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4/04/21 23:14:58
Name 자이체프
Subject [일반] 조선시대 대형 재난 사고 - 1

사라지지 않는 슬픔을 느끼면서 과연 이 시점에서 제가 할 일이 뭔가 떠올려봤습니다. 기억하는 것, 그리고 역사를 통해서 비슷한 사례들을 통해서 주의를 촉구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조선시대에도 당연히 각종 재난 사고들이 있었습니다. 개중에는 잘 처리한 사례도 있었고, 시작부터 사후 조치까지 모두 엉터리로 점철된 경우도 많았습니다. 이번에 언급할 사례는 불행하게도 후자에 속합니다.


태종 14년인 서기 1414년 8월 4일, 초대형 해상 재난 사고가 조정에 전해졌다. 전라도에서 세금으로 거둔 곡식을 실은 조운선이 안행량, 즉 태안반도 앞바다를 통과하다가 침몰한 것이다. 육상교통이 발달하지 않았던 조선시대에는 세금으로 거둔 곡식들은 조창에 모아놨다가 배로 한양까지 운송했다. 문제는 연안을 따라오는 항로를 이용하다 보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에 암초와 급류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남해와 서해가 만나는 진도의 울돌목과 태안반도 앞바다가 대표적이다. 특히 안행량의 경우에는 침몰과 난파 사고가 잦았다. 하지만 이번 사고는 유례없는 초대형 재난이었다. 가라앉은 조운선이 66척에 달했고, 사망자는 2백명, 그리고 물에 빠진 곡식은 5천 8백석에 달했다. 한 두척이 아니고 66척이나 가라앉은 이유는 불명확한데 아마 한밤중에 무리하게 운행하다가 거센 바람때문에 암초에 부딪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에도 야간 항해는 극히 위험한 쪽에 속한다.



​ 사망자들은 대부분 조운선을 운행하던 수군들이었다. 사고는 부주의와 무관심이 빚어낸 인재였다. 본래 7월은 바람이 심해서 배들이 운행을 회피하는 시기였다. 하지만 호조에서 7월 달에 출발시켜서 8월초까지는 한양에 도착하도록 무리하게 지시했고, 전라도 수군 도절제사는 7월 중에 조운선들을 출발시킨 것이다. 그렇다면 위험한 야간 항해를 시도한 이유도 명백해진다. 호조에 얘기한 8월 초라는 기한을 맞추기 위해 무리한 항해를 한 것이다. 현장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조운선의 운행을 책임진 실무자인 진무는 관기 두 명과 동행했다. 침몰 당시 관기 두 명 모두 물에 빠져 죽었다. 책임자는 위에서 내려온 지시를 별 생각 없이 이행했고, 실무자는 관기와 노닥거리느라 현장을 제대로 돌보지 않은 것이다. 상부에서 얘기한 기한을 맞추느라 바람이 강한 위험한 시기에 암초가 많은 지역을 한 밤중에 통과하다가 초대형 재난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어쩔 수 없던 측면보다는 좀 더 주의하고 조심했다면 충분히 피할 수 있던 사고인 셈이다.



보고를 받은 태종은 호조에서 그렇게 지시를 내렸다고 해도 수군도절제사가 아무 대책없이 위험한 시기에 조운선을 출발시킨 것을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했다. ​태종은 수군도절제사를 즉시 파직하고 한양으로 올라오라고 지시했는데 역마를 타지 말고 올라오라고 지시했다. 공개적으로 강력한 처벌을 내리겠다고 천명한 것이다. 하지만 그런다고 죽은 수군들이 살아서 돌아오는 것은 아니었고, 유족들의 슬픔이 없어지는 것도 아니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Amor fati
14/04/21 23:45
수정 아이콘
무리한 일정, 현장을 돌보지 않은 실무자 그리고 위험한 해역을 통과.. 이번 사건과 유사한 점이 많네요. 잘 읽었습니다.
자이체프
14/04/22 00:10
수정 아이콘
보면서 예나 지금이나 라는 얘기가 저절로 나오더군요. 다음번에는 좀 긍정적인 사례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Je ne sais quoi
14/04/21 23:52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역사는 언제나 반복되네요
자이체프
14/04/22 00:11
수정 아이콘
징그러울 정도죠? ㅜㅜ
14/04/22 02:10
수정 아이콘
배에서 관기와....
자이체프
14/04/22 23:30
수정 아이콘
손만 잡고 잤을 겁니다. 암요. ㅜㅜ
14/04/22 11:25
수정 아이콘
이렇게 해서 안면도가 섬이 된 것인가요? 듣기론 안면도는 원래 섬이 아니었는데 조선시대에 운하를 파서 섬이 되었다고 들었습니다.
자이체프
14/04/22 23:31
수정 아이콘
안면도가 섬이 된 건 먼 훗날의 일입니다. 운하 파는게 실패하자 대체방안으로 나온 것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1268 [일반] 내가 결혼이 어려웠던 이유, 혹은 우리가 여친이 없는 이유...ㅠㅠ [45] Neandertal9038 14/04/23 9038 1
51267 [일반] 재앙 후의 삶 [13] Naomi4718 14/04/23 4718 9
51265 [일반] 살짝 우울증이 오네요. [49] 랜슬롯7407 14/04/23 7407 2
51264 댓글잠금 [일반] 지만원 "시체장사 한두번 당하나" [62] 마빠이9718 14/04/23 9718 1
51263 [일반] [해축] The End of an Error [27] 티티5187 14/04/23 5187 1
51262 [일반] 음주운전 사고 당할 뻔한 이야기 [5] 그아탱3701 14/04/23 3701 1
51261 [일반] 진도체육관 자원봉사 여대생의 대자보 [189] Duvet10474 14/04/23 10474 12
51260 [일반] 과연 실종자들은 얼마나 살아있었던 것일까요? 정부의 초기대응은 적절했을까요. [295] 우주모함9237 14/04/23 9237 0
51259 [일반] 길 음주운전, 면허취소 처분.."곧 소환될 예정" [135] wish buRn9880 14/04/23 9880 0
51257 [일반] 일베 표식으로 교묘하게 짜깁기된 ‘가짜 노란리본’ [57] 분수8311 14/04/23 8311 0
51256 [일반]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2 IMAX 후기 (스토리 스포 x)(쿠키영상관련 정보 수정) [22] 삭제됨5838 14/04/23 5838 0
51255 [일반] [MLB] 알버트 푸홀스 499, 500호 홈런 달성! [16] 지포스25195 14/04/23 5195 0
51254 [일반]  [펌] 해수부, 유병언에 20년째 항로 독점권 [29] 종이사진7902 14/04/23 7902 3
51253 [일반] 경기도 빨간 버스가 금일 부터 입석이 사라진것 같습니다 [71] 10428 14/04/23 10428 0
51252 [일반] [유럽 축구] 올 시즌을 빛내는 언더독들 [7] Friday137626 14/04/23 7626 19
51251 [일반] 루리웹 유저 '하루카씨' 사망 확인 [44] 마토이류코13159 14/04/23 13159 4
51250 [일반] be unlucky [6] The xian4526 14/04/23 4526 1
51249 [일반] 조선시대 대형재난 사고 - 2 [16] 자이체프4798 14/04/23 4798 0
51248 [일반] SM은 정말로 노예계약을 강요한 기획사인가? [51] 카랑카14700 14/04/22 14700 11
51247 [일반] PGR간담회 '공감'의 뒷북 후기 [10] 더스번 칼파랑5771 14/04/22 5771 0
51246 [일반] (누설) 신만이 아는 세계 최종완결 & 진히로인 결정 [23] 삭제됨7908 14/04/22 7908 3
51245 [일반] 세월호와 비정규직. 그리고.. [57] nickyo6935 14/04/22 6935 23
51244 [일반] 수학여행의 추억 [75] 기아트윈스6163 14/04/22 6163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