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5/28 23:15:38
Name Danial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nM6yMAvwjkE
Subject [일반] 신에 가장 가까웠던 복서




제가 포먼과 더불어 복싱 역사에서 인간을 초월했다고 느낀 유이한 사람은 로이 존스 주니어입니다. 그는 올림픽 역사상 최악의 오심으로 꼽히는 88년 서울 올림픽의 복싱 경기 희생자이기도 하죠(금메달은 한국의 박시헌)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동정 여론을 안고 성공적으로 데뷔한 로이 존스는 89년 미들급에서 그의 커리어를 시작합니다.

이후 22전째에 훗날 미들급의 역대 최다 타이틀 방어자이자 최고령 챔피언이 될 버나드 홉킨스를, 27전째에 당시 마이클 넌과 아이란 바클리, 마이크 맥컬럼을 잡고 기세등등하던 제임스 토니를 갖고 논 다음 비니 파시엔자, 메르퀴 소사, 마이크 맥컬럼을 모두 정리하면서 계속해서 체급을 높입니다. 40전을 넘어가면서 유일한 흠이라면 당시 무패이던 몬텔 그리핀과의 승부에서, 9라운드에 다운당한 그리핀을 때린 것으로 인해 실격패 당한 것인데 5개월 후 벌어진 2차전에서 로이 존스는 그리핀을 공이 울린 지 2분 31초 만에 끝장냅니다. 당시 충격적으로 링을 굴러다니던 그리핀의 모습은 존스를 만난 복싱 시장의 충격파를 대변하는 것이었습니다.

160파운드의 미들급에서 시작하여, 제임스 토니를 슈퍼미들급에서 물리친 후 6차례의 방어전을 치룬 뒤 올라간 라이트헤비급은 존스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체급입니다. 라이트헤비급에서 존스는 위에서, 아래에서 올라오는 모든 선수들을 모조리 격파하며 쪼개져 있던 타이틀을 병합합니다. 27전 무패의 훌리오 세자르 곤잘레스를 격파했을 때 존스가 갖게 된 라이트헤비급 벨트는 모두 6개로, 당대의 모든 메이저, 마이너 단체를 갖고 있던 것입니다.

존스의 스타일은 한 단어로 설명이 가능합니다. 슈퍼복싱테크닉. 존스는 상대방이 잽을 치는 속도에 원투를 칠 수가 있었고(하이라이트 영상의 7분 4초) 슈거 레이 레너드가 심리전을 위해 종종 사용하던 붕붕 펀치를 갖고도 상대방의 머리를 헤드헌팅할 수 있었습니다. 두 손을 아래로 내리고도 모든 펀치를 피해낼 수 있었고, 때론 농구 경기를 뛰고 와 복싱 경기에 들어서기도 했습니다. 상대방과의 우월한 격차로 인해 재미가 없자 아예 스스로 링 코너로 들어가 상대에게 들어오라고 하기도 했죠.

존스는 스스로를 신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했습니다. 알리가 Greatest of the All Time이라고 불리웠던 것은 그의 업적뿐만 아니라 그의 인격과 캐릭터에 매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진정으로 실력만으로 로이 존스는 GOAT였으며 모던 에라 복싱의 신이었습니다. Elo rating 식으로 말하자면, 그와 나머지는 400점 이상의 격차가 있었죠.

존스 커리어의 정점은 2003년, 헤비급으로 올라가 존 루이츠를 패배시킴으로서 헤비급 챔피언이 된 것입니다. 1897년 밥 피치몬스 이후로 미들급에서 활동했던 선수가 헤비급 챔피언이 된 적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백여 년이 흘러서 로이 존스가 처음으로 미들급 챔피언으로 시작하여 헤비급을 정복한 것입니다. 헤비급은 다른 체급과 달리 체중의 상한선이 없습니다. 당일 로이 존스와 루이츠는 33파운드(약 15kg) 정도의 몸무게 차이가 났고, 160파운드에서 시작했던 선수가 사실상의 무패로 193파운드의 몸으로 헤비급까지 정복한 것은 이후 매니 파퀴아오가 플라이급에서 시작해 슈퍼웰터급을 장악했던 순간 정도는 되야 비견될 위업입니다.

그리고 존스의 급격한 몰락이 시작됩니다.

안토니오 타버는 존스가 라이트헤비급에 있을 때 정리하지 못했던 선수입니다. 앞서 말했던 몬텔 그리핀 실격패가 없었다면 존스가 타버를 정리할 시간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물음은 좋은 물음이지만, 어차피 루이츠 전 이후로 존스의 몰락은 타버가 아니라 누군가에 의해서든 벌어질 일이었습니다. 헤비급에 올라섰다가 다시 라이트헤비급으로 내려오는 과정에서 존스의 몸 상태는 다시는 원래대로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헤비급 선수와 맞싸우기 위해 존스는 193파운드까지 몸을 찌웠고, 다시 8개월 뒤의 안토니오 타버 전에서는 175파운드로 낮춰야 했습니다. 이 날 존스는 평소답지 않은 모습으로 타버에게 많은 유효타를 허용했으며, 논란의 매저리티 디시전(부심 2명이 로이 존스 우세, 1명은 무승부 판정)을 받습니다. (저는 존스의 승리라고 봅니다)

하지만 팽팽했던 승부는 바로 2차전으로 이어집니다. 타버는 이 경기의 시작 전 질문이 있냐는 형식적인 물음을 하는 레퍼리에게 역사에 기록될 유명한 발언을 남깁니다. "I got a question. You got any excuses tonight, Roy?"

그리고 타버는 존스를 2라운드 시작과 동시에 넉아웃 시켜버립니다. 존스는 선수 생활 내내 그런 펀치를 허용해 본 적이 없었고, 마치 더글라스에게 넉아웃 당했을 때의 타이슨처럼, 갑작스레 찾아온 넉다운에 아무런 대처를 하지 못했습니다.

이카루스의 몰락은 계속되었습니다. 존스는 복귀전인 글렌 존슨, 안토니오 타버 3차전에서 계속해서 패배를 거듭했으며 조 칼자게 같은 선수들에게도 졌습니다. 추락한 선수를 뜯어먹으려는 독수리들은 계속해서 찾아왔습니다. 50+승을 무패로 기록할 수 있었던 선수는 이미 망가진 몸을 가지고 계속해서 경기를 가졌지만 호주까지 가 2라운드만에 넉아웃 되는 모습을 보며 그를 아끼는 선수와 팬들은 더 이상의 손상 이전에 빨리 은퇴할 것을 호소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계속해서 경기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HBO 해설자이기도 하지만(예컨대 제이크 질렌할이 주연한 사우스포에는 로이 존스의 목소리가 해설로 출연합니다) 2018년 2월에도 경기를 가졌더군요.

신체로만 경기를 하던 선수가 신체를 잃게 되자 어떤 모습이 되는지, 그리고 그 신체는 얼마나 대단한 것이었는지 한 번 더 되새기게 됩니다. 기회가 된다면 이 선수의 커리어상의 라이벌인 버나드 홉킨스에 대해서도 써 보고 싶은데 시간이 날 지는 잘 모르겠군요. 밑의 영상이 로이 존스의 비상과 몰락에 대해 잘 다루고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wersdfhr
18/05/28 23:30
수정 아이콘
분명 대단한 선수였던건 사실이지만

최전성기에 스테로이드 적발 되어서 많이 좀 실망스러운 경우이기도 하죠

물론 딱히 로존주만 약물 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당장 최근의 카넬로만 봐도;;
18/05/29 00:12
수정 아이콘
카넬로가 걸린 건 커미션에서 묻어 버리려고 하는 것 같더군요.
...And justice
18/05/29 00:45
수정 아이콘
vs 나심 하메드.. 상대방 농락 스킬은 누가 더 높을까요?크크
먼치킨급 실력에 스타성도 갖춘 복서가 언제쯤 다시 나올런지..
18/05/29 00:59
수정 아이콘
비슷한 느낌이지만 하메드와 존스는 당대의 실력과 업적 면에서 격차가 큽니다. 무엇보다 정통 실력파 복서에게 쪽도 못 썼다는 것(mab전)이 크구요. rjj는 홉킨스, 토니, 파시엔자 등 수많은 도전을 물리쳤습니다.

현 세대에서 이견 없이 실력과 스타성 모두를 갖춘 복서는 바실 로마첸코입니다. 지금 실력만으로 상대방을 농락하는 수준이죠.
...And justice
18/05/29 01:02
수정 아이콘
빅게임 있을때만 챙겨보는 복알못인데 바실은 처음들어보네요. 영상 좀 챙겨봐야겠네요.감사합니다
18/05/29 01:21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ZHAe-SaplCw

하이테크를 한 번 맛보시죠
무더니
18/05/30 19:51
수정 아이콘
와 이건 예술이네요. 그냥 농락 그자체군요
18/05/29 12:0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차베스 알리 포먼 로이존스 순으로..
나이스
18/05/29 17:30
수정 아이콘
헤비급 제패 이후로 왜 기량이 급격하게 다운됐나요?
18/05/29 17:43
수정 아이콘
자신의 내추럴 체급을 넘어 무리하게 증량했다가 (약 15kg) 다시 원복하는 과정을 단기간에 수행했다가 신체가 그렇게 됐습니다.

복싱은 체급 스포츠다 보니 컨디셔닝에서 문제가 생겨서 게임을 완전히 말아먹는 경우가 왕왕 생기는데 제일 유명한 케이스로는 타미 헌즈가 레이 레너드 1차전에서 맛이 간 적이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234 [일반] 지금 나는 어떤 개 한마리가 없어졌으면 합니다. [63] 자루스14839 18/06/09 14839 15
77233 [일반] 학벌 콤플렉스 생긴썰 [149] 참교육25632 18/06/08 25632 8
77231 [일반] KBS에서 싱가포르 북한 대사의 집에 무단침입했다가 잡혔습니다 [93] 다빈치16379 18/06/08 16379 10
77229 [일반] 박진성 시인 근황(내용 추가) [34] 화이트데이18974 18/06/08 18974 36
77227 [일반] [뻘글]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혁명(발견,발명)은 뭘까요? [138] 홍승식13188 18/06/08 13188 0
77226 [일반] 여가부 공무원, 美대사관에 '망명'을 이유로 차량 돌진 [49] aurelius15195 18/06/08 15195 0
77223 [일반] Daily song - Beautiful day of G.NA, 산체스(Phantom) [5] 틈새시장5735 18/06/07 5735 0
77222 [일반] 제2차 세계대전의 소름돋는 스케일.txt [45] aurelius18645 18/06/07 18645 2
77220 [일반] [인피니티 워 스포 함유] 서울대에도 타노스가? [150] 주인없는사냥개21472 18/06/07 21472 3
77217 [일반] [기사] 우리나라 대륙철도 길 열렸다…北협조로 국제철도협력기구 가입(종합) [112] 콜드플레이14625 18/06/07 14625 7
77216 [일반] 자학의 시간 [7] Song15972 18/06/07 5972 6
77215 [일반] 양자컴퓨팅, 인공지능, 그리고 블록체인 [16] 다록알12544 18/06/07 12544 3
77214 [일반] [코인조심] 코인과의 추억담(좀 깁니다.) [29] s23sesw9574 18/06/07 9574 2
77212 [일반] [쥬라기 월드 : 폴른 킹덤] 봤습니다...... 만, 전 조금 실망이었습니다. <스포일러 있습니다.> [59] 카페알파11149 18/06/07 11149 0
77211 [일반] 주식전업투자자의 주식책 추천 [44] KBNF17141 18/06/07 17141 27
77210 [일반] 나도 써보는 저탄고지 4주차 수기 [32] ShuRA17533 18/06/07 17533 3
77209 [일반] (해외 축구) 월드컵을 뛰어보지 못한 최고의 선수 TOP10을 꼽아봤습니다. [9] 기관총10984 18/06/07 10984 13
77208 [일반] Daily song - 일하러가야돼 of Beast [3] 틈새시장4752 18/06/07 4752 0
77207 [일반] 연세대학교의 시위자 몰카 및 조리돌림 그 이후 [129] 파이어군19164 18/06/06 19164 12
77206 [일반] 우리나라 왔다가 어제 귀국한 두테르테 이야기 [171] Blackballad18839 18/06/06 18839 5
77205 [일반] 잊지 못할 첫 경험 [41] 빛돌v14980 18/06/06 14980 21
77204 [일반] 오랜만에 부모님 폰 사드리기. [7] 커피소년8674 18/06/06 8674 1
77203 [일반] Elo 점수 시스템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47] 스카이저그20003 18/06/06 20003 2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