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2/08 21:51:20
Name 서현12
Subject [일반] 유비와 조조는 언제 처음 만났는가?
정사 삼국지 선주전 주석 영웅기에 따르면 유비와 조조의 첫 만남을 다음과 같은 서술하고 있습니다.

[영웅기]英雄記 – 영제 말년, 유비는 일찍이 경사(京師-수도)에 있다가 그 뒤 조공(曹公-조조)과 함께 패국(沛國)으로 돌아와 무리를 모았다. 때마침 영제가 붕어하자 천하에 대란이 일었는데, 유비 또한 군을 일으키고 동탁을 토벌하는데 종군했다.

자 그럼 유비와 조조가 수도 낙양에서 만난 시기는 언제이며 같이 조조의 고향인 패국으로 간건 언제일까요? 삼국지집해는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평中平 6년의 일로, 조조曹操가 성명을 고치고, 샛길로 가 동으로 돌아왔으니, 위지 魏志 무기 武紀 권수卷首에 보인다. 이 때 조조의 나이는 35세, 선주의 나이는 29세다.'

결론을 먼저 말씀드린다면 이 해석은 틀렸습니다. 조조가 '성명을 고치고, 샛길로 가 동으로 돌아왔으니' 이 부분은 '동탁은 정권을 장악하자 조조를 효기 교위로 임명했으나 조조는 임관을 거부하고 이름을 바꾼 채 샛길을 통해 동쪽으로 달아났다.'가 원문으로 영제 말년이 아니라 헌제가 즉위한 이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해석은 시기상으로 말이 되지 않습니다.

그럼 영제 말년 언제일까요? 고향에서 사사로이 무리를 모으기 시작하려면 두 사람 다 수도나 지방에서 벼슬하지 않고 관직이 없었던 시기일 것입니다. 위서 무제기와 촉서 선주전에 두 사람이 영제 말년에 벼슬이 없었던 시기를 찾아 보겠습니다.

'얼마 후, 대장군 하진이 도위 관구의를 파견해 단양에 이르러 모병하게 하니, 선주와 함께 가다, 하비에 이르러 도적과 조우해, 힘써 싸워서 공을 세웠기에, 하밀승에 제수됐다. 다시 관직을 버렸다. 후에 고당위가 됐다가, 현령으로 승진됐다.' - 촉서 선주전

'그 뒤 경사로 불려가 동군 태수로 전임되나 그 동안 황제 측근의 권신들에게 여러 번 밉보였기에 집안이 화를 입을 것을 두려워해 질병을 칭탁하고 고향으로 되돌아갔다. 낙향한 뒤에는 성 밖에 별장을 짓고 독서와 사냥에 매진하며 지냈다.' - 위서 무제기

두 사서를 교차 검증하면 두 사람이 벼슬이 없었던 때가 조조의 경우 동군태수직을 버린때, 유비의 경우엔 하밀승을 버린때인것을 알수 있습니다. 마침 조조가 경사로 불려갔다가 고향으로 되돌아 갔다고 서술도 되어 있군요. 그러므로 유비가 하밀승을 버리고 경사에 있다가 마침 경사에 동군태수일로 불려온 조조를 만났다고 하면 얼추 들어 맞는 셈입니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가설이라고 생각합니다.

+추가: 유비가 안휘현위에 오른게 187년 6월 이후군요. 독우를 패고 달아나 관구의 밑에서 공을 세웠으니 187년 6월 ~ 188년 8월 사이로  봐도 되겠네요.

+추가2: 삼국지집해 조별전에 전군도위였던 조조가 초현으로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군요. 188년 ~ 189년 초까지 가능할것 같습니다. 하여간 효기교위 이럴때는 아닙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강아지22
18/12/08 23:37
수정 아이콘
저는, 유관장이 황건적 때려잡고있을때 만난줄알았는데..
불굴의토스
18/12/09 00:22
수정 아이콘
이건 생각 못했던건데 신기하네요. 잘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643 [일반] 비판하면 ‘여혐’ 낙인… 할말 없으면 “공부하고 와라” [페미 논란] [41] 마재13370 19/01/06 13370 25
79642 [일반] 영화 언니 후기입니다 (스포 살짝?) [16] 에버쉬러브8423 19/01/06 8423 1
79641 [일반] [팝송] 제가 생각하는 2018 최고의 앨범 Best 10 [30] 김치찌개11212 19/01/06 11212 19
79640 [일반] [JTBC 뉴스룸 신년토론] 2019년 한국 어디로 가나 - 패널별 주요 주장 [244] 껀후이25122 19/01/05 25122 31
79639 [일반] 대만이 국제사회에 지원을 호소했습니다. [65] 고통은없나20421 19/01/05 20421 27
79638 [일반] [드래곤볼/스포있음] 심심해서 써보는 거 [19] TAEYEON9899 19/01/05 9899 6
79637 [일반] 로또 사려면 온라인으로 구매하세요 훨씬 편해요 [43] 매일푸쉬업12527 19/01/05 12527 4
79636 [일반] 보험에 대하여 Araboza -2- [8] QuickSohee10425 19/01/05 10425 22
79634 [일반] 자고 일어나니 이과 엘프 원탑이 된 사연 [49] TAEYEON13656 19/01/05 13656 3
79633 [일반] 동양의 디즈니를 꿈꾼 애니메이션 백사전의 피 [9] 드라고나9203 19/01/05 9203 3
79632 [일반] 페미니즘 자체의 해악을 지적하는 언론이 나오기 시작했네요. [43] 마재13946 19/01/05 13946 24
79631 [일반] 고백합니다. 저는 쿠팡의 노예입니다 [93] 벌써2년14876 19/01/05 14876 12
79630 [일반] 할란 카운티에는 중립이 없다는데 당신은 누구 편이오? [40] Farce13466 19/01/05 13466 15
79628 [일반] 저도 써보는 주먹왕랄프 2 감상(스포있음) [14] 말랑6599 19/01/05 6599 0
79627 [일반] 노인들은 가고 싶어도 못 가는 식당 [99] 홍승식18996 19/01/05 18996 13
79626 [일반] 자율신경실조증 극복기 [41] Quasar20595 19/01/05 20595 14
79625 [일반] 하태경 이준석의 워마드 저격발언 [188] 유소필위17816 19/01/05 17816 56
79624 [일반] 한국(KOREA)종교에 대한 생각 [24] 잘생김용현7642 19/01/04 7642 9
79623 [일반] 한국(KOREA)무술에 대한 생각 [40] 성상우9167 19/01/04 9167 7
79622 [일반] 한국(KOREA)음악의 대한 생각 [15] 성상우7894 19/01/04 7894 5
79621 [일반] 조용기목사님의 바라봄의 법칙의 문제점 [28] 성상우8437 19/01/04 8437 1
79620 [일반] 24시간 긴장남의 긴장 안하기 훈련 [50] 와!8953 19/01/04 8953 15
79619 [일반] 보수 vs 진보 [63] 싱어송라이더8844 19/01/04 8844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