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2/21 01:13:44
Name 쇼미더머니
Subject [일반] 약자와 약함
<플라이 대디 플라이>라는 소설이 있다. 한 중년 남자의 여중생 딸이 성폭행을 당한다. 분노에 사무친 남자는 우선적으로 입원해 있던 딸을 나무란다. 왜 밤늦게 싸돌아다녀서 이런 꼴을 당하냐고. 그러나 남자는 곧 자신의 태도가 온당치 않음을 깨닫고 몸을 단련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성폭행범들에게 '물리적 복수'를 행한다.

한국에서 영화로도 리메이크 되었던 이 소설은 통속적인 위의 줄거리를 초반 설정으로 소모하고 무게중심의 대부분을 나약한 샐러리맨 가장과 그에게 싸움을 가르쳐 준 불량한 고등학생 사이의 미묘한 우정과 남자의 변화에 두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기억도 잘 나지 않고 소설 원작에 충실하게 해석할 이유도 없기에 그냥 생각나는데로 써본다.

성폭행범이 있다. 처벌을 해야한다. 그러나 사법적인 처벌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성폭행범 쪽의 로비에 의해서든 검경의 태만에 의해서든 여하튼 그렇다. 그럴 때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들의 분노는 한층 커진다. 그리고 그 분노의 화살은 가장 쉬운 대상을 향한다. 바로 자기 자신들.

남자 : (딸에게) 너는 왜 밤 늦게 싸돌아다녀서 이런 일을 만드냐..
아내 : (남자에게) 당신은 왜 검경에 아는 사람 하나 없냐..

그렇게 외부에서 주어진 비극은 가정이라는 내부도 파괴해간다.

늘 그런 식이다. 사건이 터진다. 분명한 잘못을 저지른 자들이 있다. 그런데 그 자들이 적절한 처벌을 받지 아니한 채 시간이 흘러간다. 피해자 쪽은 물론이고 이를 지켜보는 수많은 사람들의 마음 속에도 독이 쌓여간다. 그리고 그 독은 가장 쉽고 가까운 대상을 찾아 빠르게 전염된다. 무너져 있는 피해자를 다그치고, 이것봐라 세상이 원래 그런 것이다 류의 썰을 푸는 부모 또는 꼰대와 논쟁을 벌이다가 연락을 끊고, 게임이나 주식 관련 게시판에 서툴게 독을 풀었다가 그 독의 색깔과 냄새 등을 대상으로 하는 이들과 피곤하고 소모적인 싸움을 반복하는 일이 발생한다. 물론 그럴 때마다 왜 여기에 독을 푸냐고, 나도 힘든데 나한테 왜 이러냐고 나무라는 이들도 꼭 있다. 독은 독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며 독이 생겨난 것 자체가 신의 뜻에서 벗어나는 것이니 마음 공부를 더 하라는 선문답성 충고도 나온다. 그러는 와중에 '분명한 잘못을 저지른 자들'은 그들과 이익을 공유하는 이들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으며 사태의 핵심에서 벗어난다. 작전에 따라 은폐와 부인을 거듭하며 스스로의 안위에 키득거리고 그 독의 전염을 조장하고 자신들도 피해자라며 코스프레 하기도 한다. 다시 그들의 그러한 뻔뻔한 모습을 보며 독은 치명적이 되어가고 스스로를 죽이기 전에 밖으로 토해내어야 할 무언가가 되어간다. 피를 보아야 끝이 날 수 밖에 없는, 극단적인 상황은 그렇게 만들어져 간다.

소설 속에서 남자는 변했다. 딸에게 사죄하고 딸은 아무 잘못 없고 사회가 범인들을 처벌하지 않으니 스스로 처벌하겠다고 결심한다. 그리고 그 결심을 실행하기 위해 이상한 고등학생에게 무릎을 꿇고 싸움을 배우며 변해간다. 물론 이것은 현실보다는 판타지에 가깝다. 고난을 극복하고 영웅이 되어간다는, 너무도 익숙한 신화적인 설정에 가깝다. 남자가 일차적인 분노와 고통에 휘둘리기만 하는 '약자'의 길에서 벗어나 스스로의 '약함'을 인정하고 고등학생에게 싸움을 배우기 시작하는 순간, 남자는 '약자'라는 고정적인 위치에서 벗어나기 시작한다. 물론 이것은 판타지다. 현실이 아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2/21 09:05
수정 아이콘
제가 평소에 하던 생각이랑 비슷하네요.
사람들이 생각하는 '통제 가능한 요소'와 '통제 불가능한 요소'라는게 엄청나게 가변적인거 같아요... 특히 강자와 약자나 특정 프레임 안에서의 선한 자와 악한 자에 따라서요. 그래서 요즘은 속편하게 통제 가능한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운명론이죠. 어차피 잘못이라는 단어는 약자와 실패자들만 쓰는 단어기 때문이죠
인식의노력
16/12/21 14:46
수정 아이콘
결국 본질은 약하다는데 있는 것 아닌가요. 남자가 강해질 것이 아니라 여자가 강해져야죠. 성폭력이건 사회에서의 지위건 남자들에게 이렇게 해달라고 요구할 것이 아니라 자기들이 직접 해내야 되는겁니다. 언제까지 자신의 안위를 남한테 지켜달라고 할지 의문이고 세상은 힘의 논리로 돌아가는데 언제까지 진실을 외면한채 가해자를 비난하고 피해자를 동정하는 방관자들의 여론으로 만족할런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896 [일반] '돈봉투 회식 파문' 검찰 '빅2' 이영렬·안태근 동시 사의 [94] Lv315127 17/05/18 15127 4
71895 [일반] SBS에서 또 다시... [111] Dalek18357 17/05/18 18357 5
71894 [일반] 동물의 고백(19) [18] 깐딩5653 17/05/18 5653 11
71893 [일반] 5.18을 맞아 다시 되돌아보게 되는 어느 여고생의 시 한편.jpg [33] Ensis8473 17/05/18 8473 20
71891 [일반]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새 정부에 자료 안 넘겨 [48] ArcanumToss13651 17/05/18 13651 4
71890 [일반] 서울지하철 9호선의 심각한 문제 [8] 다음v8523 17/05/18 8523 2
71889 [일반] 임을 위한 행진곡 [12] 솔빈5081 17/05/18 5081 12
71888 [일반] 쉬는 날 뜬금없이 올리는 재즈. 피아노. 오른손의 마술사:[Bud powell] [5] legend4718 17/05/17 4718 4
71887 [일반] 주절주절 1 [8] it's the kick4132 17/05/17 4132 21
71886 [일반] LCHF(저탄수 고지방 식이요법) 100일 후기 [64] 유리한24989 17/05/17 24989 21
71885 [일반] [정치글 주의] 홍준표, “친박은 바퀴벌레”…홍문종 “제정신이냐, 낮술 드셨냐” 깊어지는 갈등 [72] 바스테트14156 17/05/17 14156 2
71884 [일반] 세월호 미수습자 중 첫 신원확인이 되었습니다. [23] 츠라빈스카야9558 17/05/17 9558 9
71883 [일반] 어떤 의사의 잃어버린 명예 [32] 토니토니쵸파13167 17/05/17 13167 12
71882 [일반] [단독인터뷰] 최영재 경호원, "관심에 감사..." [77] 자전거도둑12742 17/05/17 12742 41
71881 [일반] 文대통령, 법무부·검찰 특수활동비 적합 사용 여부 조사 지시 [95] Lv316907 17/05/17 16907 8
71880 [일반] 동물의 고백(18) + 외전(2) [25] 깐딩4474 17/05/17 4474 8
71879 [일반] 일드 매니아들을 위한 저작권 작품 감상 정보 [9] 어리버리24812 17/05/17 24812 5
71878 [일반] 9호선처럼… 다른 노선도 급행열차 달린다 [66] 군디츠마라10584 17/05/17 10584 1
71877 [일반] [사설] 이른바 '문빠'의 인터넷 홍위병 행태 점입가경 [225] 치 드19970 17/05/17 19970 6
71876 [일반] 최근에 본 영화 12편 감상문 [15] 잠잘까11259 17/05/17 11259 7
71875 [일반] 뜻하지 않게 대박을 쳤습니다 [129] vanilalmond33553 17/05/17 33553 24
71874 [일반] 미디어오늘 기자의 페북 [88] 유유히11413 17/05/17 11413 5
71873 [일반] 고음병은 과연 정말 병인가요! [67] 산타의선물꾸러미10931 17/05/17 10931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