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7/15 14:02:48
Name 설탕가루인형
Subject [일반]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2)

큰 경쟁 피티가 끝나고 할 일이 없어 시작한 월급루팡짓에 
보여주신 성원에 힘입어 2부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이 시대의 모든 광고인들, 광고주분들 화이팅입니다. 

이 글은 업계 구력이 10년도 채 되지 않은 나부랭이의 사견이며, 
귀차니즘으로 인해 인용된 내용 중 일부는 부정확할 수 있다는 점 다시 한 번 말씀드립니다.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2)
부제: 카피 앤 아트의 종말



#1. 전설의 레전드


스타판 태초에 신주영과 이기석이라는 전설의 레전드급 프로게이머가 있었듯이,
광고계에도 그런 두 분이 있습니다.

바로 데이비드 오길비(David Ogilvy)와 빌 번벅(William Bill Bernbach)이 그 두 분이죠.


글로벌 광고회사인 오길비 앤 매더와 DDB의 설립자이기도 한 두 분이 광고계에 끼친 영향력은 대단했습니다.

말 나온 김에 전설의 레전드의 작품들을 잠깐 살펴볼까요?







오길비를 만나기 전 100여 년 간 그저 그런 브랜드였던 해서웨이 셔츠는 이 광고 한 방으로 매출을 세 배 가까이 올리며
미국인들의 국민셔츠로 자리 잡습니다.


원래는 다른 셔츠 광고처럼 촬영할 예정이었으나,
오길비가 촬영 직전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 모델에게 안대를 차게 했다고 하죠.
새하얀 셔츠와 대비되는 검은 안대를 한 모델이 등장하는
(여태까지 듣도 보도 못한)이 광고는 이후 해서웨이 셔츠의 상징이 됩니다.






[60마일로 달리는 신형 롤스로이스에서 들리는 가장 큰 소리는 전자시계 소리]

여러분은 방금 자동차 광고 역사상 가장 유명한 카피를 보셨습니다.
이 광고를 본 소비자들은 '신형 롤스 로이스가 나왔는데 겁나 조용하구나!'라는 메시지를
스펀지처럼 흡수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엔 빌 번벅의 작품입니다. think small이라는 카피와 그에 걸맞는 작은 비틀의 이미지.

비틀은 이 광고 한 방으로 대형차를 선호하던 미국인들에게 큰 충격을 선사합니다.







[당신의 아내를 가져오십시오. 싼 가격에 새 여자를 드리겠습니다]


불편하신 분들의 심기를 더 불편하게 만들 충격적인 광고를 통해,
촌스러운 패션 가게 오박(Ohrbach's)은  저가격 고품질의 하이패션 부티끄로 거듭나게 됩니다.





#2. 퓨-전!!! 합!!


광고업에 계신 분들이라면 대부분 아실 듯한 전설의 레전드 두 분을 굳이 소환한 이유는,
콩 번째로 두 번째로 소개한 빌 번벅의 영향력을 논하기 위함입니다.


오길비가 [광고는 이성과 과학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것에 반해,
번벅은 [광고는 감성과 직관의 영역]으로 정의 했습니다.


광고의 핵심은 카피라이팅이라고 생각했던 시기이기에, 
대부분의 광고는 이미 주어진 제품 이미지에
독창적인 카피를 넣는 형식으로 만들어지고 있었죠.

그에 반해 번벅은 카피는 하나의 크리에이티브 요소일 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지도 카피라이터였으면서!!)

늘 새로운 크리에이티브를 갈망했던 번벅이 DDB를 설립하고 가장 먼저 한 일은,
카피라이터와 아트 디렉터를 한 층에 몰아 넣는 작업이었습니다.


그는 글자와 이미지의 시너지에 주목했고,
광고 기획 단계부터 이 둘이 함께 논의한다면 더 새로운 크리에이티브가 나올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수 년간의 작업을 통해 번벅은 광고업계 최초로
카피라이터 한 명과, 아트 디렉터 한 명이 페어를 이루며 작업을 하는
2인조 크리에이티브 팀 방식을  도입하게 됩니다.


이것이 저 유명한 [아트와 카피의 통합] 입니다.
Integration between art & copy, 줄여서 아트 앤 카피라고도 하죠.



이 방식은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광고대행사 제작팀에서 운영하고 있을 정도로
탁월한 크리에이티브 발상을 이끌어 냈습니다.



#3. 불편한 삼각관계



신문과 잡지, TV를 거쳐 온라인으로 광고 영역이 확장된 다음에도,
"아트 앤 카피" 방식은 여전히 유효했습니다.

동영상 광고는 TV CF와 같은 방식으로 기획되었고,
배너 광고는 신문잡지 광고와 같은 방식으로 기획되었죠.

그저 매체가 달라진 것 뿐이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놀라운 광고 캠페인이 하나 나타납니다.



2004년, 버거킹은 치킨 샌드위치를 홍보하기 위해 기괴한 캠페인을 벌입니다.
이른바 '복종하는 닭(Subservient Chicken)' 캠페인이 그것입니다.


캠페인 사이트에 들어가면,
닭 코스튬을 한 사람이 하나 서 있고, 그 아래에는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이 공간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명령어와 어울리는 웃긴 행동을 닭 코스어 하는 것이죠.

어떤 명령어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어느 수위(?)까지 닭이 반응하는지 궁금한 사람들은 몰려들었고,
캠페인 사이트가 오픈한지 3주가 되지 않아 무려 1억 5천 페이지뷰를 기록하게 됩니다.  









[버거킹의 치킨 버거는 마음대로 내용물을 결정하실 수 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이 캠페인의 기록적인 성공은 광고업계에 거대한 파장을 일으킵니다.


척 보면 아시겠지만, 이 캠페인은 수 많은 명령어에 해당하는 영상을 미리 촬영한 후에
명령어가 입력되면 그 영상을 불러오는 간단한 프로그래밍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렇습니다.
반백년 가까이 지속되던 "아트 앤 카피"의 달달한 로맨스에 "코딩"이란 놈이 나타난 것이죠.


이 캠페인 이후로, 광고업계는 고도로 디지털화 된 세상에서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위해서
더 이상 "아트 앤 카피"로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깨닫게 됩니다.



#4. 우리는 광고대행사가 아닙니다


2014 애드위크 선정 올해의 디지털 에이전시,
2015 애드 에이지 선정 올해의 에이전시로 선정된,
세계 최고의 디지털 에이전시로 불리는 R/GA의 CCO(Chief Creative Officer) 닉 로우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이야기 했습니다.


[R/GA는 이제 에이전시라고 소개하지 않아요. 이제 그냥 회사(Company)라고 소개하죠]

[우리의 지난 10년은 성공적이었어요.
그 비결은 R/GA가 한 쪽 발은 (기술 기반의) 실리콘 벨리에,
나머지 한 쪽은 (광고업 기반의) 메디슨 에비뉴에 걸쳤기 때문입니다.
늘 성공적이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양쪽에서 잘 하지 못한 것을 우리가 해 왔어요.
특히 전통적인 광고업계가 놓치고 있던 걸 계속 해 왔던 게 빛을 발했죠]







광고업계에 길이 남을 나이키 플러스 캠페인은 이런 R/GA의 방침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아이튠즈와 연동되는 디지털 기기를 나이키 런닝화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달리기를 기록하고, 공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혼자만의 외로운 운동이었던 런닝이, 나이키 플러스 캠페인을 통해 비로소 놀이가 된 것이죠.





2013년, 구글은 자회사(?) '구글 크리에이티브 랩'을 설립하며,

[Art, Copy & Code] 프로젝트를 선언합니다.  





기존 광고대행사의 업무 프로세스를 완전히 바꾸는 작업을 통해,
구글 크리에이티브 랩은 'Burberry Kisses' 캠페인을 선보입니다.






https://kr.burberry.com/make-up-lips/
(아직도 캠페인 사이트가 작동하네요)


캠페인 사이트에 들어가면, 마우스나 터치로 입술을 립스틱으로 칠할 수 있고,
맘에 드는 컬러로 칠한 입술은 나의 소셜 친구들에게 전송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구글이 광고를 만들면 이렇게 하거든?"
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충분한 캠페인이었죠.


2005년, 깐느 광고제에 사이버 부문이 신설된 이후
[아트 앤 카피 앤 코드]는 성공적인 캠페인의 필수요소가 되었습니다. 


코드의 요소가 들어가지 않은 캠페인을 찾는 것이 더 쉬울 정도로요. 

그렇다면 광고회사는 모두 이렇게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디지털 에이전시로 거듭나야 하는 것일까요?



이후 내용은 기약 없는 3부에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파란미르
16/07/15 14:22
수정 아이콘
재밌는 광고 세계네요.
좋은 내용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설탕가루인형
16/07/15 14:32
수정 아이콘
재밌다고 해주시니 제가 더 감사합니다 :D
16/07/15 14:30
수정 아이콘
우왕 재미써
설탕가루인형
16/07/15 14:32
수정 아이콘
우왕 즐거웡!!
Knights of Pen and Paper
16/07/15 14:31
수정 아이콘
우왕 재밌게 읽었습니다.

어서 3편을....

한 100편까지 장기연재 했으면 좋겠습니당
설탕가루인형
16/07/15 14:33
수정 아이콘
헤헤 실은 5부작 정도로 꼭지를 잡아 두었습니다만....
덴드로븀
16/07/15 14:35
수정 아이콘
주당 1편, 시즌당 10회, 시즌5 까지 가주시죠. 재밌네요 크크크
Knights of Pen and Paper
16/07/15 14:36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설탕가루인형님께서 이렇게만 해주신다면 저도 숨겨진 보따리를 좀 풀어보겠습.....
설탕가루인형
16/07/15 14:40
수정 아이콘
으앙 쥬금!!
16/07/15 15:02
수정 아이콘
재미있네요
혹시 광고에 관한 책을 하나 소개해주실 수 있나요??
설탕가루인형
16/07/15 15:05
수정 아이콘
음 어떤 목적으로 읽으시냐에 따라 많이 달라질텐데....
제가 쓴 글처럼 가볍게 읽으시기엔 김홍탁 (구)마스터의
"디지털 놀이터"라는 책이 좋을 것 같습니다.
16/07/15 15:11
수정 아이콘
제가 영상 편집을 공부하는 중인데 이쪽 분야가 결국 광고나 기획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말씀하신 디지털 놀이터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설탕가루인형
16/07/15 15:20
수정 아이콘
그런 의도라고 하시면 박신영 "기획의 정석" 쪽이 더 도움이 되실 것 같네요.
16/07/15 15:29
수정 아이콘
그럼 추천해주신 두 책 모두 읽어보겠습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설탕가루인형
16/07/15 15:30
수정 아이콘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D
개마초로스
16/07/15 17:48
수정 아이콘
'기획의 99%는 컨셉이다' 이란 책 추천합니다
광고뿐만아니라 상품제작기획 등 사례들이 잘나와있어서
볼만할거에요
16/07/15 18:00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절판이라 중고로 구했는데 한번 잘 읽어보겠습니다
Je ne sais quoi
16/07/15 15:16
수정 아이콘
재미있습니다~
설탕가루인형
16/07/15 15:21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슈퍼잡초맨
16/07/15 15:17
수정 아이콘
무조건 팔아라라고 하셨던 강매 전도사 오길비 아저씨네요 크크
설탕가루인형
16/07/15 15:22
수정 아이콘
광고불변의 법칙 한줄 요약평이네요 크크
세인트
16/07/15 15:35
수정 아이콘
이런 월급루팡짓은 피지알러 모두를 이롭게 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재미있고 친절하면서 유익한 글이군요!
설탕가루인형
16/07/15 15:40
수정 아이콘
하느님! 오늘만 정의로운 (월급)도둑이 되는 걸 허락해 주세요!
슈퍼잡초맨
16/07/15 15:45
수정 아이콘
글쓴분께 하느님은 광고주님이시라능.... 오 주님 크크
설탕가루인형
16/07/15 15:49
수정 아이콘
뜻밖의 신앙간증 타임
이빨호랑이
16/07/16 05:57
수정 아이콘
이 글 보고 1편도 찾아봤습니다! 현재 대행사에서 낮은 연차의 AE로 근무하고 있는데 여기서 업계 계신분들을 뵙게 되니 신기하고 반갑네요! 3편도 기대하겠습니다!
설탕가루인형
16/07/18 15:50
수정 아이콘
저도 반갑습니다.
동종 업계분들을 온라인에서 뵙게 되다니 기분이 묘하네요 크크
홍승식
16/07/16 10:49
수정 아이콘
60마일로 달리는 신형 롤스로이스에서 들리는 가장 큰 소리는 전자시계 소리
위 카피와 비슷한 카피를 어느 차량 광고에서 본 거 같은데 원본이 저거였군요.
설탕가루인형
16/07/18 15:50
수정 아이콘
최근에 광고캠페인 중에서는 과거의 성공작을 리메이크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그런 것 같습니다.
워낙 유명한 광고다보니 패러디도 많을 것 같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415 [일반] 헬로비너스는 다시 비상할 수 있을까? [91] 작은기린14750 16/07/19 14750 6
66414 [일반] 으..으사양반.. 무슨 소리요.. [40] 문법나치10189 16/07/19 10189 28
66413 [일반] 이중 아이디에 대한 의견을 수렴합니다. [115] OrBef10674 16/07/19 10674 11
66412 [일반] 이건 뒷 집 도령이 앞 집 낭자 보고 가슴 뛰는 소리야. [6] 연휘가람5860 16/07/19 5860 3
66409 [일반] 드디어 아파트로 이사 왔습니다. [21] style8682 16/07/18 8682 7
66408 [일반] TV조선의 친박(親朴)을 향한 시간차 엿 먹이기 공격 [68] 어리버리15238 16/07/18 15238 0
66407 [일반] 중국인 "수천년 전 조상들이 이렇게 말했다고? 믿을 수 없어" [58] 군디츠마라18071 16/07/18 18071 1
66406 [일반] [웹툰 추천] 슬픈 대학생원생들의 초상 [25] 서린언니9918 16/07/18 9918 9
66405 [일반] 인천 상륙작전 이후 맥아더 흑역사 중 하나 [26] blackroc12604 16/07/17 12604 0
66404 [일반] 어제 2580에서 차범근 축구교실의 문제를 다뤘네요. [80] 릴리스15224 16/07/18 15224 10
66403 [일반] 아시아 투데이가 최경환 의원에게 또 폭탄을 던졌습니다. [24] 어강됴리10432 16/07/18 10432 0
66402 [일반] SI 선정 21세기 복싱 최고의 명승부 [7] Anthony Martial6275 16/07/18 6275 2
66401 [일반] 광고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3) [14] 설탕가루인형5015 16/07/18 5015 8
66400 [일반] 해커스 무료교재 이벤트 후기 [22] 이홍기5711 16/07/18 5711 1
66399 [일반] 헬조선? 브라질은 브라지옥.. 시리즈 1편 - 가정용 전기료 [25] Brasileiro12026 16/07/18 12026 9
66398 [일반] [일드] 주요 배우 시청률.jpg [29] 비타에듀9032 16/07/18 9032 0
66397 [일반] 어느 작가의 소멸에 관한 이야기 [28] happyend7212 16/07/18 7212 47
66396 [일반] 스텔라는 과연 꽃길을 걸을 수 있을까 [61] 좋아요11469 16/07/18 11469 4
66395 [일반] [야구] 2016 프로야구 16주차 감상 [10] 이홍기5979 16/07/18 5979 2
66394 [일반] 현 백수 전직 국방위 국회의원 김광진 전의원이 페북에 싸드관련해서 글을 썼네요 [51] Chandler12754 16/07/18 12754 5
66393 [일반] 나무위키 개인정보 보호 vs 알권리 논란 [61] 에버그린13858 16/07/17 13858 0
66392 [일반] 에르도안이 막장은 맞는데 사실 터키도 러시아처럼 대안이 없죠 [8] 군디츠마라7023 16/07/17 7023 0
66390 [일반] 현대자동차에 진실을 요구합니다? [176] 영원이란14253 16/07/17 14253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