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17 00:19:51
Name jjohny=쿠마
Subject [일반] 여론 참여 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수정됨)
여론 참여 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여론 참여 심사 논의글: https://pgr21.net/?b=32&n=61

현행 여론참여심사는 실질적으로 '원조치 취소' 여부를 의결하는 절차로서, 다음의 2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원조치 취소'의 효력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 투표자 수가 100명 이상일 것
- 투표자 중 [원조치 취소]의 비율이 60% 이상일 것.

이번 여론참여심사에서는 다음과 같이 의견이 모였습니다.
[원조치 확정]: 158명
[원조치 취소]: 151명

논의 결과, [원조치 취소]의 비율이 60% 미만이어서 원조치를 그대로 유지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참여해주신 모든 회원분들께 감사드립니다.

p.s 이번 투표에서 유효/무효투표와 관련된 케이스가 유독 많이 발생하였기에 짚어드립니다.
- 원조치 확정에 중복투표하신 분이 계셔서 무효처리 되셨습니다.
- '원조치 확정', '확정', '원조치취소', '(원조치 취소)'와 같이, 본문 및 여참심 공지에서 정하지 않은 방식으로 투표하신 분들이 계십니다.
현 여참심 공지에서는 다음과 같이 고지하고 있습니다 "[원조치 확정] 또는 [원조치 취소]로 투표해주시기 바랍니다. ([원조치확정] 또는 [원조치취소]와 같이 단순히 띄어쓰기가 누락된 경우에는 유효한 투표로 인정되지만, 이외의 경우 투표가 유효하게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번 투표에서는 공지에서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라고 서슬되어 있어서, 인정/불인정 양쪽의 가능성이 열려 있는 상태(=무효표의 요건이 정확히 규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결이 진행되었는데요,
네 케이스 모두 각자 자신의 표결의사를 밝히려 하였으나 단지 표기에서 오해 또는 실수가 있었을 뿐인 것으로 보여, 네 투표를 모두 유효한 투표로 인정하기로 하였습니다.
(참고로 이 투표를 모두 무효화 하였을 경우, [원조치 확정] 156명, [원조치 취소] 149명 입니다)
이후의 투표부터는 "[원조치 확정]" 또는 "[원조치 취소]" (띄어쓰기 변경은 인정) 외에는 모두 무효표로 분류할 계획이니,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

p.s 반복적으로 집계 확인하였으나, 혹시라도 집계에 착오가 있었음을 발견하시는 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나브로
18/12/17 00:25
수정 아이콘
수고 많으시네요 감사합니다
홍승식
18/12/17 01:22
수정 아이콘
300분이 넘게 참여하셨는데 가장 많은 분이 참여하신 거네요.
고생하셨습니다.
18/12/17 01:32
수정 아이콘
300명이 넘는 사이트 이용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각자의 찬반 의견을 표명한 결과라서 딱히 뭐라 트집잡을 거리도 없겠군요.
규칙 개정이나 이런 쪽의 의견 개진이면 모를까.
18/12/17 05:12
수정 아이콘
나름 팽팽했었네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18/12/17 07:08
수정 아이콘
고생하셨습니다
Quantum21
18/12/17 08:46
수정 아이콘
무효표에 관한 내용은 여참심 공지할때마다 명시적으로 상기시킬 필요가 있는것 같습니다.
고생많으셨습니다.
스타카토
18/12/17 08:47
수정 아이콘
고생 많으셨습니다~
강동원
18/12/17 09:13
수정 아이콘
고생많으십니다.
18/12/17 11:24
수정 아이콘
고생 많으셨습니다. 300개가 넘는 의견이 달렸으니, 과정도 매끄럽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회원분들이 많이 참여했으면 합니다.
회전목마
18/12/17 11:56
수정 아이콘
역시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팽팽한 안건일땐
이렇게 많은분들이 참여하셨으니
최소 투표자수 100명은 적당한 기준인것 같습니다
18/12/17 12:05
수정 아이콘
댓글에서 아래 글자로 필터링해서 댓글 수를 세어본 결과입니다.
-> [원 조치, 원조지, 원조차, 원조취 + 확정 or 취소]
[원조치취소] 149표
[원조치확정] 157표

이중 중복투표나 괄호 미표기 등 사항은 아래와 같으며
======================================
jjohny=쿠마 확정 -1 - 운영위원 입장표명 필터링
界塚伊奈帆 확정 -1 - 중복투표
moqq 확정 +1 - 괄호 미표기
만우 확정 +1 - 그냥 확정
미카미유아 취소 +1 - 괄호 미표기
호가든 취소 +1 - 소괄호 표기
=========================================
최종적으로 확정 157표, 취소 151표가 나오는 것 같습니다.
jjohny=쿠마
18/12/17 13:20
수정 아이콘
한 번 더 확인 부탁드립니다~

저는 검색시 "확정]" & "취소]" 를 사용하여 검색하고,
검색에 잡히지 않거나 중복되어 잡힌 결과들을 추가로 계산하는 방식으로 집계하고 있는데요,

(취소 투표수는 이견이 없는 것 같고)
"확정]"으로 검색해서 나오는 총 결과수 165건 (+165)
이 중 제가 본문/댓글에서 쓴 횟수가 총 7건 (-7)
界塚伊奈帆님께서 중복투표하신 횟수 2건 (-2)
moqq님께서 "원조치 확정"이라고 표기하신 횟수 1건 (+1)
만우님께서 "확정"이라고 표기하신 횟수 1건 (+1)

하여, +165-7-2+1+1=158

저는 이렇게 확정 158건으로 집계하였는데,

여기서 오차가 생길 만한 구석이 발견되지 않아서 수동으로 하나씩 세어봐도 158건이 나옵니다.
18/12/17 13:47
수정 아이콘
다시 확인해보니 원조지를 카운트 한다고 코드에 넣어둔다는걸 정작 돌리면서는 빼뒀던 것 같습니다. 다시 검토해서 돌려보니 158표가 맞네요. 번거롭게 해드려서 죄송합니다;
jjohny=쿠마
18/12/17 13:49
수정 아이콘
별 말씀을요.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18/12/17 13: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 투표를 보고 느낀점

내가 법정 갈일 생기면 묵비권+변호사가 시키는 말만 해야겠다
드라마에서 경찰이 취조하거나 할때
묵비권을 행사할수 있으며 본인의 말이 불리하게 적용될수있습니다
뭐 이런말 하는데 그게 리얼이다

아마 대상 회원분이 변론만 제대로 했으면

취소가 이길수도 있었지 않았을까 생각이 드네요

근데 변론으로 어그로를 끌어서....
GjCKetaHi
18/12/17 14:05
수정 아이콘
그래도 그 덕분에 토론의 논의 방향이

pgr에서 허용되는 어그로 범위에 초점이 맞춰진 점은 좋은 점이라고 봅니다. (어느 정도의 어그로까지 허용이 되느냐. 어그로의 역치가 주제마다 다른데 이것이 합리적이냐.)

뭐 여참심 제안자 본인이 손해본건 있는데 제가 그 대상자도 아니고요.
인생의낭비
18/12/17 15:36
수정 아이콘
사실 저는 원댓글도 변론도 어그로를 끌 의도는 딱히 없었던 거 같고, 그냥 말 예쁘게 하는 법을 잘 모르는 분이었다고 생각합니다.
취소 표 던진 분들 중에서조차도 저처럼 완전무죄(?)라고 생각하는 분은 거의 없었으니, 뭐 어쩔 수 없죠.
18/12/17 18:36
수정 아이콘
고생 많으셨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573 [일반] 애플워치 4로 알아보는 웨어러블 의료기기의 딜레마 [31] 후상13374 19/01/02 13374 33
79572 [일반] 당나라 태종이 교묘하게 역사를 왜곡하다 [3] 신불해11389 19/01/02 11389 25
79570 [일반] 기재부에서 신재민 전 사무관을 공무상 비밀누설죄로 고발. [144] 19033 19/01/01 19033 12
79569 [일반] 헐리우드 남자들의 몸만들기 - 다이어트의 어려움 [12] 사진첩9698 19/01/01 9698 0
79568 [일반] 십진법을 쓰는 인간들을 구경하러 온 이진법 세계 인간의 충고 [55] 2214589 19/01/01 14589 52
79567 [일반] 고2때 겪은 대체의학을 거르게 된 경험 썰 [47] 와!9707 19/01/01 9707 6
79566 [일반] 비핵화 관련 김정은 신년사 전문 [60] 홍승식12197 19/01/01 12197 5
79565 [일반] 수요미식회. 소회. 2019 [24] MelanCholy8196 19/01/01 8196 19
79564 [일반] 2019년 문재인 대통령 신년사 (수정) [56] 차오루12791 19/01/01 12791 3
79563 [일반] D사 이야기 [13] 콧등11370 19/01/01 11370 4
79562 [일반] 2019년에 펼쳐질 소소한 이야기들. 그리고 복 많이들 받으세요 :) [9] 은하관제7827 19/01/01 7827 7
79561 [일반] 서울 대형병원에서 정신과 의사를 찔러죽인 환자 [29] 치느14427 19/01/01 14427 0
79559 [일반] 2번째 통풍발작후기 [16] 읍읍11521 19/01/01 11521 0
79558 [일반] 올해의 목표... 다들 얼마나 이루어지셨나요? [29] Goodspeed7001 18/12/31 7001 4
79557 [일반] 운영위원회는 왜 열었는지 모르겠네요 [72] Jun91113195 18/12/31 13195 15
79556 [일반] 민주당 vs 자한당 역대 여성부 장관들의 출신 해부 분석. [128] 마재12576 18/12/31 12576 19
79555 [일반] 한국(KOREA)에서의 생존법 [16] 성상우9019 18/12/31 9019 4
79554 [일반] 2018 히어로 영화 및 작품들 소감 [14] 잠이온다7430 18/12/31 7430 1
79552 [일반] 무심코 뽑아본 2018년에 즐겨 들은 음악 [5] KOZE5674 18/12/31 5674 4
79551 [일반] 과연 성차별문제 해결을 위해 중년층이 대가를 치뤄야 할까? [85] 유소필위9947 18/12/31 9947 1
79549 [일반] 올해의 영화는 무엇인가요? [64] 작고슬픈나무8199 18/12/31 8199 1
79548 [일반] 2019년 개통 예정인 수도권 전철역 [24] 光海10686 18/12/31 10686 6
79547 비밀글입니다 차오루17143 18/12/31 17143 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