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5/19 23:57:00
Name 헬로비너스나라
Subject [일반] 트루먼이 돌아왔다.
트루먼이 돌아왔다.
피터워머 감독의 영화 '트루먼 쇼'에서 트루먼은,
철저히 기획된 삶을 산다.
그가 가는 곳, 친구, 만나는 사람, 추억, 심지어 가족까지도 연출되며,
그의 친구와 가족은 뜬금없이 간접광고를 노출한다.
그의 일상은 그의 의지와 상관없이 생중계된다.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보고 있으면, 피터 워머 감독의 트루먼 쇼가 생각난다.
아이들은 해맑게 웃고, 시청자는 그 모습을 보며 다시 한번 해맑게 웃는다.
아이들은 그저 아빠와 함께 일상을 보내는 것뿐이지만, 시청자는 자신의 시간을 할애한다.
미리 갖춰놓은 내가 여행할 곳, 미리 갖춰놓은 내가 만나야 할 이모와 삼촌,
분명 모르는 사람이지만 모두가 나를 알고 있고 정답게 인사한다.
트루먼과 마찬가지로 내 가족, 나의 친구, 나의 삼촌은 간접광고를 노출한다.
사실 아이들의 방송 출연권(심지어는 출연료까지) 부모가 결정한다.
아이들은 자신이 선택한 삶이 아닌데도 나의 사생활을 공개한다.
육아라고 하지만, 다분히 상업주의적인 것들이다.

요즘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아이들을 보고 있노라면,
트루먼 쇼의 트루먼을 보는 것 같아 측은한 마음이 든다.
분명 본인들이 결정한 출연이 아니지만 (엄밀히 말하면 출연 여부를 결정할 판단력조차 없다고 하는 게 맞겠다)
나의 사생활은 철저히 노출되어 있으며, 세상 사람 모두 나를 알아보는 삶을 산다.

뭐 물론 본인이 행복한지 않은지, 아빠와의 일들이 추억으로 남을지 나쁜 기억으로 남을지 나야 모르는 일이지만, 철저히 기획된 아이들의 삶을 관찰하고 있는 게 나는 트루먼 쇼를 보는 시청자처럼 느껴진다.

트루먼 쇼의 트루먼이 자신이 택한 드라마가 아니듯, 슈돌의 아이들도 자신들이 택한 예능이 아닐 텐데.

삼둥이가 말한다. "안녕하세요 공룡삼촌!"
트루먼이 말한다. "미리 인사해두죠. 굿 애프터눈, 굿 이브닝, 굿나잇."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서건창
17/05/20 00:31
수정 아이콘
이런 프로그램이 없으면 제대로 육아에 참여하지 않을 아버지들도 있다 보니(특히 직업적 특성상) 굳이 나쁘게 볼 것만은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그런 경우엔, 비록 카메라가 따라다니더라도, 아버지와 함께하는 유년기가 더 큰 행복으로 자리매김할 수도 있으니까요.
유아기를 벗어나서까지 출연하는 건 '사생활'이라는 측면에서 문제가 클 수 있겠지만 (이런 면에선 아빠 어디가가 더 큰 문제였지 않나 싶습니다) 글쎄요. 문제 제기 자체는 타당하다고 보는데 실제 피해나 침해가 그렇게 큰지는 잘 모르겠네요.
17/05/20 01:11
수정 아이콘
아이 아버지로써 저런 프로의 단점이 더 부각되게 느껴집니다
이휘재가 게릴라 어린이 실내 놀이방 이벤트 하는 방송을 보는데 정상적인 가정의 가장이 저길 참여하긴 힘들거든요
방송인의 돈버는 구조와 정상인이 회사다니는 메카니즘은 확 다른데 방송인 기준으로만 접하니 제가 하는 희생은 아무것도 아니고 무능으로만 보이게 만드는걸로 보이거든요
마음속의빛
17/05/20 10:02
수정 아이콘
TV에 등장하는 소품 중에 협찬받는 게 있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정말 넓고 좋은 집과 좋은 물건들, 쉽게 구하기 어려운 육아용 물품 등은 신선함을 줄 수도 있지만,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에게는 자괴감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프로그램이 의도적으로 피해를 주는 건 아니지만, 보고있으면 왠지 비교되는 느낌을 받게 되는 경우도 있어요.

드라마 주인공을 보며 시청자가 감정이입을 하듯, 예능 프로그램을 보며 감정이입을 하는데,
가정에서 가족이 예능 프로그램을 보며 아이가 '나도 저런 거 갖고 싶다' 라고 말할 때 부모가 느끼는 감정은.... 다양하겠죠.
17/05/20 01:15
수정 아이콘
글을 읽어보니 진짜 트루먼쑈랑 프로그램 형식이 같네요.
모든 리얼리티 쑈가 트루먼쑈에 가까워 질수록 사람들은 재미있어하고....
좋은글 감사합니다.
답이머얌
17/05/20 02:22
수정 아이콘
그런데 내가 특이한 건지, 남들 사는거에 다들 관심이 많더라구요.

애들 프로그램도 그렇고, 수많은 토크쇼에서 자기들끼리의 잡담도 그렇고...원래 생존을 위해 남에게 관심 갖는게 필요해서 그렇다고 하는데, 그런 면에서 보면 난 산속에서 홀로 살던 사람의 후예인 모양입니다.
LightBringer
17/05/20 02:46
수정 아이콘
트루먼이라길래 해리 트루먼 머통령을 먼저 떠올렸는데 트루먼 쇼였군요.
언어물리
17/05/20 06:12
수정 아이콘
트루먼 대통령이 다시금 어떤 재조명을 받는건가 생각했는데..

확실히 육아프로에 글에서 지적한 류의 문제가 있죠.
17/05/20 07:42
수정 아이콘
오 일리가 있네요. 정도 문제지만, 이미 약간 과하다고 볼 여지가 있는 듯 하네요.
미나사나모모
17/05/20 07:58
수정 아이콘
육아 프로그램 별로입니다 ㅠㅠ 완전 딴 세상 얘기를 장황하게 늘어놓는데 재미마저 없더군요..
성동구
17/05/20 10:04
수정 아이콘
저는 육아프로그램 보면 어마어마하게 좋은집에서 일반인들은 못하는 다채로운 경험을 하는 아이들을 보면서, '그래 쟤네가 진성 귀족이지' 라는 생각이 듭니다.
아유아유
17/05/20 12:18
수정 아이콘
저도 참 별로이고 현실반영 못한다 생각하지만(일단 재미도 없고)...저런 프로를 선호하는 시청층 힘이 더 세니까 계속 나오는 걸테고
게다가 그런 계층의 워너비적인 경향까지 생각해보면..시청률이 나오는 한 계속 나오겠죠.(가상결혼 어쩌구 같은것도 더욱 마찬가지고)
영원한초보
17/05/20 13:34
수정 아이콘
시청자 입장은 모르겠고 트루먼과 아이들이 중요한거죠.
트루먼쇼에서 갈등의 시작은 환경이 실제가 아니라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길에서 벗어나려고 할때 입니다.
그런데 아이들에 대한 자유는 방송이 아니어도 부모들이 통제하고 경제력에 영향력을 받습니다.
그래서 트루먼과 아이들이 같은 입장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아이들은 방송기간이 제한적이죠.
'아빠 어디가'가 아이들에게 좋은 영향이였는지 나쁜 영향이였는지 모르겠습니다.
윤후는 잘지내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17/05/21 00:34
수정 아이콘
순수한 아이들의 눈에는 이상한 일이겠죠.
삼둥이는 친구에게 이렇게 물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너는 티비 언제 나와?" "저 아줌마가 왜 넌 아는체 안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326 [일반] 가상화폐로 돈벌기와 주의점 [14] 11150 17/06/10 11150 9
72325 [일반] 도종환 의원이 과연 환빠(유사역사학자)인가? [158] 틀림과 다름12849 17/06/10 12849 2
72324 [일반] 어떤 영어 욕이 가장 센 영어 욕인가?... [51] Neanderthal30918 17/06/10 30918 19
72323 [일반] 요즘은 fm 이야기가 별로 없네요. (부제: 10년 노트북유저의 데탑 구입기) [40] WhiteBerry8894 17/06/10 8894 3
72322 [일반] 인공지능의 판결 [34] 메르시8057 17/06/10 8057 17
72321 [일반] 싱갈릴라 리지 트렉[SINGALILA RIDGE TREK] - 데이터 주의 [3] 로각좁4499 17/06/10 4499 8
72320 [일반] 2017년 5월 국내자동차 판매량 [19] G707913 17/06/10 7913 0
72319 [일반] SR(수서고속철) 사장, "적자 나는 경춘선, 우리가 운영하면 흑자" [76] 군디츠마라12696 17/06/10 12696 4
72318 [일반] 군인의 국가배상금지규정에 작은 빵꾸가 뚫렸습니다. [23] Marcion10476 17/06/10 10476 15
72317 [일반] 안희정 지사가 3선 포기하고 내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나올듯 하네요. [104] 어리버리19626 17/06/09 19626 5
72316 [일반] '테이저건 진압' 10대 결국 형사처벌 [84] 손나이쁜손나은14908 17/06/09 14908 15
72315 [일반] 정치 이모저모 [51] 로빈16589 17/06/09 16589 12
72314 [일반] 503 공식 인증, 나쁜 남자, 컴백하다~ [58] 황약사14944 17/06/09 14944 29
72313 [일반] 시간 못지키는 국철1호선 [26] 아침바람9188 17/06/09 9188 0
72312 [일반] 靑 “강경화 후보자 지명 철회 없다”(종합) [185] 아라가키19729 17/06/09 19729 38
72311 [일반] [단편] 05 드래곤나이트의 모험 [24] 글곰8486 17/06/09 8486 32
72310 [일반] 모아둔 드래곤볼 피규어를 선보입니다 [52] 탕웨이13718 17/06/09 13718 43
72309 [일반] [한국갤럽] 6월 2주 -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82% [48] 킹보검12540 17/06/09 12540 6
72307 [일반] 영국 총선 출구조사 내용 [25] 블랙번 록10423 17/06/09 10423 0
72306 [일반] [독후감] Ayn Rand, Anthem (아직 번역본이 없는 듯 합니다) [16] OrBef10855 17/06/09 10855 8
72305 [일반] 힘든 밤 입니다. [17] 정유지7308 17/06/09 7308 22
72304 [일반] One Love Manchester 감상기 (유투브 주의) 덴드로븀3695 17/06/09 3695 0
72303 [일반]  단편(제발)소설(응?) - 그 남자의 모자람 1화 [2] Alchemist14490 17/06/09 449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