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2/08 17:45:05
Name 군디츠마라
File #1 20161204133444_zsrZkwFL_AKR20161202129600003_01_i.jpg (32.4 KB), Download : 78
Subject [일반] "수도권 신혼부부, 양육·주거 부담에 출산의지 약해"


http://news.nate.com/view/20161204n02052?modit=1480821723

수도권에 거주할 수록 지방 거주자에 비해 출산이나 양육을 기피한다는 연구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습니다.

고려대 건축학과 전세란, 이명훈의 논문인 '신혼부부가구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요인 분석' 에 따르면 소득과 같은 여러 조건이 동일하다면 비수도권 거주자가 수도권 거주자에 비해 출산확률이 1.37배 높다고 합니다.

수도권이 지방에 비해 출산이 수월한 2~30대 인구비중이 높음에도 출산확률이 떨어지는 이유는 주거비와 양육비가 높기 때문인데 수도권 거주자는 아파트 전세가격이 3억 66만원으로 지방 광역시(1억 9천만원)에 비해 1억 1천만원이 더 들며, 월세 또한 서울 거주자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35만원이나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양육비의 경우 대도시가 72만원, 중소도시가 62만원, 농촌이 52만원 순으로 도시지역이 농촌보다 양육비 부담이 훨씬 컸습니다.

보고서는 첫 출산의 경우 거주와 소득이 중요하지만 둘째 출산의 경우에는 소득보다는 현재 거주하는 지역의 생활여건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아직 아이가 없는 부부에는 경제 및 주거안정대책을 제공하고 아이가 있는 부부의 경우 생활여건개선이 필요하다고 결론을 맺었습니다.

그동안 통설로만 알려졌던 수도권과 지방의 출산률 차이를 학술적으로 입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는 연구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12/08 17:53
수정 아이콘
건축학과 전세란의 주거환경 요인분석
띠용
나성범
16/12/08 18:22
수정 아이콘
크.. 집잘알 님이 분석하신거라 신뢰가 가득
16/12/08 18:23
수정 아이콘
학과, 교수이름, 분석대상까지 어울리는듯 어색한 조합 크크크
Jannaphile
16/12/08 17:55
수정 아이콘
네. 딱 체감이 되죠... 주거비와 교육비를 포함한 양육비가 지나치게 높아요. 지방 광역시와 비교해 봐도 게임이 안 될 수준으로.
몽키매직
16/12/08 17:57
수정 아이콘
출산확률 (x) 출산계획을 가지고 있을 확률 (o)
그리고 양육/주거부담이 주 원인인가에 대해서는 분석한 바가 없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닌 저자의 개인적인 해석입니다. 실제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특성은 단순히 소득 차이를 보정했다고 땡칠만한 차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
논문 해석은 주의해서 해야죠.
16/12/08 17:58
수정 아이콘
양육비는 부담이 된다기보다 양육비를 더 쓴다는 표현이 맞을거 같은데.. 음..
-안군-
16/12/08 18:36
수정 아이콘
이 연구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는 것이 더 놀랍군요;; 실제 신혼부부들은 이미 다들 체감하고 있을텐데..
하르피온
16/12/08 18:45
수정 아이콘
수정했습니다
김피곤씨
16/12/08 18:58
수정 아이콘
이건 무슨 드립이죠... 댓글 수준 참...
16/12/08 19:06
수정 아이콘
그냥 게시판을 착각하신 듯 하네요.
유머라면 블랙유머고, 비아냥이라면 너무 광역적이고..
하르피온
16/12/08 19:13
수정 아이콘
불쾌하셨다면 죄송합니다
열역학제2법칙
16/12/08 19:16
수정 아이콘
고향에서 살아야하나...
Grateful Days~
16/12/08 20:12
수정 아이콘
주거비가 최고의 원인이죠. 지방은 집값은 상대적으로 저렴한데 일자리가 적고, 서울 및 수도권은 일자리가 많지만 집값이 너무 비싸요.
아라가키
16/12/08 20:19
수정 아이콘
영국대학인가요
꺄르르뭥미
16/12/09 02:21
수정 아이콘
경제학이나 사회학에서 할 법한 연구를 건축학에서도 하는군요 +_+ 건축학은 그냥 공학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불량공돌이
16/12/09 09:26
수정 아이콘
제1저자 이름이 전세란 이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9360 [일반] 미드의 도시 "시카고"로 오세요. [25] 어리버리8349 16/12/12 8349 0
69359 [일반] 대한민국 사이비 종교들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142] 삭제됨14292 16/12/11 14292 0
69358 [일반] 지옥철 일기 [27] 비염7744 16/12/11 7744 9
69357 [일반] 신천지 경고령이 영국에서도 발생 [140] 삭제됨15177 16/12/11 15177 2
69355 [일반] 애니메이션을 보고 눈물흘렸던 기억. [60] 삭제됨7892 16/12/11 7892 2
69354 [일반] 세월호 희생자 학생 누나의 발언 [49] swear12244 16/12/11 12244 71
69353 [일반] 기계식 키보드를 3번 구매한 이야기. [37] 김티모9241 16/12/11 9241 2
69352 [일반] [토론] 정치게시판 신설을 요청합니다. [132] 삭제됨8952 16/12/11 8952 24
69351 [일반] [스포有] 최두호 vs 컵 스완슨 경기 감상평. [26] 신유6910 16/12/11 6910 1
69350 [일반] 朴대통령 "피눈물난다는 말 알겠다"…관저 칩거 '정치적 연금' [101] 스피드왜건12180 16/12/11 12180 17
69349 [일반] <삼국지> 관우의 시호인 壯繆는 선시인가, 악시인가. [7] 靑龍5348 16/12/11 5348 4
69348 [일반] 국민을 가르치려는 자들 [26] 최강한화7989 16/12/11 7989 20
69347 [일반] 미 의회 "트럼프의 친러 행보, 좌시하지 않을 것" 경고 [26] 군디츠마라7317 16/12/11 7317 1
69346 [일반] 촛불 집회로 제가 얻은 것들 [36] 해바라기6800 16/12/11 6800 30
69345 [일반] 문재인, 촛불혁명을 정치가 완성해야 합니다 [33] 어강됴리6951 16/12/11 6951 7
69344 [일반] 진중권, 이현이 출연 KBS 파일럿 "표본실의 청개구리" [13] 어강됴리9064 16/12/11 9064 1
69343 [일반] 與탈당파 12인 '신당 창당' 선언…"새누리 해체해야" [67] 닭, Chicken, 鷄10442 16/12/11 10442 2
69342 [일반] '뒷일을 부탁합니다.' 김관홍 잠수사의 사인에 대해서 [38] Zetz15134 16/12/11 15134 3
69341 [일반] 어제 그것이 알고 싶다 요약.txt [39] aurelius16928 16/12/11 16928 15
69339 [일반] 어머니에게 [7] lenakim4672 16/12/11 4672 14
69338 [일반] [피겨] 주니어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차준환선수가 동메달을 차지했습니다^^ [13] 로즈마리6448 16/12/11 6448 2
69337 [일반] 다음카카오가 제 메일 주소를 마음대로 바꿔버렸어요... [37] VKRKO11498 16/12/11 11498 7
69336 [일반] 남재준 전 국정원장과 세월호 [18] LunaseA14067 16/12/11 14067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