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6/26 23:42:03
Name 김승남
Subject [일반] 지난 금요일 브렉시트에 의한 주가하락은 어느 정도로 큰 하락이었을까?
지난 금요일, 예상과 상반된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국내 코스피 시장에도 적지 않은 여파가 있었습니다.

종가 기준으로는 전일 종가 대비 3.09% 하락으로 장을 마감하였고, 장중 한때 4.73%(저가)까지 폭락하였습니다.
(이때, 코스닥에서는 사이드카도 발동을 하였죠).

그럼 갑작스런 브렉시트에 의한 지난 금요일의 폭락은 역사적으로 보았을때, 과연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 하락이었을까요?

심심해서 코스피의 과거 기록을 살펴보았습니다. 여기서부터는 간단히 개조식으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지난 금요일의 폭락은 역대 몇 위에 해당하는 하락이었을까? 그리고 그 정도의 하락은 대략 어느 정도 빈도로 나타날까?]

1989년 이후 현재까지, 총 7200거래일
- 그 중 지난 금요일의 하락률(3.09%)은 244위에 해당. 이는 상위 3.39%에 해당하는 수치로, 약 30거래일만에 한번 정도 볼 수 있는 하락
- 물론 상당수의 하락이 특정 기간 내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반드시 30거래일만에 이러한 하락이 나타난다고 볼 수는 없음
- 종가가 아닌 저가(-4.73%)를 기준으로 하면 125등. 이는 상위 1.74%에 해당하는 수치로, 약 58거래일만에 한번 정도 볼 수 있는 하락
- 종가 기준에 비해 저가 기준이 더 순위가 높은 것으로 보아, 순간적인 충격은 분명히 반영된 것으로 보임

분석 대상을 2000년 이후로 변경하면, 총 4074거래일 (IMF 당시 폭락기가 제외됨)
- 지난 금요일의 하락률(3.09%)은 132위에 해당. 이는 상위 3.24%에 해당하는 수치로, 약 31거래일만에 한번 정도 볼 수 있는 하락
- 종가가 아닌 저가를 기준으로 하면 75등. 이는 상위 1.84%에 해당하는 수치로, 약 54거래일만에 한번 정도 볼 수 있는 하락
- 대략, 위의 결과와 비슷한 느낌. 즉, 저가 기준으로 하더라도 약 3개월 정도에 한번쯤은 볼 수 있는 하락이었음

분석 대상을 2010년 이후로 변경하면, 총 1604거래일 (2008년 금융위기 폭락기가 제외됨)
- 지난 금요일의 하락률(3.09%)은 12위에 해당. 이는 상위 0.75%에 해당하는 수치로, 약 134거래일만에 한번 정도 볼 수 있는 하락
- 종가가 아닌 저가를 기준으로 하면 9등. 이는 상위 0.56%에 해당하는 수치로, 약 178거래일만에 한번 정도 볼 수 있는 하락
- 한달에 20거래일이 있다고 가정하면, 약 9개월만에 한번 볼 수 있는 큰 하락
- 2010년 이후 전반적으로 잔잔했던 코스피 시장에서, 지난 금요일의 하락은 꽤나 큰 하락이었다고 볼 수 있음
- 한편으로는 1997년 IMF,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큰 하락이 없었던 것으로 볼 수 있음. 그래서인지 또 한 번 큰 하락이 찾아올 전조 증상은 아닌지 걱정이 됨



1990년~1999년 총 2888거래일 중, 3% 넘는 폭락은 총 116회(4.02%)
- IMF 폭락 기간 292거래일 중, 3% 넘는 폭락은 총 47회(16.10%)
- 즉, 10%의 기간 동안 전체 폭락일의 41%가 집중됨

2000년~2009년 총 2470거래일 중, 3% 넘는 폭락은 총 124회(5.02%) - 오히려 이전 10년에 비해 변동성 증가
- 금융위기 폭락 기간 243거래일 중, 3% 넘는 폭락은 총 16회(6.58%)
- 생각보다 금융위기 기간 동안 폭락이 없었음
- 반면, 생각보다 2000년대초 IT버블 붕괴 당시에 많은 하락이 집중됨
- 해당 기간 202거래일 중, 3% 넘는 폭락은 총 33회(16.34%). 그러니까 대략 1주일에 한번은 3% 넘는 폭락을 경험했다는 뜻
- 이렇게 보니, IMF때보다 더 잔인했던 기간!

2010년 이후 총 1064거래일 중, 3% 넘는 폭락은 총 14회(0.87%)
- 앞의 두 기간에 비해 폭락 횟수가 현저히 감소함
- 자세히 살펴보지는 않았지만, 아마 폭등 횟수도 그만큼 감소했을 것으로 보임. 즉, 시장의 변동성이 급감함
- 변동석이 극도로 축소된 상황에서 과연 남은 4년 동안 어떠한 결과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지... 궁금함


[기타 소소한 정보]

- IT 버블이 터졌던 2000년대 초반은 생각보다 잔인했던 기간
- 2000년 개장 첫날인 1월 4일 역사적 고점을 찍고, 1년 내내 유의미한 반등 없이 떨어지기만 함. 해당 기간 동안 약 60% 폭락. 지수가 60% 폭락했으니, 1년간 문 닫은 회사들도 매우 많았을것임
- 한편, 코스닥은 비슷한 기간 3000에서 500까지 떨어짐. 85% 폭락. 아시다시피, 당시에 살아남은 회사들은 정말 대단한 회사들


- 역대 최대 폭락(89년 이후)은 2001년 9월 12일, 9.11테러로 인한 급락이었음. 당시 하락률은 12.02%. 상하한가가 15%이던 시절이므로, 대략 90% 이상 하한가라고 보면 됨. 그 후 코스피는 거짓말 같은 장기 대세 상승장이 시작됨. 미국도 마찬가지
- 두 번째 폭락은 2000년 4월 17일. 버블 붕괴기임과 동시에 미국발 악재로 11.6% 급락. 저가 기준으로는 12.69%로 역대 최고
- 세 번째 폭락은 2008년 10월 24일로 그 유명한 리만사태와 금융위기의 종지부를 알리는 막타(?). 10.57% 폭락.
- 10% 이상 폭락한 것은 이렇게 3일이 유일함
- 지금은 상하한가 폭이 30%로 늘어서, 이번 사태로 기록을 갱신할지도 모름(그런 일이 벌어지면 안되겠지만..)
- 저가 기준으로는 10%이상 폭락한 날이 총 5일. 위의 세 날이 포함되고, 나머지 이틀 중 하루는 역대 3위 폭락이 있기 약 1주일 전. 그야말로 헬이었던 상황이라고 말할 수 밖에. 나머지 하루는 버블붕괴시기인 것 같은데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음

- 역대 최대 폭등(89년 이후)은 2008년 10월 30일로 11.95% 상승. 즉, 90% 이상 상한가. 역대 3위의 폭락이 있은 후 바로 1주일 뒤로, 아마 대부분의 개미들은 이미 주식을 다 날리고 손가락만 빨고 있었을 것 같음. 역시 폭락의 마무리는 화끈한 반등으로 나타남. 참고로 그 당시 마지막 4일 동안 지수가 340포인트 하락함. 4일동안 28% 증발
- 그 외 10% 이상 상승 경험은 전무하며, 5% 이상 상승도 60일에 불과. 이중 대부분은 90년대 말 최초로 지수 1000을 뚫기 위해 달렸던 시기
- 2010년 이후에는 단 1일에 불과. 폭락이 없었던 것처럼 폭등도 없었음


[마무리]
1) 중기적으로 봤을때, 이번 하락은 약 10년 주기로 찾아오는 역사적인 폭락과 비교해 봤을때 아직 새발의 피도 안되는 수준입니다. 물론 이게 시점이 될지는 모를 일이지만요.
2) 당일 하락률만 보더라도, 역사적으로 그렇게 큰 하락은 아닙니다. 다만, 2010년 이후로 한정한다면, 굉장히 유의미한 하락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3) 따라서 만약 브렉시트가 제가 예로든 과거의 큰 사건들만큼 중요한 문제라면, 앞서 설명했던 역사적인 날들을 앞으로 눈으로, 마음으로 뼈저리게 체험하게 될 것입니다. 하한가 제한폭도 2배로 늘어났으니 말이죠. 물론, 이게 별일 아니면 그냥 또 이렇게 지나갈수도 있습니다.
4) 그런데 중요한 사실은 이게 별일인지 아닌지는 며느리도 모른다는 거죠. 시장만이 알고 있을겁니다. 아니면, 배후에서 시장을 조종하는 누군가가 있다면, 그 누군가는 알고 있겠죠.
5) 암튼, 브렉시트! 앞으로 1~2년간 금융시장에 대체 무슨일이 벌어질지 기대반 걱정반입니다.


이상 아주 아주 오랜만에 PGR에 글을 남겨봅니다~

주말 마무리 잘 하시고, 또 산뜻한 한주가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6/26 23:51
수정 아이콘
좋은글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홍승식
16/06/27 00:04
수정 아이콘
재밌네요.
폭락 뒤에 폭등.
부자들에게 위기란 또 다른 기회일 뿐이죠.
16/06/27 00:17
수정 아이콘
좋은 글에 추천이 절로 나오는군요.감사합니다.
(저도 최소한 2010년 이후부터 주식을 본격적으로 했는데..장중 100포인트 빠지는건 거의 못봤습니다.예약매매 걸어놓은게 다 체결되어버렸는데...
이게 그렇게까지 큰 일이라 이렇게 된건지 참....하하;;)
16/06/27 00:28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합니다. 역시 별 거 아닌 하락장이었네요. 물론 추후 하락장이 지속될 수도 있겠지만 말입니다.
금요일에 어머니께서 크게 상심하셔서 달래드리니라고 고생했습니다. 허허. 제 기준으로는 이런건 정말 아무것도 아닌데, 큰 변동성에 충격을 받는 분들이 많은 듯 합니다. 주식을 장기적인 관점으로 좋은 기업에 투자한다는 마음으로 하시라고 말씀드려도 요지부동이십니다.. 정말 답답한데, 제 코도 석자라서 어찌 못하겠습니다.. 공부가 끝나면 그대로 인수받아서 제가 운영하기로 했는데 그 전에 남아있으려나 모르겠습니다. 껄껄.
제 짧은 식견으로는 이번 사태로 투자한 기업의 가치가 어떻게 훼손이 될지 전혀 모르겠습니다만, 뉴욕에 핵이 떨어진 것도 아니고 이 정도면 별거 아니겠다 싶더군요. 그래서 석달이면 다 오를거다..하고 안심시켜드렸습니다. 흐흐. 석달이 될지 1년이 될 지 귀신 며느리도 모를겁니다만은..
pgr분들도 일희일비 하지 마시고 즐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써니지
16/06/27 05:29
수정 아이콘
브렉시트는 다른 복잡한 문제들을 더 복잡하게 만들 여지가 있어서 의미가 있을 뿐, 브렉시트 하나만 놓고 보면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take it easy
16/06/27 11:24
수정 아이콘
http://www.cnbc.com/2016/06/26/brexit-cost-investors-2-trillion-the-worst-one-day-drop-ever.html 전세계적으로는 4% ~ 5% 정도 하락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사라진 평가액은 기준에 따라 2조 달러에서 2.5조 달러 정도 인 걸로 보이구요. 링크된 기사에 따르면 손실 금액 기준으로는 사상 최고 수준이구요. 말씀하신 데로 단기적으로 일희일비 할 건 아닌 것 같긴 한데 한동안 롤러코스터 장세가 올 가능성은 상당한 걸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6014 [일반] 왜 류현진의 품성은 이제야 화두가 되는 것인가 [104] 요를레이17875 16/06/28 17875 15
66013 [일반] 달력으로 보는 2016년 멜론 일간차트 1위 [15] evene8531 16/06/27 8531 0
66012 [일반] 치료받으러 갔다가 상처를 얻고 돌아왔다 [6] 삭제됨5031 16/06/27 5031 3
66011 [일반] 아르헨티나, 2018 월드컵 출전 불가능? [84] 갈색이야기9876 16/06/27 9876 0
66010 [일반] 내가 늙은 것인까? [2] 이상 그 막연함3680 16/06/27 3680 1
66009 [일반] 브렉시트 이후 브렉시트 찬성자들의 '미묘한' 입장 변화 [32] 군디츠마라10721 16/06/27 10721 3
66008 [일반] 알아줬으면 좋겠다 [13] AspenShaker4508 16/06/27 4508 30
66007 [일반] CJ 택배기사 분과의 지속된 분쟁. [55] 1q2w3e4r!17309 16/06/27 17309 7
66006 [일반] 위엄돋는 아이유의 멜론 주간 1위곡 라이브 영상. [53] 홍승식9085 16/06/27 9085 4
66005 [일반] 영단기 무료교재 이벤트 후기 [31] 이홍기6237 16/06/27 6237 2
66003 [일반] 2016 리우올림픽 축구대표팀 최종명단 [20] 곰성병기5740 16/06/27 5740 0
66002 [일반] 재기해(자살해) 카톡의 결말 [16] 토다기11901 16/06/27 11901 4
66001 [일반] 1박 2일 유호진 PD가 하차합니다(불확실) [73] dragic11589 16/06/27 11589 0
66000 [일반] 군인들의 품위유지? [51] 성동구9119 16/06/27 9119 0
65999 [일반] [KBO] 1차지명이 진행되었습니다. [53] Rorschach7930 16/06/27 7930 1
65998 [일반] 헬스장에서 알바 한 썰 [29] 제로로꾸28072 16/06/27 28072 15
65997 [일반] 주관적으로 생각하는 여아이돌 최고의 솔로 춤 무대 [11] 삭제됨4940 16/06/27 4940 0
65996 [일반] 음악의 신2 음원발매 결정. EDM풍 댄스곡 [38] pioren6462 16/06/27 6462 0
65995 [일반] [스포츠] 엠엘비파크에서 류신시대가 개막했습니다. [119] Sandman14818 16/06/27 14818 9
65994 [일반] 이미지로 보는 우주 연대기... [23] Neanderthal7501 16/06/27 7501 6
65993 [일반] 리오넬 메시, 마스체라노 국가대표 은퇴 선언 [167] 닭, Chicken, 鷄14339 16/06/27 14339 0
65992 [일반] NYT편집부 사설: 브렉시트의 안보적 결과 [1] aurelius6570 16/06/27 6570 1
65990 [일반] 브렉시트 이후 미국은 유럽 내 파트너로 영국 대신 독일을 택한다? [19] 군디츠마라7586 16/06/27 758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