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6/06/23 22:07:00
Name candymove
Subject [일반] <우리들>을 보고
대한극장에서 우리들을 보고 왔습니다. 플롯을 보고 이건 봐야겠다 싶어서 염두에 두고 있었는데 아직은 극장에 걸려있더군요.

1. 선과 지아의 일대일 정면대결 구도

이 영화는 구도가 굉장히 단순합니다. 선과 지아의 일대일 정면대결! 변수를 줄 수 있는 다양한 요소들은 뭔가 꿈틀꿈틀은 하지만, 전부 병풍으로 사라집니다. 가장 파괴력 있는 변수였던 선의 어머니는 몇 번의 결정적인 순간이 있었지만 선과 지아의 일대일 승부를 방해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며 병풍으로 전락합니다. 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영화의 으뜸으로 작위적인 장면이었던 윤의 마지막 대사 "그럼 언제 놀아?"는 소소한 웃음을 유도하는 기능으로 그치는 것은 당연히 아니죠. 기다렸다는 듯이 바로 뒤에 그 대사를 십분 활용한 엔딩이 보여집니다. 선의 할아버지를 활용하는 부분은 정도가 더 심합니다. 저는 영화 내내 대체 이렇게 정직한 돌직구 같은 영화에서 저 할아버지의 존재는 정말 거슬린다... 대체 왜 나오는 거지?했는데, 영화 초반에 깔린 '바다'복선을 위해서였더군요. 윤의 마지막 대사에 버금가는 작위적임(?)이었습니다. 선의 아버지도 마찬가지! 선의 아버지가 술에 취한 상태에서 뜬금없이 왜 지아를 만나는 거지?했는데 바로 뒤 장면에서 활용되더군요. 정직한 복선, 정직한 떡밥회수. 보라, 지아의 할머니, 담임선생님 등등 선과 지아를 제외한 모든 인물은 "나는 영혼 없는 인간이다. 영혼도 없으면서 왜 등장했냐고? 선과 지아 대결의 파이트 머니를 올리는 역할이 내 영혼이다. 나는 장치다!"라고 외치면서 병풍으로 전락합니다.


2. 정면대결은 재밌었나?

이 대결의 특징은 승부의 한 합 한 합이 모두 예측가능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네이버로 야구를 보는데 투수의 다음 공이 볼일지 스트라이크일지, 타자가 스윙을 할지 안할지, 빠중이랍시고 올라오는 채팅을 보면서 보면 재미가 있겠습니까? 과연 패착이 무엇일까요. 일대일 정면대결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오히려 그 대결을 맥빠지게 만들었다고 봅니다. 무협영화에서 칼싸움을 연출할 때, 이 싸움을 멋있게 찍으려는 욕심이 너무 과한 나머지, 마치 춤을 추는 듯 짠 듯한 칼싸움을 보는 것 같달까요. 대체 이 싸움이 왜 일어나는지, 주인공을 둘러싸고 있는 주위의 환경에서 싸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없는지 등은 무시한 채 "최고의 액션을 선사하겠어!"라는 과욕으로 밑도끝도 없이 액션만 보여주는 그런 느낌..

<우리들> 시작하는 장면은 선이 왕따를 당하는 장면입니다. 바로 다음 장면이 지아가 전학오고 선과 만나는 장면입니다. 여기까지만 봐도 영화가 앞으로 어떻게 흘러갈지 백퍼센트 에측할 수 있습니다. 이미 여기서 싸움은 시작된 것입니다. 그 이후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은 이 싸움의 한 합 한 합을 위해 희생되는 엑스트라들일 뿐입니다. 러닝타임 전체가 두 주인공의 칼싸움으로 채워진 영화를 떠올리시면 적절합니다.


3. 이번 턴에 파수꾼을 소환한다!!...는 실패

<파수꾼>과의 비교는 너무나 당연한 수순인 것 같습니다. <파수꾼>의 초딩여자버전이라고 주장하기엔 많이, 아주 많이 부족하다고 봅니다. 외견상의 만듦새는 딱히 흡잡을 데가 없습니다. 위에서 지적한 부분을 제외하면 사실 여러모로 제 취향에 굉장히 부합하는 영화입니다. 주연배우들의 연기가 훌륭하다는 점은 감히 <파수꾼>과 비벼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역들이 이렇게 연기를 잘해도 되는건지 싶을 정도로..

<파수꾼>에서도 세 주인공의 미묘한 감정선이 주제인 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파수꾼>은 감독의 주제의식을 위해 영화를 희생시키지 않았습니다. <우리들>에서는 감독의 강한 주제의식만 남았습니다. 아주 강렬하게... 질릴 정도로... 너무 뻔하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도들도들
16/06/23 22:16
수정 아이콘
왠지 그럴거라고 짐작이 되어서 보지 않았는데 정말 그런가보네요. 무척이나 섬세한 감정선을 다루면서도 전개를 비틀어서 긴장감을 부여한 [파수꾼]이라는 훌륭한 선례가 있었는데 참고하지 못했나 봅니다.
16/06/24 00:59
수정 아이콘
전 감독의 전작인 두편의 단편이 작위적인 연출이 과해서 안좋게봤었습니다. 장편도 비슷한가보네요
예고편느낌이 좋아서 기대했었는데 패스해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5968 [일반] 인터넷 발 루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합니다. [24] OrBef5848 16/06/26 5848 0
65967 [일반] 외모보다는 사람을 본 제 연애는 실패한 건가요? [43] 삭제됨10769 16/06/26 10769 0
65966 [일반] 야밤의 시뮬레이션 - 유로 2016에서 3위로 16강 진출하기 위해 최소 몇 점이 필요했을까? [5] 이치죠 호타루4263 16/06/26 4263 1
65965 [일반] 르몽드지의 6월 25일자 사설 [18] 가장자리8683 16/06/26 8683 3
65964 [일반] 중앙일보 컬럼에 나온 pgr21 [13] 상상초월9405 16/06/26 9405 1
65963 [일반] 플디걸즈가 27일 디싱 & 뮤비를 공개합니다. [18] Leeka4238 16/06/26 4238 0
65962 [일반] 만약 V3 계열 제품을 사용중이신데 하드디스크에 숨김폴더가 만들어지셨다면.. [11] 삼성그룹8500 16/06/25 8500 2
65961 [일반] 부자(父子)가 다 링에서 사람 죽일 뻔했음... [9] Neanderthal8778 16/06/25 8778 0
65960 [일반] 고양이 키운지 1년.. 사진추가 (데이터주의) [38] 삭제됨7530 16/06/25 7530 19
65958 [일반] 곡성에 대한 제 개인적으로는 가장 흥미로웠던 해석 (스포다량) [42] 에버그린13749 16/06/25 13749 10
65957 [일반] 브렉시트에 찬성한 영국 지자체, "EU 나가더라도 지원금은 계속 받게 해달라" [109] 군디츠마라15108 16/06/25 15108 0
65956 [일반] [정치] 공항 유치 못하면 사퇴하신다면서요? [52] 탕웨이11068 16/06/25 11068 9
65955 [일반] 3600마리의 닭, 360개의 엔진, 30명의 사람. [19] 켈로그김7302 16/06/25 7302 21
65954 [일반] 6.25를 맞이하여 쓰는 저희 친가 6.25때 이야기. [6] 표절작곡가4715 16/06/25 4715 7
65953 [일반] 곡성, 반전이 강한 영화? (스포일러 많음) [42] 에버그린8269 16/06/25 8269 1
65952 [일반] 영국 국민투표 후 그들은 구글에서 무엇을 검색했나? [106] Quarterback14267 16/06/25 14267 15
65951 [일반] IIHS에서 소형SUV 조수석 스몰오버랩 테스트를 했습니다. [17] 드림5602 16/06/25 5602 0
65950 [일반] PK 지역 신공항 대신 원전.. 동남권 지역 이기주의 너무 심한데요 [47] 삭제됨9188 16/06/25 9188 2
65949 [일반] 허니버터칩은 과연 망했을까? [87] Cage27182 16/06/25 27182 78
65948 [일반] 더 이상 음악을 듣지 않는 음악 친구에게 [22] 즐겁게삽시다6324 16/06/25 6324 7
65947 [일반] 차기 프로듀스 101에 대해 엠넷에 바라는 점.. [21] wlsak4141 16/06/25 4141 0
65945 [일반] 어떤 일이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른다. [2] Refist3391 16/06/25 3391 0
65944 [일반] KEI센터장 천황폐하만세사건 현재경과 [19] 좋아요7370 16/06/25 73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