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10/02 02:22:17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1.52 MB), Download : 77
Subject [일반] 미국에서 가장 많은 흥행 수입을 올린 한국 영화 Top10


미국에서 가장 많은 흥행 수입을 올린 한국 영화 Top10..
안녕하세요 김치찌개입니다!
미국 박스오피스 모조에서 2016년 8월 31일 기준 발표한 자료입니다
1위는 2007년에 개봉한 심형래감독의 디워네요..
2016년 8월 31일까지 미국 흥행 수입이 1,097만 7,721달러(122억 6,870만원)입니다
2위는 2014년에 개봉한 봉준호감독의 설국열차입니다
2016년 8월 31일까지 미국 흥행 수입이 456만 3,650달러(50억 9,714만원)입니다
3위는 2014년에 개봉한 김한민감독의 명량이네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이종격투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엔타이어
16/10/02 02:24
수정 아이콘
1위가 디워라니...
부산행은 인터넷 기사에서는 굉장히 흥행한것처럼 봤었는데.. 언플이었나요..
써니지
16/10/02 02:44
수정 아이콘
상영관이 워낙 많아서 그런 듯. 근데 저렇게 해도 본전 못 벌었던 걸로..
위 영화들 중 봄.여름.가을.겨울, 설국열차, 디워를 제외하곤 미국에 있능 한인들 대상으로 하는 극장엣만 걸렸던거 같네요.
간디가
16/10/02 03:09
수정 아이콘
제 기억으로는 북미나 유럽관련된 기사는 본 기억이 없습니다.대신 동남아에서 흥행이 잘 되고 있습니다.
대만에서는 마동석 팬미팅 요청도 들어왔다고 하니 이건 진짜일 겁니다.
위원장
16/10/02 05:54
수정 아이콘
대만, 홍콩 박스오피스 1위 몇주씩 했죠.
불굴의토스
16/10/02 11:52
수정 아이콘
달러 단위가 홍콩달러 단위였던걸로 기억합니다..
16/10/02 13:01
수정 아이콘
부산행은 로튼토마토 지수는 상당히 높은데 미국에서 크게 흥행하지는 못했습니다.
일단 상영관 자체가 디워에 비하면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적고요.
디워의 저 상영관 수 2,277개는 할리우드가 외국 영화에 대해 배타적인 면이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엄청난 숫자입니다.

미국에서 가장 많은 흥행 수입을 올린 아시아 영화 1위이자 외국 영화 1위인 와호장룡이 미국에서 개봉 당시 최다 상영관 수가 2,027개였고
미국에서 가장 많은 흥행 수입을 올린 인도 영화 몬순 웨딩의 상영관 수도 254개였고요.

디워의 상영관 수 2,277개는 아시아 영화로는 역대급 상영관 수입니다.
미국에서 마케팅 비용을 어마어마하게 썼고, 심형래가 투자자들을 끌어모은 결과이긴한데 마케팅 비용과 상영관 수에 비해 흥행은 실패했죠.
냥냥이
16/10/02 15:36
수정 아이콘
미국이 아니라 아시아권에서 대히트중인 것으로 압니다.

아시아권에서만 한국포함 중국 빼고 1억달라 돌파로 압니다.
몇주째 1위입니다. 대만 홍콩등등.
16/10/02 16:41
수정 아이콘
그런데 그 1억 달러 돌파라는 건 미국 달러가 아니라 대만 달러로 1억 달러입니다.

대만 1억 달러면 약 35억 원 정도 되네요.
홍콩에서는 홍콩 달러로 3500만 달러를 넘었다고 하니까 약 50억 원 정도 되겠네요.
태국에서는 약 25억 원 정도를 벌었다고 하고요.

적은 액수는 아닌데 한국에서 벌어들인 923억 원에 비하면 턱없이 적은 금액입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6/10/02 02:49
수정 아이콘
2~5위를 모두 더해야 디워를 간신히 이기네요..
펠릭스
16/10/02 03:24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봄여름가을겨울이 저조하네요. 제가 있을때만해도 유럽에서 제일 유명한 사람은 박지성이 아니라 김기덕 감독이었는데.
리콜한방
16/10/02 17:47
수정 아이콘
저건 미국 순위잖아요. 유럽에서 김기덕 인지도는 여전합니다.
험상궂은손님
16/10/02 04:08
수정 아이콘
갓워

펄-럭
16/10/02 04:30
수정 아이콘
봄여름가을겨울 그리고 봄

굉장히 재밌게 본 영화인데 국내에선 왜 저렇게 처참히 실패했는지를 모르겠더군요.
써니지
16/10/02 08:51
수정 아이콘
국내에서 흥행하는 영화들을 보면 충분히 납득은 됩니다.
마스터충달
16/10/02 15:33
수정 아이콘
흥행은 오락성을 따르지 작품성을 따르진 않는 것 같아요.
대호도루하는소리
16/10/03 03:28
수정 아이콘
여자친구나 친구랑 당장 극장을 간다고했을 때 생각하면..끄윽ㅠ
16/10/02 04:36
수정 아이콘
이중에 다섯개를 봤네요. 반정도는 외국인이였죠.
싫어요
16/10/02 04:55
수정 아이콘
리메이크까지 된 올드보이가 없는게 의외네요
아예 개봉을 안한걸까 싶기도..
16/10/02 12:56
수정 아이콘
올드보이 원작은 미국에서 70만 7,481달러의 흥행 수입을 올렸는데요.
몇 년 전까지만 해도 10위 안에 들었는데 새로운 영화들이 미국에서 계속 개봉하다보니 점점 순위권에서 밀렸네요.
16/10/02 10:43
수정 아이콘
디워를 아직 못봤는데.. 볼만한가요? 1위라면 완전 재미없지는 않을듯 싶은데..
아이폰6s Plus
16/10/02 14:57
수정 아이콘
절대 보지 마세요..
Sith Lorder
16/10/02 15:33
수정 아이콘
꼭 보십시요. 한국 영화에 역사의 한줄을 그은 작품입니다. 물룬 안좋은 쪽으로....
16/10/02 11:21
수정 아이콘
설국이 1위가 아니었네요...??
아수라발발타
16/10/02 16:27
수정 아이콘
봉준호와 당시 제작사의 언플만 보면 해외에서 상당한 반향을 일으킨것 같지만 실제론 국내 흥행이 다 입니다

해외평론가를 들먹이지만 실제로는 그런 평론의 가치 조차 의미없는 흥행이었죠

나머지는 그냥 외국영화 사이트 댓글 모음이었고..... 설국열차가 망작은 아니었지만 그런 해외언플과 소위 "국뽕"이 아니었으면
국내흥행 역시 초라할 영화였습니다
16/10/02 18:46
수정 아이콘
아 음 제가 의미했던거는요... 미국서 대박을 냈다기보다는 그나마 제일 친숙한 배우들이 많이 나오니까 국내 영화중에서는 가장 많이 보지 않았을까 하는 뭐 그런 (...) 생각이었어요
가장자리
16/10/02 12:19
수정 아이콘
봄 여름 가을 겨울은 첫장면만 인상적이었던... 나머지는 오리엔탈리즘과 유치찬란한 개똥철학의 도배. 지극히 개인적인 평가입니다. 내가 김기덕씨보다 잘났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구요. 저도 딱 반, 다섯개 봤네요.
BetterThanYesterday
16/10/02 13:20
수정 아이콘
아 1위가 디워라니,,, 다신 한국영화 근처도 안가야 겠다고 다짐한 미쿡인,,,,
행운유수
16/10/02 17:35
수정 아이콘
출처가 이종이라니... 이종 회원인데 왜 내가 접속할 땐 이런 글은 못 보고 맨날 술빤다, 펑이다 이런 글만 보이는 건지....ㅠㅜ
보통블빠
16/10/02 20:18
수정 아이콘
디워라니... 어찌 알았겠는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8002 [일반] [간단감상-스포] 소사이어티 게임 1화 [42] 독수리의습격8514 16/10/17 8514 1
68001 [일반] [총정리] 최순실-차은택을 둘러싼 모든 이야기 [52] 어리버리13070 16/10/16 13070 13
68000 [일반] 비를 맞으며 걷는 낙타 - 아버지에 대하여 [5] Vivims4832 16/10/16 4832 14
67998 [일반] [정치] 인권결의안 관련 더불어 민주당의 반격 [111] 아우구스투스12276 16/10/16 12276 3
67997 [일반] 안보는 명분만 있으면 되는 것인가? [227] 전자수도승12035 16/10/16 12035 1
67996 [일반] 태영호 전 북한 공사의 망명사유가 밝혀졌네요 [96] 군디츠마라15144 16/10/16 15144 3
67995 [일반] 아름다움이 적을 이기느니라 [6] 신문안사요5444 16/10/16 5444 0
67994 [일반] 화성말고 금성에도 사람을 보내자... [23] Neanderthal9295 16/10/16 9295 15
67993 [일반] 트럼프 왈 '내가 피해자다' [79] Kaidou12151 16/10/16 12151 1
67992 [일반] 저축은행 면접후기 [29] 삭제됨13485 16/10/15 13485 53
67989 [일반] 이재명 "청년배당보다 더 좋은 정책 있으면 줘봐라" [344] 성동구20311 16/10/15 20311 17
67988 [일반] 미국, 노트7 비행기에 소지, 반입도 불가능으로 단계 상향 [117] Leeka11279 16/10/15 11279 4
67987 [일반] 자백약 (나바론 요새, 켈리의 영웅들) [8] 모모스20137849 16/10/15 7849 8
67986 [일반] [오피셜] 삼성, 제14대 사령탑에 김한수 타격코치 선임 [131] 킹보검10592 16/10/15 10592 0
67985 [일반] 3D 애니 <GANTZ : O> 일본 개봉소식 [14] Eternity12542 16/10/15 12542 0
67983 [일반] 러일전쟁 - 뤼순항, 마카로프 [13] 눈시H6666 16/10/15 6666 6
67982 [일반] 특정 회원이 분란 회원이나 이중 가입 회원이라고 의심되는 경우 [218] OrBef15460 16/10/14 15460 32
67981 [일반] 나름 한옥마을 다녀온 이야기 [13] 지구와달5219 16/10/14 5219 11
67980 [일반] BJ 대도서관이 脫 아프리카TV를 선언했습니다. [184] 어리버리21061 16/10/14 21061 1
67979 [일반] 밥 딜런 가사 맛보기 [7] 동강북4883 16/10/14 4883 0
67978 [일반] "사과머리 이뻤다고. 계속 하라고." [56] RedSkai12916 16/10/14 12916 18
67977 [일반]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26%까지 하락했네요... [323] Neanderthal15393 16/10/14 15393 8
67976 [일반] 문재인의 경제정책은 도대체 정체성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내용 추가) [318] 서울우유11544 16/10/14 1154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