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22 18:13:25
Name aurelius
File #1 1D0BC0B1_A9AC_4AC0_B3D0_20270123D977.jpeg (160.4 KB), Download : 76
File #2 8DD703A1_221B_4B68_A961_CB8B6703A9FE.jpeg (101.5 KB), Download : 6
Subject [일반] [넷플릭스] 트로츠키 정주행 완료한 소감 (수정됨)




와아....
간만에 엄청난 수작을 보았습니다.
역시 도스토예프스키와 톨스토이를 배출한 나라입니다.
러시아인들의 문학적 감수성은 역시 대단합니다.

트로츠키
유대인 출신 마르크스주의자
러시아 10월 혁명의 주역
붉은군대의 창시자
​레닌과 동등한 파트너
그리고 세계혁명을 주장한 자

그러나 레닌 사후 그는 스탈린과의 권력 싸움에서 패배하고
긴 망명 생활 후 1940년 멕시코에서 암살당합니다.

이 드라마의 메시지는 정말 강렬합니다. 혁명이란 무엇인가, 권력이란 무엇인가,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시킬 수 있는가, 신념이란 무엇인가, 지상천국을 건설하기 위해 소수를 희생시킬 수 있는가, 그런데 공포 없이 질서를 확립할 수 있는가? 어디까지가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고, 어디부터 임의적인 횡포인가?

이 드라마는 그 누구도 선하게 그리지 않습니다.

아, 굳이 꼽자면 스탈린은 정말 평면적인 악당으로 묘사되긴 하지만
레닌과 트로츠키는 정말 미묘한 사람들입니다. 신념이 높으나 선과 악에 대한 도덕관이 굉장히 편리한(?) 사람들... 모순으로 가득찬 인물들입니다. 레닌은 이 드라마에서 서브역할이어서 잘 등장하지 않지만

트로츠키는 정말 아주 입체적으로 그려집니다. 그는 독재자인가? 폭군인가? 몽상가인가? 현실정치인인가? 어쩔 수 없는 상황에 의해 떠밀린 인물인가? 아니면 개인적 복수에 굶주린 인물인가? 혁명을 구할 수 있었던 마지막 인물이었나? 레닌의 유일한 후계자였나? 정말 다양한 얼굴들을 보여줍니다.

​말년의 그는 과연 자신의 선택을 후회했을까? 신념을 끝까지 지켰던 것일까?

이 드라마는 친절하지 않습니다. 말년의 트로츠키가 끊임없이 자기 과거와 싸우면서 대화를 하면서 시간이 뒤죽박죽 섞이기 때문에 러시아 혁명사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어지러울 수 있습니다. 1918년으로 갔다가 1903년으로 가기도 하고, 또 갑자기 1922년으로 가면서 다시 현재(1940년 멕시코)로 돌아옵니다.

또 그는 자기 손에 의해 희생당한 사람들의 환영들과 변증법적인 대화를 나누기도 하며 또 그들에 의해 조롱당하기도 합니다. 그는 과거를 후회하는 거 같은 모습을 보이다가도 또 자신이 옳았음을 끊임없이 주장합니다.

그리고 죽음이 임박한 최후에 가서는, 그를 죽이길 망설여하는 자를 겁쟁이라고 조롱하면서 자기 자신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아주 당당하게 그 순간을 맞이합니다.

8부작으로 짧은 드라마이지만, 아주 강렬합니다. 정말 깊은 여운이 남네요. 괜히 2017년 러시아 방송 협회 최우수상을 받은 게 아닙니다.

엄청난 수작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합스부르크
18/12/22 18:41
수정 아이콘
HOI4 : 트로츠키가 암살에서 살아남았다!
조말론
18/12/22 18:46
수정 아이콘
nf : 트로츠키가 돌아왔다!
패스파인더
18/12/22 19:0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펠릭스30세(무직)
18/12/22 19:07
수정 아이콘
저도 달리고 있습니다.

저는 러시아 혁명사에 무지해서 더 재미있는거 같아요. 잘 모르니까 어디가 어슬픈지 모르고 그냥 즐기는 느낌.

암튼 '카리스마'라는걸 정말 잘 표현한거 같아요.
빠삐용
18/12/23 01:06
수정 아이콘
레닌급 인데 어쩌다 스탈린 에게 밀려 가지고 ~~~
즐겁게삽시다
18/12/23 08:09
수정 아이콘
오오오오 추천 감사합니다. 빨리 봐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826 [일반] 윈도우 이벤트 뷰어 이야기 [7] Love.of.Tears.15297 19/01/22 15297 1
79825 [일반] 헬스 약쟁이들의 부작용. [97] 네오바람21528 19/01/22 21528 9
79824 [일반] 도시화는 완결되었는가? 유목민의 귀환은 다시는 없을 것인가? [33] 삭제됨8362 19/01/22 8362 5
79823 [일반] 혼자 3박 4일 홋카이도 다녀온 이야기 (스압) [45] Requiem11583 19/01/22 11583 16
79821 [일반] 손혜원, 의원실로 보훈처장 불러 부친 유공자 선정 논의 [353] 사악군25553 19/01/22 25553 45
79820 [일반] 좋았던 주문진 도깨비 촬영지 당일치기 여행 [15] mumuban9472 19/01/22 9472 9
79819 [일반] 한 유튜버 vs 한의사와의 싸움 (일베주의) [298] rottopik39951 19/01/21 39951 5
79818 [일반] 용산의 추억 티저 - 이른바 용팔이가 되는 원인 간단히 재방 [15] Croove11094 19/01/21 11094 47
79817 [일반] [역사] 1942년 이탈리아 외교관이 본 독일 [7] aurelius9361 19/01/21 9361 4
79816 [일반] 흉기난동으로 출동한 경찰의 미흡한 대처 [62] 삭제됨12168 19/01/21 12168 8
79814 [일반] [잡설] 전후 미국을 만든 독일인들 [27] aurelius12344 19/01/21 12344 15
79813 [일반] 키우던 멍뭉이가 하늘나라로 갔습니다 [47] 잠잘까9578 19/01/20 9578 27
79812 [일반] 손혜원 의원 국립중앙박물관 인사 개입의혹 [225] 니가가라하와��21101 19/01/20 21101 25
79810 [일반] 하버드에서 나누었던 인상적인 대화 [53] 은때까치17329 19/01/20 17329 70
79809 [일반] '지하철 패딩 테러는 없었다'…경찰, 오인 신고로 결론 [121] 마빠이21141 19/01/20 21141 6
79808 [일반] 이제는 수강신청에서도 남성들이 차별받네요 + (추가) 담당 직원 실수 해명 [94] 2035821150 19/01/20 21150 22
79806 [일반] 하태경 의원이 군 휴대전화 논란 관련 사과 글을 올렸네요. [175] 한이연18632 19/01/20 18632 23
79805 [일반] 진화와 성 선택, 잘생기고 볼 일이다 [115] 글곰13950 19/01/19 13950 28
79804 [일반] 갤9+ 번호이동 구매후기 [26] 읍읍11075 19/01/19 11075 1
79803 [일반] 여성의 노출과 꾸밈에 관한 짧은 개인 소견 [184] 김아무개19960 19/01/19 19960 39
79802 [일반] 일본의 제국주의에 대하여 (2) : 조선 식민 통치에 작동한 일본제국주의 [10] 삭제됨6571 19/01/19 6571 9
79801 [일반] 자동차세 연납, 연말정산 시즌입니다. [11] style9024 19/01/19 9024 5
79800 [일반] 남베트남 난민의 "우리의 최선"을 읽고 왜 나는 열등감을 느꼈는가. [9] Farce12182 19/01/19 12182 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