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2/08 17:45:05
Name 군디츠마라
File #1 20161204133444_zsrZkwFL_AKR20161202129600003_01_i.jpg (32.4 KB), Download : 78
Subject [일반] "수도권 신혼부부, 양육·주거 부담에 출산의지 약해"


http://news.nate.com/view/20161204n02052?modit=1480821723

수도권에 거주할 수록 지방 거주자에 비해 출산이나 양육을 기피한다는 연구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고려대 건축학과 전세란, 이명훈의 논문인 '신혼부부가구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 분석' 에 따르면 소득과 같은 여러 조건이 동일하다면 비수도권 거주자가 수도권 거주자에 비해 출산확률이 1.37배 높다고 합니다.

수도권이 지방에 비해 출산이 수월한 2~30대 인구비중이 높음에도 출산확률이 떨어지는 이유는 주거비와 양육비가 높기 때문인데 수도권 거주자는 아파트 전세가격이 3억 66만원으로 지방 광역시(1억 9천만원)에 비해 1억 1천만원이 더 들며, 월세 또한 서울 거주자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35만원이나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육비의 경우 대도시가 72만원, 중소도시가 62만원, 농촌이 52만원 순으로 도시지역이 농촌보다 양육비 부담이 훨씬 컸습니다.

보고서는 첫 출산의 경우 거주와 소득이 중요하지만 둘째 출산의 경우에는 소득보다는 현재 거주하는 지역의 생활여건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아직 아이가 없는 부부에는 경제 및 주거안정대책을 제공하고 아이가 있는 부부의 경우 생활여건개선이 필요하다고 결론을 맺었습니다.

그동안 통설로만 알려졌던 수도권과 지방의 출산률 차이를 학술적으로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연구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2/08 17:53
수정 아이콘
건축학과 전세란의 주거환경 요인분석
띠용
나성범
16/12/08 18:22
수정 아이콘
크.. 집잘알 님이 분석하신거라 신뢰가 가득
16/12/08 18:23
수정 아이콘
학과, 교수이름, 분석대상까지 어울리는듯 어색한 조합 크크크
Jannaphile
16/12/08 17:55
수정 아이콘
네. 딱 체감이 되죠... 주거비와 교육비를 포함한 양육비가 지나치게 높아요. 지방 광역시와 비교해 봐도 게임이 안 될 수준으로.
몽키매직
16/12/08 17:57
수정 아이콘
출산확률 (x) 출산계획을 가지고 있을 확률 (o)
그리고 양육/주거부담이 주 원인인가에 대해서는 분석한 바가 없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닌 저자의 개인적인 해석입니다. 실제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특성은 단순히 소득 차이를 보정했다고 땡칠만한 차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논문 해석은 주의해서 해야죠.
16/12/08 17:58
수정 아이콘
양육비는 부담이 된다기보다 양육비를 더 쓴다는 표현이 맞을거 같은데.. 음..
-안군-
16/12/08 18:36
수정 아이콘
이 연구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는 것이 더 놀랍군요;; 실제 신혼부부들은 이미 다들 체감하고 있을텐데..
하르피온
16/12/08 18:45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김피곤씨
16/12/08 18:58
수정 아이콘
이건 무슨 드립이죠... 댓글 수준 참...
16/12/08 19:06
수정 아이콘
그냥 게시판을 착각하신 듯 하네요.
유머라면 블랙유머고, 비아냥이라면 너무 광역적이고..
하르피온
16/12/08 19:13
수정 아이콘
불쾌하셨다면 죄송합니다
열역학제2법칙
16/12/08 19:16
수정 아이콘
고향에서 살아야하나...
Grateful Days~
16/12/08 20:12
수정 아이콘
주거비가 최고의 원인이죠. 지방은 집값은 상대적으로 저렴한데 일자리가 적고, 서울 및 수도권은 일자리가 많지만 집값이 너무 비싸요.
아라가키
16/12/08 20:19
수정 아이콘
영국대학인가요
꺄르르뭥미
16/12/09 02:21
수정 아이콘
경제학이나 사회학에서 할 법한 연구를 건축학에서도 하는군요 +_+ 건축학은 그냥 공학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불량공돌이
16/12/09 09:26
수정 아이콘
제1저자 이름이 전세란 이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500 [일반] 군부대 목격자 "박근혜 방문전 남성변기 떼어내라고" [62] Crucial13145 16/12/19 13145 0
69499 [일반] 그것이 알고싶다 녹화본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 [78] ZeroOne20494 16/12/19 20494 24
69498 [일반] 청문회 말맞추기(또는 위증교사) 의혹 추가보도가 나왔습니다. [39] 자유의영혼12443 16/12/19 12443 21
69497 [일반] 그알을 통해 관심집중된 '이명박근혜' 의문사들 [53] 삭제됨14996 16/12/18 14996 20
69496 [일반] 칠레 외교관 미성년자 성추행 사건 [27] 삭제됨9561 16/12/18 9561 0
69495 [일반] 오늘도 기승전문 [103] ZeroOne12287 16/12/18 12287 22
69493 [일반] 일본방송에서 분석한 한국 대통령제의 역사 [160] KOZE14768 16/12/18 14768 1
69492 [일반] 올해 하반기에 시승해 본 차량들 소감 [95] 리듬파워근성52714 16/12/18 52714 80
69491 [일반] 한 대통령의 사임연설 그리고 어떤 대통령의 변명 [31] wlsak8419 16/12/18 8419 3
69490 [일반] 미 공화당 상원의원들이 중국에 의한 미해군 드론 나포에 대해 ‘단호한 대응’을 촉구 [44] 테이스터8432 16/12/18 8432 4
69489 [일반] 하루 4시간, 주 5일 [5] Sroll6178 16/12/18 6178 3
69488 [일반] 정두언 회고록을 소개합니다. [12] 레스터7505 16/12/18 7505 0
69487 [일반] 2005년 7월 13일 박근혜의 편지 [24] 어강됴리10841 16/12/18 10841 16
69486 [일반] 박사모에 분노한 신대철 [11] swear8667 16/12/18 8667 18
69485 [일반] [스포주의] WWE PPV 로드블록 2016 최종확정 대진표 [11] SHIELD5498 16/12/18 5498 0
69484 [일반] 어린이 영어 공부는 언제부터 시켜야 하나? [120] 채연14753 16/12/18 14753 16
69483 [일반] [단편] 최후의 익스퍼디션 [12] 마스터충달7943 16/12/18 7943 10
69482 [일반] 박지원이 9일날 탄핵 공이다라는게 웃기긴 하죠 [319] 산사춘12561 16/12/18 12561 43
69481 [일반] 유방의 북벌과 제갈량의 북벌이 다른 점 [61] 신불해21639 16/12/18 21639 53
69477 [일반] 오늘 그알 내용 포함한 박근혜 5촌 살인사건 정리 [85] 어리버리21603 16/12/18 21603 22
69475 [일반] 프로포즈 경험기(영화관 대관) [42] BK_Zju38718 16/12/17 38718 42
69474 [일반] [리뷰] 라라랜드(2016) - 황홀한 체험의 마법 (스포있음) [48] Eternity11375 16/12/17 11375 16
69472 [일반] 겨울공화국(왕국?)의 중간에 서서. [8] 호풍자6635 16/12/17 6635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