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1/30 00:40:59
Name 인간흑인대머리남캐
Link #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346&aid=0000023650
Subject [일반] 의료용 대마가 일부 합법화 됩니다 (수정됨)
"난치병 환자, 의료용 대마 사용 가능해진다… 국회 본회의 통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4&oid=346&aid=0000023650

법률안 원문:  http://pal.assembly.go.kr/law/readView.do?lgsltpaId=PRC_S1H8O0U1X0R5B1K4F2A6L4B3F3J3O1

의료용 대마 합법화와 관련하여 올해 초에 입법 예고되고 9월에 발의된 "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합니다.

핵심 내용은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같은 희귀·난치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되는 대마성분의약품을 희귀·필수의약품센터를 통해 수입해 사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입니다.

투약 효과가 극적이라는데, 기사에도 나왔듯 작년에 자녀 치료를 위해 몰래 들여왔다가 처벌받은 부모의 사례가 있었죠.
평균 수명이 늘면서 한국도 이런 환자 수가 계속 증가하는 추세구요.

제목에 일부라고 쓴 이유는 아직 제조 가능 여부에 대해선 나온게 없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현재 안동시가 지역산업 때문에 의료용대마 합법화를 강력히 밀고있는 상황입니다.

부디 바람직한 방향으로 연쇄작용이 일어났으면 합니다.






* Camomile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8-12-01 13:08)
* 관리사유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미트리아
18/11/30 00:44
수정 아이콘
훨씬 강한 마약류도 의료용으로 잘쓰는데
대마만 못 쓰는 것도 이상했죠
이밤이저물기전에
18/11/30 00:53
수정 아이콘
대마초가 진통제로는 효과가 참 좋지요
게다가 아편베이스 진통제처럼 중독 위험이 있는게 아니라서...
또 파킨슨병으로 인한 운동장애 개선 효과가 있어서
의료용 대마 합법은 찬성 합니다
물론 이렇게 되면 또 암거래가 생기는게 필연적이라고 하실 분들도 계시겠지만...
그래도 한국은 미국이랑 달라서 약물오남용이 판칠거 같지는 않습니다
18/11/30 00:56
수정 아이콘
대마초랑 아편이랑 진통 효과는 뭐가 더 세나요?
포프의대모험
18/11/30 01:03
수정 아이콘
아편(모르핀)이 압도적이죠
솔로14년차
18/11/30 01:06
수정 아이콘
해당 계통에 속한다는 진통제를 맞은 적이 있는데, 정말 맞는 순간 비몽사몽이더군요.
이밤이저물기전에
18/11/30 01:45
수정 아이콘
저야 의료인이 아니라 잘은 모르지만
진통효과로는 아편베이스가 압도적일겁니다. 다만 Active dose / lethal dose ratio 가 높고 중독성이 있기 때문에 의료시술이나 수술후 진통제로 쓰이고... 달고 사는 만성 통증 같은 종류에는 대마가 참 요긴하지요. 중독성도 훨씬 낮고 대마로 인해 죽는 사람은 여태껏 없다 하니까요.
홍승식
18/11/30 01:02
수정 아이콘
다른 마약성 진통제와 같은 수준으로 관리받으면야 뭐가 문제일까 싶네요.
18/11/30 01:25
수정 아이콘
의료용 대마하면 뉴프라이드만 생각나네요
매일푸쉬업
18/11/30 02:38
수정 아이콘
과연 프로포폴처럼 악용사례 기사가 나올지
kartagra
18/11/30 02:38
수정 아이콘
의료용인데 안되는게 이상했죠. 훨씬 강력한 마약도 의료용으론 쓰이는데 말이죠.
Meridian
18/11/30 06:56
수정 아이콘
타진이나 오코돈도 의료용으로 잘쓰이는데 대마가 안되는게 이상하죠
18/11/30 09:08
수정 아이콘
마약 합법화의 아이콘 같은 느낌이 되버려서 못들어온거지 그동안 의료용 사용을 막은게 이상한거죠.
괄하이드
18/11/30 10:40
수정 아이콘
사실 당연히 가능했어야 하는건데, 지금까지 막았던게 심각하게 비합리적이었던거죠.
대마가 뭐라고 왜이렇게 난리인지 크크
온리진
18/11/30 11:45
수정 아이콘
폐렴 걸렸을때 마약류 알약 처방받아서 먹어본적이 있는대 효과 짱이더군요
말다했죠
18/11/30 12:06
수정 아이콘
올해 https://www.sisain.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2072 이 기사 보고서 참 시대착오적이라 생각했는데 다행이네요
트윈스
18/11/30 12:29
수정 아이콘
진작 했어야죠.
18/11/30 15:26
수정 아이콘
진작 했어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224 [일반] 지각을 할 것 같다. [41] 전직백수7470 18/12/10 7470 40
79223 [일반] [단상] 2030대 남성의 분노를 깨닫지 못하는 민주당 [233] aurelius16908 18/12/10 16908 39
79222 [일반] 그래서 군대 없앨거야? [414] 수지느15733 18/12/10 15733 48
79221 [일반] 준공이 5년 늦춰진 월드컵 대교와 프로젝트 일정계획 [7] 삭제됨5986 18/12/10 5986 12
79220 [일반] 문재인 대통령과 민주당에 대한 오해 및 변명 [255] 음냐리16250 18/12/10 16250 32
79219 [일반] 마트에서 겪은 일 [17] 블랙번 록7935 18/12/09 7935 0
79218 [일반] 연동형비례제 찬성 국민 66% “지역구 투표가 좋아” [59] 베라히9341 18/12/09 9341 0
79217 [일반] 윤창호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운전자들은 더욱 편안해졌습니다. [39] 복슬이남친동동이11097 18/12/09 11097 10
79216 [일반] 저는 아이를 못낳을것 같아요 [45] 로즈마리14245 18/12/09 14245 29
79215 [일반] 알았으니까, 링으로 올라오세요. - 리마스터 [10] 와!6589 18/12/09 6589 6
79214 [일반] 나도 고위공직자가 되기 적합할까? [14] 잊혀진영혼6543 18/12/09 6543 4
79213 [일반] 크크 이래도 민주당 찍을 거야? -> 응 그래도 민주당 찍어~ [388] 삭제됨41416 18/12/09 41416 43
79212 [일반] 화난 사람들을 달래주지 못하는 정부. [434] 미하라23865 18/12/09 23865 91
79211 [일반] 1749일 연애 끝 [18] 시드마이어9724 18/12/09 9724 25
79210 [일반] [뉴스 모음] No.219. '언론인', 아니 '천룡인'들의 '아님 말고' 외 [37] The xian12777 18/12/09 12777 26
79209 [일반] 유전자 조작 아기 논란. 유전자가 정말로 조작된 아이가 태어났는가? [27] 해바라기11192 18/12/09 11192 12
79208 [일반] 아이패드 프로 3세대 12.9인치 사용후기 [35] 아타락시아114112 18/12/09 14112 5
79207 [일반] [좋은 음악 셋]너네 집에서 통배권을 맞고 으악! 소리지르며 귀르가즘을 느끼네 [13] Roger6048 18/12/09 6048 1
79206 [일반] 유승민, 세월호 유가족 사찰로 수사받고 자살한 이재수의 빈소를 찾다. [242] 18365 18/12/08 18365 37
79205 [일반] 유비와 조조는 언제 처음 만났는가? [2] 서현126326 18/12/08 6326 7
79203 [일반] 할당제의 한 사례 [69] 절름발이이리16461 18/12/08 16461 7
79202 [일반] 오랜만에 써보는 미국산지 10년차 뉴비의 생활이야기 [18] 씨나몬8924 18/12/08 8924 6
79201 [일반] 타칭 여혐 비례대표는 가능한가 [4] minyuhee7000 18/12/08 7000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