22
수정 아이콘
기해년 황금돼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작별의온도
18/12/31 21:23
수정 아이콘
매력적인 아이템이라는 건 꼭 영세한 시장이 아니어도 유효한 전략 아닐까요? 진지는 올해까지만 먹겠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김유라
18/12/31 21:33
수정 아이콘
이게 그 알파고 헬조선 학습 시스템인가 뭔가 하는 그거군요.
잘 보고 갑니다~
18/12/31 21:34
수정 아이콘
12년마다 우러먹힘 당하는 돼지...
18/12/31 21:41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 글은 좀 그럴싸했던 것 같네요.
18/12/31 21:47
수정 아이콘
오 이분 또 오셨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8/12/31 21:52
수정 아이콘
한국 다음에 (KOREA)라고 쓴 의미는 어떤 것인가요?
닭장군
18/12/31 21:57
수정 아이콘
바야흐로 한류시대이므로, 글로벌 회원들을 위한 배려가 아닐까...
우중이
18/12/31 22:30
수정 아이콘
수출하자(PROBLEM)더니 갑(JONGBUM)자기(HUNNY).. 말이안되는말은(SILVER) 아닌(IN)데
19/01/01 00:06
수정 아이콘
오천만이 영세한 시장규모라니...
Lord Be Goja
19/01/01 02:58
수정 아이콘
필자와 8천경의 거주민이 산다고 알려진 안드로메다 거주민과의 관계를 짐작할수 있는 단서입니다.
19/01/01 08: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4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성상우
19/04/01 06:31
수정 아이콘
미국과 중국과의 시장규모에 비교하다면 작은 것은 사실인 것같습니다. 또한 한국은 지나치게 수출에 의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coconutpineapple
20/05/26 09:50
수정 아이콘
그렇다고 합니다
coconutpineapple
20/05/28 19:03
수정 아이콘
하루에 6번씩 글을 매일 계속 올리시겠다는 약속 매우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664 [일반] 패션고자이던 내가 이세계에서는 패션리더? [12] FLUXUX8999 19/09/09 8999 3
82663 [일반] (추가) 약간 각색된 어느 회사 이야기 [20] 고구마장수10305 19/09/09 10305 15
82661 [일반] 과연 pgr은 바뀌었는가? [60] mylea10558 19/09/09 10558 16
82659 [정치] 정권 변화로 인한 세상사는 이야기 -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 되나? [28] 이쥴레이10340 19/09/09 10340 13
82658 [일반] 농구월드컵 한국 대표팀을 응원하며 써보는 짧은 이야기 [29] 류지나7076 19/09/09 7076 6
82657 [정치] 민주당 열혈지지자분들께 한마디 [181] nada8217669 19/09/09 17669 180
82542 [일반] [공지] 관련글 댓글화 관련 의견 수렴 결과 및 이후 운영 관련 공지 [21] 오호9142 19/08/27 9142 11
82656 [정치] 검찰 개혁에 관한 시리즈 기사(통제받지 않는 권력과 그늘) [76] ArcanumToss11546 19/09/09 11546 5
82655 [정치] 대통령 말씀에 마지막 희망조차 놓아버리게 되네요. [159] Alan_Baxter16600 19/09/09 16600 71
82653 [일반] 올해는 여름 추석이라고 하네요 [13] 프란넬7897 19/09/09 7897 1
82651 [정치]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지.. [306] The Special One20208 19/09/09 20208 0
82650 [정치] 우리들의 트럼프 남매는 어디 있는가? [16] minyuhee8982 19/09/09 8982 1
82648 [정치] [2보] 文대통령, 조국 법무장관 임명 강행…지명 한 달만에 [677] sakura32263 19/09/09 32263 15
82647 [정치] 대법원, '비서 성폭력' 안희정 징역3년6개월 확정 [263] 괄하이드20109 19/09/09 20109 10
82645 [일반] [10]또 다른 가족 [10] 스타슈터5908 19/09/09 5908 12
82644 [정치] 검찰, 반출됐던 정경심의 동양대 PC에서 각각 다른 '총장 표창장' 파일 3~4개 발견 [191] 고기덕후21177 19/09/09 21177 26
82643 [일반] 예전 커뮤니티에서 논란이었던 문제 [75] 미소속의슬픔12063 19/09/09 12063 0
82642 [일반] [10] 명절기념 와이프 선물용 맞춤 속옷 의뢰 후기 [38] 파란샤프9976 19/09/08 9976 11
82641 [정치] 주광덕의원이 폭로한 조국의 거짓말 증거 [77] 대보름14125 19/09/08 14125 7
82640 [일반] 아디다스 솔라드라이브 후기 [14] 하심군11232 19/09/08 11232 0
82639 [일반] [약스포] <그 것2: 두번째 이야기> 후기 [15] 김유라6850 19/09/08 6850 4
82638 [일반] 목표점(Aimpoint) [15] 성상우6492 19/09/08 6492 4
82637 [정치] 나경원 아들(추정), 고등학교 시절 논문 1저자 등재 논란 [373] 쿠즈마노프26226 19/09/08 26226 3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