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2/18 04:07:30
Name aDayInTheLife
Subject [일반] 맨체스터 바이 더 씨 보고 온 후기 (스포일러)
맨체스터 바이 더 씨에서의 과거는 툭 던져집니다. 어느 순간 불현듯 갑자기 떠오르는 일들과 시간들인 셈입니다. 과거의 행복했던 순간들과 현재의 순간들이 약간은 뜬금없이 교차합니다. 근데 영화 상에서 과거에 무슨 일이 있었나 라는 질문은 중요한 듯 중요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오히려 그보다는 과거에 있었던 일이 남긴 여파들에 관한 이야기들 같거든요.

영화는 그래서 초반부의 갑작스러운 회상들에 비해 중반부 꽤 정리된 형태의 긴 회상을 보여줍니다. 그러고선 과거 이야기는 거의 없어요. ‘왜 저러지?’에서 출발해서 ‘그래서 그랬구나’가 중반부 조금 안되는 지점에서 밝혀지고 나면 남는 것들은 여파들입니다.

갑작스럽게 던져진 회상 속에서 ‘리 챈들러’에게 닥친 일들도 예상치 못하게 갑자기 펼쳐진 일들입니다. 그 이후 챈들러는 견뎌내는게 방식이 되었습니다. 이렇다할 내색도 눈에 보이는 흔들림도 없이 최대한 견뎌내는 방식으로 버텨온 것입니다. 하지만 영화의 끝 직전에 견뎌낼 수가 없었다고 털어놓게 됩니다. 영화 상에서 다른 인물들이 상처가 없는 인물들은 아니겠지만 각기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맺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이유는 그런 상처들을 견뎌냈기 때문은 아닐겁니다.

영화의 현재는 겨울이고 영화의 회상은 여름입니다. 정확하게는 행복했던 순간들은 여름이고 ‘그 사건’ 이후로는 계속 겨울로 묘사가 됩니다. 그리고 언 땅이 녹으면 형을 묻습니다. 7월이면 새로이 직장을 얻고 새로운 집에서 살게 될 겁니다. 시간이 흐르고 다시금 여름을 기다리는 겁니다. 다시금 봄이 오게 될지 아닐지는 솔직히 짐작할 수 없습니다. 그저 다시 인내하고 견뎌내는 게 전부 일수도 있겠죠. 맑은 날 출항한 배가 갑자기 사라지듯이 어떤 일은 어떤 실마리도 없이 갑자기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일들은 견뎌내야 하는 것들인 동시에 단순히 견뎌내기만으론 한계가 존재하는 일들이기도 할 것 같습니다.

P.S. 농담 삼아서 애플렉 형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를 무기력해보이는 표정이라고 생각하는데, 이번 영화에서 케이시 애플렉은 다채로운 무기력함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끝끝내 무너지고만 그 순간까지 순간순간이 인상적이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7/02/18 06:21
수정 아이콘
듀나씨 말투네요.
aDayInTheLife
17/02/18 08:45
수정 아이콘
어 그런가요? 예전에는 종종 들르긴 했는데 안간지가 한참 되서.. 허허
Carrusel
17/02/18 10:05
수정 아이콘
저는 그냥 그랬습니다. 찬사가 끊이질 않아서 기대하고 봤는데 생각보다는 별로였네요. 다만 위와 같은 주제를 지루하지 않게 끌어나가는 것과 별다른 반전이 없었다는 것은 좋았습니다.
aDayInTheLife
17/02/18 10:33
수정 아이콘
어쩌면 이렇다할 힐링도 연대도 없이 그냥 담담하게 그려내는 영화인것 같습니다. 반전이나 신파없이 몰입시키는건 저도 참 좋더라고요. 근데 저도 그렇게 뜨거웠던 현지 반응에 비해선 좀 애매하긴 했습니다. 크크 그렇다고 나빴던건 아니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0760 [일반] LCHF와 운동병행은 잘 계산하고 해야되겠네요.. [20] 카롱카롱11416 17/02/22 11416 0
70759 [일반] 안희정에게 바랍니다 [77] 김테란8988 17/02/22 8988 11
70757 [일반] [기사] MBC가 흥신소 소리까지 들었네요 [30] 릭 데커드9362 17/02/22 9362 4
70756 [일반] 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7) [17] 삭제됨5716 17/02/22 5716 10
70755 [일반] 컴알못의 조립컴퓨터 견적 연대기 (1) 배경지식 편 [18] 이슬먹고살죠13835 17/02/22 13835 19
70754 [일반] <단편?> 카페, 그녀 -47 (부제 : 연애하고 싶으시죠?) [9] aura4854 17/02/22 4854 2
70753 [일반] 일본의 정보통제법이 생각이상이네요 [38] ezconv9767 17/02/22 9767 6
70752 [일반] 대통령 측 변호인단들이 판 깨기에 나선 것 같네요. [75] Neanderthal10533 17/02/22 10533 4
70751 [일반] [짤평] <빨래> - 빨래야말로 우리가 살아있다는 증거 [27] 마스터충달5373 17/02/22 5373 18
70750 [일반] [후기] 영화 '싱글라이더' : 섬세한 척 하는 영화 (스포無) [9] 리콜한방8632 17/02/22 8632 2
70749 [일반] 바람직한 법조인 양성에 대하여 [46] 한루나8187 17/02/22 8187 9
70748 [일반] 안희정의 전략 [150] ZeroOne10940 17/02/22 10940 7
70747 [일반] 한국 기대수명 세계1위, 2030년 90세 돌파 [49] 어강됴리11106 17/02/22 11106 2
70746 [일반] 안희정의 선의, 그 좁은 깨달음 [30] 토론시나위6555 17/02/22 6555 13
70744 [일반] 어느 게임 회사 이야기 (16) [15] 삭제됨5161 17/02/22 5161 5
70743 [일반] 말할 수 없는 나의 이상형 [75] Jace T MndSclptr11088 17/02/22 11088 8
70742 [일반] 그렇게 할 세상이 아니다 [23] 마바라4778 17/02/22 4778 4
70741 [일반] 아래 한겨레 관련 글을 보고 오늘 확 눈에 띄게된 뉴스 하나(베네수엘라의 비극). [41] bigname9219 17/02/22 9219 4
70740 [일반] 도시바의 운명, 어찌될까요? [22] 흰둥7917 17/02/22 7917 0
70739 [일반] 개인적으로 생각해보는 법원의 판결과 일반인의 상식과의 괴리감의 이유. [57] 이라세오날6291 17/02/22 6291 3
70738 [일반] 돈 없어 책 훔친 공시생, 용서한 피해자, 책값 쥐여준 경찰 [86] 비역슨8815 17/02/22 8815 19
70737 [일반] 국민의당 공식 트위터 계정 근황 [77] ZeroOne8202 17/02/22 8202 1
70736 [일반] 한겨레, 없는 말도 만들어 내는 ‘주작 기사’ 딱 걸려 [49] 삭제됨8590 17/02/22 859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