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0/17 09:02:45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단상] 슈테판 츠바이크, "어제의 세계"를 읽고


오스트리아 작가 슈테판 츠바이크의 [어제의 세계]를 읽고 있는데, 정말 재미있네요. 

사실 그의 저서는 요즘 유럽 관련 칼럼 등에서 자주 인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읽어본 적이 없어서 해당 칼럼들이 잘 이해되지 않았었는데, 그래서 어제 구매해서 읽어보기 시작했어요. [어제의 세계]는 슈테판 츠바이크가 자신의 생애를 돌아보는 회고록인데, 19세기말 - 20세기초 비엔나의 분위기, 그리고 유럽의 벨에포크의 분위기를 정말 생동감 있게 그려냅니다. 

그가 회고하길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 비엔나는 다양한 인종과 언어가 평화롭게 공존하던 코스모폴리탄 도시였고, 여러 종류의 파격적인 미술과 건축기법이 시도된 도시였으며 또 새롭고 외설적인 철학과 사상이 거리낌 없이 받아들여진 도시였습니다.  슈테판 츠바이크는 그러한 분위기를 사랑했고, 또 이런 코스모폴리탄 비엔나, 나아가 코스모폴리탄 유럽이 인류의 지향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그가 사랑한 유럽은 1914년 제1차세계대전으로 부서지기 시작했으며 또 전후 파시즘의 대두로 완전히 무너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히틀러가 프랑스를 수개월만에 정복하자 그는 모든 희망을 잃어버리고 결국 브라질로 망명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거기서 자살을 하게 됩니다. 

[어제의 세계]는 어떻게 보면 일종의 유서인 거 같습니다.자유분방하고 감성적인 지식인이 죽기 전에 자신이 사랑했던 세계에 대한 기억, 또는 역사를 남기기 위해 마지막 힘을 짜냈다고 할까요. 

근데 19세기말 비엔나의 대학 분위기는 요즘 미국 명문대와 똑같네요 크크. 츠바이크가 회고하길 비엔나 상류층 대학생들은 학문은 등한시하고 사교클럽에 입단하고 토할때까지 술마셨다고(...) 게다가 알몸으로 뛰어댕기면서 경찰들 놀리는 등 여러 객기를 부리면서 선배들한테 인정받으려고 하고 학문 성취보다 이러한 클럽에서 입지를 쌓는게 좋은 직장에 취업하는 지름길이었다고 합니다. 요즘도 미국 명문대의 70프로는 이런 상류층 자제들이라고 하던데... 예일대 본즈앤스컬 같은 동아리가 권력의 핵심이고.. 누구의 친구 누구의 선배 누구의 후배 이런 걸로 취업 프리패스길이 열리죠...

아무튼 벨에포크와 암흑의 세기를 모두 겪었던, 그리고 끝내 희망을 잃었던 사람의 회고록인데, 교양서로 읽어볼만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홍삼모스키토골드
17/10/17 09:48
수정 아이콘
비엔나는 한번도 가보지 못했지만 비엔나 천재들의 붉은 노을이란 책을 오래전에 읽고, 경험도 해보지 못한 시대임에도 아련한 그 무언가를 사랑해보고 싶은 느낌을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호모 루덴스
17/10/17 14:48
수정 아이콘
19세기은 말그대로 유럽의 시대였고, 유럽의 최절정기였죠.
17/10/17 16:57
수정 아이콘
상당히 호평을 받고 있는 책이라고 알고 있는데 읽을 목록에만 올려놓고 읽어보지는 못했는데 다시한번 상기하게 됐네요. 아우렐리우스님이 가끔 책 소개해주실때마다 상당히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386 [일반] MLB공인구 조작과 관련된 생각 [20] 비내린초원10425 17/10/30 10425 1
74385 [일반] 배우 김주혁 교통사고로 사망 [273] Remastered35864 17/10/30 35864 0
74384 [일반] 디스패치 조덕제 사건 보도 그 이후 [41] 빛당태14476 17/10/30 14476 9
74383 [일반] 케빈 스페이시 커밍아웃. [58] 삭제됨14977 17/10/30 14977 0
74382 [일반] 산부인과 의사 입장에서 쓴 낙태에 관한 몇 가지 정보와 시각 [94] 사업드래군14259 17/10/30 14259 15
74381 [일반] 반응이 귀신 같은 '그회사'와 '그정당' [55] 길갈13092 17/10/30 13092 22
74380 [일반] 내로남불은 인간의 종특 [273] 홍승식18035 17/10/30 18035 12
74377 [일반] NC김택진 대표 장인 살인사건의 이유가 리니지일 가능성이 높답니다.. [74] 자마린20622 17/10/30 20622 1
74376 [일반] 낙태죄 폐지 청원이 20만명을 넘어서 청와대의 공식 답변을 기다리게 되었습니다. [178] 홉스로크루소13704 17/10/30 13704 1
74375 [일반] '백전 노장' 한고조 유방 [60] 신불해24013 17/10/30 24013 43
74374 [일반] '제국의 위안부' 박유하 2심서 명예훼손 유죄…"상고할 것"(종합2보) [6] Marcion9334 17/10/29 9334 5
74373 [일반] 개인적 게임 BGM갑 삼국지5 [54] Croove15450 17/10/29 15450 9
74372 [일반] 몸살과 고양이 [12] 윌로우6996 17/10/29 6996 0
74371 [일반] 10월 초, 미국 캘리포니아를 덮쳤던 대형 산불 [9] 라플비9703 17/10/29 9703 0
74370 [일반] 군대에서 프로그래밍하기 2편 [2] 시드마이어12287 17/10/29 12287 4
74369 [일반] [뉴스 모음] 참을 수 없는 외교의 가벼움 외 [64] The xian16474 17/10/29 16474 66
74368 [일반] [스페인] 카탈루냐 사태 10/28일자 최신 상황 [25] aurelius12148 17/10/28 12148 1
74367 [일반] 에르도안의 근본주의 독재로 인해 추락하는 터키 경제 [48] 테이스터11334 17/10/28 11334 4
74366 [일반] 성추행자의 사과문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787 17/10/28 11787 0
74365 [일반] 한국인들에게 던져진 질문 [18] minyuhee10481 17/10/28 10481 6
74364 [일반] 북핵 규탄 결의안 한국과 미국의 기권으로 언론의 불신이 표면에 나온 것이 아닌 가 싶습니다. [217] MaruNT22619 17/10/28 22619 33
74361 [일반] 이진성 재판관 헌재소장 지명 [7] 안경8555 17/10/28 8555 0
74360 [일반] 생소하고 비 도덕적이고 비 상식적인 이야기 [39] 욕망의진화11453 17/10/28 1145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