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10/16 20:05:29
Name 요정 칼괴기
Subject [일반] 1910~11, 19세기를 마감하는 국제 관계 관련 두 책
19세기는 자유주의의 찬란한 미래와 민족주의 고양과 제국주의, 전체주의 사상 발달로 인한 성스러운 전쟁 이념 모두가 발달했던 시기 입니다.
그리고 이런 사상은 20세기 초까지 기승을 부리다가 1910년 그 절정을 맞게 됩니다.
국제 관계학에서 이 때문에 1910년, 1911년 두가지 기념비적인 책이 출간됩니다. 하나는 이상주의적 자유주의적 사상을 가진 책이었고
다른 하나는 전쟁에 관한 책이었습니다.  


영국의 랄프 노만 앙겔(1872~1967)

영국의 온건 좌파 출신. 특이한 점은 스위스 제네바 대학 출신이라는 점입니다.

1910년 [위대한 환상(Great Illusion)]이라는 저서를 쓰게 되는데, 자유주의 국제관계론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저서 입니다.
이 책의 특성은 세계화된 세계와 국제화된 경제에 대한 찬가, 그리고 인간 이성에 대한 믿음과 자유가 최종적으로 이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 즉 19세기의 밝은 부분에 대한-을 국제 관계학에 반영한 것이었습니다.

근본 내용은 경제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써져 있는데, 논리를 쉽게 축약하면 전쟁의 손실> 이익 인 시대가 도래 했기에
더 이상 전쟁을 없을 거라는 주장이었습니다. 이 책은 당대 자유주의가 만든 이상론의 결실로써 상당히 각광을 받을 수 있었고
영국의 육군성 장관 에셔 자작은 이 책을 읽고 대학에 순회 강연까지 다닐 정도였습니다.

하지만 이 주장은 4년 후에 1차 대전이 터지면서 바로 틀린게 입증되었죠. 하지만 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어마어마한 참상을
본 세대에게 이 책은 상당히 설득력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와 그의 동지들은 지금이야 말로 이 책을 현실화시킬 수 있는
적기라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이 책의 역할 역시 사실을 기술하고 예언하는 측면에서 이념적 실천적인 주장쪽으로 변경하였죠.

그 결과 나온게 해군감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이었습니다. 그 역시도 1933년 노벨 평화상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이 역시도 1939년 일어난 2차 대전 덕에 망했죠. 그리고 그를 중심으로한 자유주의적 국제관계론은 쇠퇴하고 현실주의가 득세하기 시작합니다.

문제는 아이러니하게 그의 예언은 현재 맞아가고 있다는 겁니다. 물론 그의 사상을 이어가는 사람들의 노력도 있었지만
바로 새로운 무기 [핵]의 등장 때문에 말이죠. 결국 1950년대 세계는 수많은 분쟁은 있었지만 강대국끼리의 분쟁은
사라 졌습니다. 핵전쟁 시대에 사람들의 머릿속에 드디어 [전쟁: 피해>이익]이 자리 잡았으니 말이죠.

물론 이 평화가 불안전하고 일시적인지 모르겠지만 그의 예언은 현대 사회에서는 틀린 것이라 볼 수 없습니다.
당대에는 물론 틀렸지만 말이죠. 그러나 2차례 세계 대전을 모두 경험하고 냉전시대에 죽었던 이 사람은 무슨 생각
을 했는지 좀 궁금하군요.

아무튼 그의 생각은 궁극적으로 20세기 중반에 좀더 장미빛이 아닌 디스토피아적인 환상 증명하였습니다.
물론 이정도 해야 인간은 전쟁을 부분적으로 그만두게 되었지만 핵전쟁을 할정도로 바보는 아니라는 사실을
현재 증명한 것이죠.


다음 해, 독일 장군 프리드리히 베른하르디는 [독일과 그 다음 전쟁]이라는 책을 출판합니다.
그는 로만 앙겔과 정 다른 삶을 살아 왔습니다. 군인으로 보불전쟁에서 성공한 청년 장교라 참여하여 가장 먼제 파리에 입성한
기병 중 하나였습니다. 그는 촉망 받는 엘리트로 당대 여러가지 사상의 영향을 많이 받아 왔습니다.
클라우제비츠의 군사학, 다윈의 진화론 등에 큰 영향을 받은 그는 군인으로서 다음 독일의 전쟁 방향을 인도하는 책을 썼는데
그게 바로 이 책이었습니다.

이 책은 앞의 [위대한 환상]이 19세기의 밝은 부분이었다면 19세기가 초래한 어두움을 상징하는 것이었습니다.

19세기 유럽과 북미 사람들이 가진 이상한 의무- 식민지를 만들고 딴 나라를 지배하는 게 도덕적인 면에서
강대국의 책무-를 그대로 반영한 책이었습니다. 그는 독일의 성장기에서 보다 독일이 이러한 [도덕적 의무]
가지려면 보다 국제 사회에서 확실한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현실은 그렇지 못했기에 이걸 막고 있었던 프랑스를 작살내면서 실현하자는 것이었죠.

이 책의 가치는 19세기 제국주의와 서구 국제 관계적 관점을 그대로 책에 적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비문명에 대한 계몽을 위한 지배는 거룩한 도덕적 책무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윈의 진화론적 관점 즉 약육강식의 힘의 논리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는
19세기인들의 사고 방식을 그대로 반영하였습니다.

이런 현실주의적 관점은 바로 4년 후 전쟁을 예견한 것이라고 하고 실재로 전쟁을 발발시킨 원인이 되었습니다.
아니 독일 뿐 아니라 세상 모든 사람을 공감 시켰다고 하는게 맞을 겁니다.
"세상을 원래 그러한 거 잖아! 당연히 그래야 하는거 아니야?"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고 봅니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의 대단한 건 그 논리 구조가 아니라 대놓고 위선 없이 이런 [소리]를 햇다는 거겠죠.

[위대한 환상]은 그책을 통해 세상의 변화를 이끌었다고 한다면 [독일과 그다음 전쟁]은 앞으로 변화가
어떤 19세기의 유산에서 이루어졌나라는 걸 가르쳐준 책이라고 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티레브
13/10/16 22:54
수정 아이콘
20세기의 20년과 30년 을 축약해주겟네요
loveyoureal
13/10/17 01:27
수정 아이콘
재밌는 글 감사합니다 잘 읽었네요
아케르나르
13/10/17 09:30
수정 아이콘
재미있네요. 후자의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았을 때 1,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고, 그 덕에 전자의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많아져서 큰 전쟁이 사라진 거라고 보면 될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171 [일반] 추억의 팝송 list5 [10] 삭제됨4701 13/10/19 4701 0
47170 [일반] 거리의 시인들의 노래들 [9] 눈시BBv35623 13/10/19 5623 0
47169 [일반] 어제 고백받았습니다 [45] Annie7682 13/10/19 7682 15
47168 [일반] 걸스데이의 잘 안보인 후속곡과 그 이유 [11] 걸스데이 덕후4510 13/10/19 4510 0
47167 [일반] 오늘 LG두산 플레이오프 3회말의 미심쩍은 수비방해(?)상황 [23] 삭제됨4630 13/10/19 4630 0
47166 [일반] [FA컵] 웃음이 절로 나오는 MBC의 국내 축구 중계 [33] 잠잘까7740 13/10/19 7740 0
47165 [일반] [FA컵] 포항 스틸러스, FA컵 2연패 달성! [18] ㈜스틸야드6205 13/10/19 6205 0
47164 [일반] [리뷰] 화이 : 괴물을 삼킨 아이(2013) - 하드보일드의 탈을 쓴 뜨거운 멜로 (스포있음) [16] Eternity6575 13/10/19 6575 4
47163 [일반] 히든싱어 시즌2 2번째 포문은 이분이 엽니다! [18] 에이핑크7649 13/10/19 7649 0
47162 [일반] 또 한명의 기관사가 자살로 생을 마감했습니다. [75] 굿리치[alt]8803 13/10/19 8803 6
47161 [일반] [잡담] Gravity-러시아가 싼 똥은 누가 치울까. (스포 없고, 간접 광고 있음) [31] 언뜻 유재석8204 13/10/19 8204 0
47160 [일반] 암표 문제가 심각하네요 [28] 푸른피의에이스8014 13/10/19 8014 0
47159 [일반] 연말이 다가옵니다. 공연 계획들은 잘 세우고 계신가요? [10] InSomNia3902 13/10/19 3902 0
47158 [일반] 김수경코치가 현역복귀를 선언했습니다. [15] 원효로6037 13/10/19 6037 1
47157 [일반] 모두 힘내세요. 최선을 다하면 안될게 없습니다. [16] 하정우5689 13/10/19 5689 0
47156 [일반] 주말에 시간 떼우기 좋은 만화책 추천 [43] 김치찌개13303 13/10/19 13303 2
47155 [일반] 좀 더 추워지기 전에 올리는.... 가을방학 노래들 [37] 아이유라5001 13/10/18 5001 2
47154 [일반] <단편> 카페, 그녀 -29 (연애하고 싶으시죠?) [24] aura5136 13/10/18 5136 1
47153 [일반] 네이버웹툰 전설의 고향 감상 -2- [16] 王天君6909 13/10/18 6909 2
47152 [일반] 오늘은 불금.. 퇴근 시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여러분.. [42] k`5328 13/10/18 5328 0
47150 [일반] [야구] 선수협 이야기에 대한 포스팅 예고. [27] 민머리요정6030 13/10/18 6030 7
47149 [일반] SF전설이 돌아 온다고 합니다.! [36] 마빠이9084 13/10/18 9084 0
47148 [일반] 이직이 쉽지 않네요. [8] 사랑한순간의Fire6179 13/10/18 617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