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0/17 09:02:45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단상] 슈테판 츠바이크, "어제의 세계"를 읽고


오스트리아 작가 슈테판 츠바이크의 [어제의 세계]를 읽고 있는데, 정말 재미있네요. 

사실 그의 저서는 요즘 유럽 관련 칼럼 등에서 자주 인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읽어본 적이 없어서 해당 칼럼들이 잘 이해되지 않았었는데, 그래서 어제 구매해서 읽어보기 시작했어요. [어제의 세계]는 슈테판 츠바이크가 자신의 생애를 돌아보는 회고록인데, 19세기말 - 20세기초 비엔나의 분위기, 그리고 유럽의 벨에포크의 분위기를 정말 생동감 있게 그려냅니다. 

그가 회고하길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 비엔나는 다양한 인종과 언어가 평화롭게 공존하던 코스모폴리탄 도시였고, 여러 종류의 파격적인 미술과 건축기법이 시도된 도시였으며 또 새롭고 외설적인 철학과 사상이 거리낌 없이 받아들여진 도시였습니다.  슈테판 츠바이크는 그러한 분위기를 사랑했고, 또 이런 코스모폴리탄 비엔나, 나아가 코스모폴리탄 유럽이 인류의 지향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사랑한 유럽은 1914년 제1차세계대전으로 부서지기 시작했으며 또 전후 파시즘의 대두로 완전히 무너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히틀러가 프랑스를 수개월만에 정복하자 그는 모든 희망을 잃어버리고 결국 브라질로 망명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거기서 자살을 하게 됩니다. 

[어제의 세계]는 어떻게 보면 일종의 유서인 거 같습니다.자유분방하고 감성적인 지식인이 죽기 전에 자신이 사랑했던 세계에 대한 기억, 또는 역사를 남기기 위해 마지막 힘을 짜냈다고 할까요. 

근데 19세기말 비엔나의 대학 분위기는 요즘 미국 명문대와 똑같네요 크크. 츠바이크가 회고하길 비엔나 상류층 대학생들은 학문은 등한시하고 사교클럽에 입단하고 토할때까지 술마셨다고(...) 게다가 알몸으로 뛰어댕기면서 경찰들 놀리는 등 여러 객기를 부리면서 선배들한테 인정받으려고 하고 학문 성취보다 이러한 클럽에서 입지를 쌓는게 좋은 직장에 취업하는 지름길이었다고 합니다. 요즘도 미국 명문대의 70프로는 이런 상류층 자제들이라고 하던데... 예일대 본즈앤스컬 같은 동아리가 권력의 핵심이고.. 누구의 친구 누구의 선배 누구의 후배 이런 걸로 취업 프리패스길이 열리죠...

아무튼 벨에포크와 암흑의 세기를 모두 겪었던, 그리고 끝내 희망을 잃었던 사람의 회고록인데, 교양서로 읽어볼만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홍삼모스키토골드
17/10/17 09:48
수정 아이콘
비엔나는 한번도 가보지 못했지만 비엔나 천재들의 붉은 노을이란 책을 오래전에 읽고, 경험도 해보지 못한 시대임에도 아련한 그 무언가를 사랑해보고 싶은 느낌을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호모 루덴스
17/10/17 14:48
수정 아이콘
19세기은 말그대로 유럽의 시대였고, 유럽의 최절정기였죠.
17/10/17 16:57
수정 아이콘
상당히 호평을 받고 있는 책이라고 알고 있는데 읽을 목록에만 올려놓고 읽어보지는 못했는데 다시한번 상기하게 됐네요. 아우렐리우스님이 가끔 책 소개해주실때마다 상당히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367 [일반] 에르도안의 근본주의 독재로 인해 추락하는 터키 경제 [48] 테이스터11329 17/10/28 11329 4
74366 [일반] 성추행자의 사과문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786 17/10/28 11786 0
74365 [일반] 한국인들에게 던져진 질문 [18] minyuhee10478 17/10/28 10478 6
74364 [일반] 북핵 규탄 결의안 한국과 미국의 기권으로 언론의 불신이 표면에 나온 것이 아닌 가 싶습니다. [217] MaruNT22615 17/10/28 22615 33
74361 [일반] 이진성 재판관 헌재소장 지명 [7] 안경8549 17/10/28 8549 0
74360 [일반] 생소하고 비 도덕적이고 비 상식적인 이야기 [39] 욕망의진화11451 17/10/28 11451 0
74358 [일반] [단독] '다스로 옮겨진 수상한 120억'…비자금 의혹 문건 입수 [23] 태연이10763 17/10/27 10763 17
74357 [일반] 저도 한 번 써보는 뷰티풀 군바리 라시현 리뷰 [12] Samothrace7079 17/10/27 7079 1
74356 [일반] 카탈루냐의회, 독립 선포안 가결 & 스페인 상원 카탈루냐 자치권 박탈 [150] 홍승식13685 17/10/27 13685 2
74355 [일반] 이마트 노브랜드 제품들 리뷰 [110] 피카츄백만볼트19413 17/10/27 19413 2
74354 [일반] 할무이... 나 라면... [19] 고무장이9123 17/10/27 9123 28
74352 [일반] 고 "한일관" 대표의 사망과 관련한 논란거리와 사실정리 [115] 토니토니쵸파16568 17/10/27 16568 31
74351 [일반] 뷰티풀군바리 - 최근 3화를 보고 든 라시현에 대한 생각 [35] pioren11818 17/10/27 11818 6
74350 [일반] 1000여개의 공기업 채용비리 전수조사! [100] 무가당12574 17/10/27 12574 16
74349 [일반] [일본정치] 고이케 유리코 희망의 당 근황 [52] Remastered12666 17/10/27 12666 2
74348 [일반] 미국의 존 F. 케네디 암살 기밀문서 공개가 일부 보류되었습니다. [30] Misaki Mei12584 17/10/27 12584 2
74347 [일반] [뉴스 모음] 또 다시 국정원 이야기 외 [29] The xian12666 17/10/27 12666 37
74345 [일반] 美상원의원, 트럼프의 北 선제타격 제동 법안 추진 [10] aurelius8938 17/10/26 8938 4
74344 [일반] 이시형 씨는 누구 아들이죠? [31] 삭제됨14441 17/10/26 14441 24
74343 [일반] 이영학 사건에서의 초동수사 부실이 확인되었습니다. [36] 아유10793 17/10/26 10793 12
74342 [일반] [드래곤볼/스포많음] 현재까지의 에피소드 간략한 요약 [16] 태연이11091 17/10/26 11091 1
74341 [일반] 한국 대학생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 문재인, 김연아, 이순신 [100] 홍승식21979 17/10/26 21979 2
74340 [일반] 김택진 대표 장인 피살된채 발견 [42] Remastered18898 17/10/26 1889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