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1/27 15:09:16
Name 니시노 나나세
Subject [일반] [KBO] 지난 10년간 최강의 팀은?
1.한국시리즈 우승


4회 - 삼성 라이온스 (11  12  13  14)

3회 - SK 와이번스 (07  08  10)

2회 - 두산 베어스 (15  16)

1회 - 기아 타이거즈 (09)


*지난 10년간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해본 팀은 총 4팀입니다.

삼성은 전무후무 통합4연패의 위엄.  SK는 2000년대 후반에 왕조를 세우며 3번의 우승.
그리고 작년과 올해 연달아 우승한 두산과 온 우주의 기운이 몰렸던 09의 기아.

지난 10년으로 따지자면 초반 SK  중반 삼성  후반 두산  갑툭튀 기아로 볼 수 있겠네요.

참고로 KBO에서 가장 오랜기간동안 우승못해본 팀은 롯데의 24년입니다.(92년 마지막 우승)



2.한국시리즈 진출

6회 삼성 라이온스 (10  11  12  13  14  15)
6회 SK 와이번스 (07  08  09  10  11  12)

5회 두산 베어스 (07  08  13  15  16)

1회 기아 타이거즈 (09)
1회 넥센 히어로즈 (14)
1회 NC 다이노스 (16)


*20번의 한국시리즈 진출 횟수에서 삼슼두 삼대장이 무려 17번을 차지했습니다.

참고로 2000년부터 올해까지 한국시리즈에 삼슼두가 없던 적은 단 한번도 없습니다.

기아 넥센 엔씨가 각각 1회 한국시리즈에 올라갔으며 기아만이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현재 KBO에서 가장 오랜기간동안 한국시리즈를 경험하지 못한 팀은 롯데의 17년입니다. (99년 마지막 한국시리즈)



3.포스트 시즌 진출


8회 삼성 라이온스 (07 08 10 11 12 13 14 15)
8회 두산 베어스 (07 08 09 10 12 13 15 16)

7회 SK 와이번스 (07 08 09 10 11 12 15)

5회 롯데 자이언츠 (08 09 10 11 12)

4회 넥센 히어로즈 (13 14 15 16)

3회 기아 타이거즈 (09 11 16)
3회 엘지 트윈스 (13 14 16)
3회 NC 다이노스 (14 15 16)

1회 한화 이글스 (07)


*신생팀 KT를 제외하고는 모든 팀이 가을야구를 경험해봤습니다.

삼성은 암흑기라 불리우는 445 시절에 한번과 역대급 용병 폭망시즌인 올해 한번 가을야구에 실패했고,
두산은 11년 임태훈 사건등으로 인한 김경문감독의 중도사퇴때 한번, 그리고 일수강점기...
SK는 이만수시절에 두번과 올해 이렇게 3번 가을야구에 실패했네요.

그다음으로 롯데가 08~12 5년연속 가을야구를 했고, 넥센은 염경업 감독이 부임하고 4년연속 가을야구에 올라갔습니다.

기아는 온 우주의 기운이 몰렸던 09년과 윤석민이 트리플크라운을 했던 11년, 그리고 올해 이렇게 3번 가을야구를 했네요.

엘지는 13년 김기태감독이 부임하면서 무려 11년만에 가을야구를 경험해서 올해까지 3번 진출.

엔씨는 창단 첫해만 7위를 하고 그 이후 부터 계속 상위권에 위치했습니다.

한화는 무려 9년전이 마지막 가을야구....



4.평균 순위


두산 베어스 - 2.8위 (2 2 3 3 5 3 2 6 1 1)

삼성 라이온스 - 3.0위 (4 4 5 2 1 1 1 1 2 9)

SK 와이번스 - 3.1위 (1 1 2 1 2 2 5 6 5 6)

롯데 자이언츠 - 5.3위 (7 3 4 4 3 4 5 7 8 8)
넥센 히어로즈 - 5.3위 (6 7 6 7 8 6 4 2 4 3)

기아 타이거즈 - 5.7위 (8 6 1 5 4 5 8 8 7 5)

엘지 트윈스 - 5.9위 (5 8 7 6 6 7 3 4 9 4)

한화 이글스 - 6.9위 (3 5 8 8 6 8 9 9 6 7)

NC 다이노스 - 3.75위 (7 3 3 2)

KT 위즈 - 10위 (10 10)


*의외로 두산이 평균순위에선 1위를 차지했습니다.
삼성은 올해 9위가 너무 뼈아프네요.

삼슼두 3대장 다음으로 한참 떨어져야 평균순위 5.3위 롯데랑 넥센이 있고 기아 엘지 한화 순입니다.

엔씨는 이제 4번의 시즌을 치뤘고 평균순위 3.75위의 준수한 활약을 했으며 KT는 이젠 10위를 탈출해야 할 듯 합니다.



5.정규리그 다승


삼성 라이온스 - 735승 575패 18무

SK 와이번스 - 723승 579패 26무

두산 베어스 - 715승 596패 17무

롯데 자이언츠 - 652승 653패 23무

넥센 히어로즈 - 635승 677패 16무

기아 타이거즈 - 622승 691패 15무

엘지 트윈스 - 602승 699패 27무

한화 이글스 - 563승 747패 18무

엔씨 다이노스 - 289승 244패 11무

KT 위즈 - 105승 180패 3무


*삼슼두 삼대장만이 700승을 돌파했으며,

롯데는 5할승률에서 1승이 모자르고 넥센 기아 엘지는 600승대입니다.

그리고 유일한 700패를 넘긴 한화....



6.포스트 시즌 다승


두산 베어스 - 16번의 시리즈 10승 6패 (44:33)

SK 와이번스 - 11번의 시리즈 7승 4패 (30:23)

삼성 라이온스 - 10번의 시리즈 6승 4패 (26:24)

엘지 트윈스 - 6번의 시리즈 3승 3패 (10:12)

넥센 히어로즈 - 6번의 시리즈 2승 4패 (10:14)

롯데 자이언츠 - 6번의 시리즈 1승 5패 (10:16)

기아 타이거즈 - 3번의 시리즈 1승 2패 (6:7)

엔씨 다이노스 - 4번의 시리즈 1승 3패 (6:11)

한화 이글스 - 2번의 시리즈 1승 1패 (2:4)


*여기서도 드러나는 삼슼두의 위엄.

두산은 업셋을 자주했던 팀이라 가장 많은 시리즈를 치뤘고, 가장 많은 승을 경험했고,

스크는 가을DNA답게 가을야구에서 강력했습니다.



@총평

지난 10년간으로 따져보면 삼슼두 3대장이 거진 다 해먹었다고 해도 무방할 듯 합니다.

모든 순위권에 3자리는 저 3팀이 다 가져갔고,
그 밑으로 롯데 넥센 기아 엘지가 중간에서 치열하게 다투었고,
한화는 지난 10년동안 꼴찌만 무려 5번을 경험하는 암흑기 였으며,

신생팀 두 팀인 엔씨와 크트는 성적에서 상당히 비교가 되는 행보였구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16/11/27 15:14
수정 아이콘
삼슼두 삼대장 제외하면 다승/승률/포스트진출 등 롯데가 대부분 최고 순위인데 우승은 거녕 17년간 한국시리즈 한번을 못가고 있는거보면 정말...어휴.....
이시하라사토미
16/11/28 09:55
수정 아이콘
그도 그럴것이 엔씨 넥센은 팀역사가 10년이 안되거든요...
닉네임을바꾸다
16/11/27 15:15
수정 아이콘
두산은 언제나 조용히 상위권이다보니 평균순위가 높군요...
그란디아
16/11/27 15:17
수정 아이콘
삼성이죠.
16/11/27 15:17
수정 아이콘
너무 당연히 삼성....
Chocolatier
16/11/27 15:21
수정 아이콘
삼성팬으로써 이런 거 보면 현실이 비참합니다 내려주시죠...
자판기냉커피
16/11/27 15:22
수정 아이콘
이건 고민할필요없이 삼성이죠
libertas
16/11/27 15:22
수정 아이콘
도박만 아니었어도..
그것은알기싫다
16/11/27 15:23
수정 아이콘
09 기아는 정말 기이한 팀 크크
花樣年華
16/11/27 21:29
수정 아이콘
우주의 기운...


사실 그 단어를 너무 유행 시켜놓은 듯 해서 죄송할 정도입니다;;;;;;
Daniel Day Lewis
16/11/27 15:30
수정 아이콘
우승횟수나 그런것 다 버리고 팀 전력으로 봐도 삼성이죠.
루크레티아
16/11/27 15:31
수정 아이콘
단년도 포스면 몰라도 무조건 삼성이죠.
16/11/27 15:48
수정 아이콘
지금은 삼성인데 내년 내후년에 두산으로 뒤집힐 가능성도 크네요..
엘지는 언제쯤 한국시리즈라도 올라갈런지..
16/11/27 15:49
수정 아이콘
두산팬이지만 삼성이라고 생각합니다
팬심을 더해도 넘을수 없어요...
16/11/27 15:54
수정 아이콘
송일수 이야기를 안할래야 안할수가 없군요 6위라니, 그리고 다승은 17년 시즌에 삼성 에스케이를 앞지를수도 있을거 같고
16/11/27 15:57
수정 아이콘
하하하하 안녕하세요 구성입니다
하하하하 ㅠㅠ
공상만화
16/11/27 16:09
수정 아이콘
삼성이 왜 여기 있습니까. ㅜ.ㅜ
유자차마시쪙
16/11/27 16:17
수정 아이콘
두산은 2~3년정도 올해포스 보여주면 당시 삼성급으로 낄 수 있을듯...
공상만화
16/11/27 16:26
수정 아이콘
곁다리로 FA이원석 보상선수 이흥련입니다.
16/11/27 16:33
수정 아이콘
이러면 기아 포수로 가나요
보통블빠
16/11/27 16:27
수정 아이콘
삼성입니다. 두산이 앞으로 4년은 정규+코시 우승 해야지 삼성왕조를 교체할거 같습니다.
차오루
16/11/27 16:34
수정 아이콘
이건 삼성입니다.
100억, 97억짜리 클린업에 풀타임 메이저리거 불펜에이스
거기다가 베팅도 당당하게 하는 강심장 투수들까지

진짜 강하긴 강했네요.
카미트리아
16/11/27 18:16
수정 아이콘
왜 성적 이야기에 도박 이야기를 꺼내시는지 모르겠는데..
불법 도박이야 올해 터지는 사건 사고에 비하면야..

두산만 해도 사설 토토죠...
네오바람
16/11/27 18:41
수정 아이콘
두산팬이 아니시길 바랍니다.
차오루
16/11/27 20:22
수정 아이콘
삼성팬입니다. 오히려 자조적ㅠㅠ 표현인데요.
비익조
16/11/27 16:38
수정 아이콘
삼성이죠 이건 흐흐
생겼어요
16/11/27 16:38
수정 아이콘
5년연속 정규리그 우승 4년연속 통합챔피언인데 뭐 이견이 있나요 삼성입니다 무조건
16/11/27 16:47
수정 아이콘
5년가까이 지배했는데 당연히 삼성이죠.
두산은 그 절대자에 처절하게 저항했던 언더독이죠 모......
저희도 내년 내후넌까지 해먹고 왕조 소리 들어봤으면 좋겠어요.
노련한곰탱이
16/11/27 17:09
수정 아이콘
그냥 삼성입니다
지구특공대
16/11/27 17:27
수정 아이콘
삼성이죠.
작년에 준우승해서 그렇지 5년연속 정규시즌 우승... 이거 아무팀이나 못하죠.
16/11/27 17:46
수정 아이콘
페넌트레이스 우승횟수는 없나요?
전 한국시리즈 우승도 대단하지만 페넌트레이스 우승을 한 팀이 실제로 그 해 가장 강했던 팀이라고 생각하는데..
카미트리아
16/11/27 18:21
수정 아이콘
삼성을 한번 늘리고 두산을 한번 줄이면 됩니다.
작년에 두산의 업셋전이 2001년 두산이 한 것이라서요..

둘다 삼성이 당했네요...ㅜ.ㅜ
곧미남
16/11/27 18:18
수정 아이콘
기아팬이지만 이건 누가봐도 삼성이라고 봅니다.
카루오스
16/11/27 18:56
수정 아이콘
뭐 구성이 강팅이었다고?!!!
안채연
16/11/27 18:58
수정 아이콘
09기아, 10스크, 11삼성, 16두산 뭐 이런식으로 시즌 강팀을 가리지 않는 이상 이건 무조건 삼성이죠
시나브로
16/11/27 20:18
수정 아이콘
10스크, ??삼성, 16두산 경기 한번 보고 싶네요 크크 생각만 해도
니시노 나나세
16/11/27 20:36
수정 아이콘
온 우주의 기운이 도운 09기아가 이길꺼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전 기아팬입니다
Luv (sic)
16/11/27 18:58
수정 아이콘
논란이 될까요... 삼성이죠
통합 4연패도 대단하지만, 전 정규리그를 5연속 우승한 것이 진짜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크크
응큼중년
16/11/27 20:20
수정 아이콘
두산팬이지만
삼성>SK>두산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한 5년만 두산이 다 해먹길 기원합니다 ^^
16/11/27 21:03
수정 아이콘
삼성을 가장 위에 놓고 sk/두산 그 다음에 타팀을 놓는 게 맞지 않나 싶습니다. 라리가에 비유하면 지난 10년간 최강팀을 꼽으면 어느 하나 이견없이 바르셀로나가 아마 나올 거 같은데 그와 비슷하게 kbo 내에서 지난 10년은 삼성과 비교할만한 커리어를 가진 팀이 없죠..정규 5회 우승에 4년 연속 통합챔피언인데...
카디르나
16/11/27 22:59
수정 아이콘
이건 삼성이죠.. 다만 지금 가장 강한 팀이 어느 팀이냐? 라고 물으신다면 두산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988 댓글잠금 [일반] 여론 참여 심사 - 표결입니다 [87] OrBef6323 16/11/27 6323 1
68987 [일반] [정치] 오늘자 여론조사들 [41] 라라 안티포바7211 16/11/28 7211 0
68986 [일반] 러일전쟁 - 뤼순 때문에 나라가 망할 판 [12] 눈시H6242 16/11/28 6242 3
68985 [일반] 문재인 대표 왜 저럴까요;; [555] 바닷내음24236 16/11/28 24236 2
68984 [일반] 국정교과서는 딱잘라서 물타기교과서입니다. [23] 삭제됨5839 16/11/28 5839 4
68983 [일반] 11월 28일 김어준의 생각 - 최순실 관련 재판은 역사의 관점에서(+양희은 '상록수') [14] 인사이더6202 16/11/28 6202 2
68982 [일반] 소사이어티 게임 능력치 간 벨붕? (약간 스포주의) [29] 이선빈5584 16/11/28 5584 0
68981 [일반] 이분들은 추악함을 숨길 생각조차 없습니다. [47] tjsrnjsdlf9953 16/11/28 9953 15
68980 [일반] 김종인, 반기문측 행사 참석 [88] 서울우유10384 16/11/28 10384 0
68979 [일반] 친박 핵심 중진들, 朴대통령에 '명예 퇴진' 직접 건의키로 [90] 서울우유9263 16/11/28 9263 0
68977 [일반] 근라임씨 검찰조사 거부하네요. [93] 쪼아저씨11780 16/11/28 11780 4
68976 [일반] [달총무가 간다] 02. 오줌맛 웰치스 [11] 마스터충달4196 16/11/28 4196 1
68972 [일반] 청와대 출입 간호장교, 국내에 있다? [41] ZeroOne10245 16/11/28 10245 2
68971 [일반] 역사 국정교과서가 인터넷에 공개되었습니다. [83] 어리버리13711 16/11/28 13711 1
68970 [일반] 박근혜 5촌 살인사건에 관한 여러 기사들 [7] 어리버리8643 16/11/28 8643 1
68969 [일반] 안철수 의원도 박지원 원내대표와 의견이 같나보군요. [97] ArcanumToss10992 16/11/28 10992 1
68967 [일반] NBA 부상으로 사라진 위대한 재능 TOP7 [13] 김치찌개6072 16/11/28 6072 0
68966 [일반] NBA 역사상 非미국태생 선수 TOP25 [13] 김치찌개5995 16/11/28 5995 0
68965 [일반] 세월호 7시간때 난리났다며 웃었던 민경욱 [82] ZeroOne14166 16/11/28 14166 4
68964 [일반] 의원 내각제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122] 노름꾼10416 16/11/28 10416 0
68963 [일반] 에이핑크 생각하다 눈물난 날 (우울주의) [22] 스핔스핔5252 16/11/28 5252 5
68962 [일반] 3년차 직장인 넋두리_인센티브를 안줘도 고마워해라. [30] 삭제됨8265 16/11/28 8265 6
68961 [일반]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의 구태정치 [79] 트와이스 나연9176 16/11/28 9176 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