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3/01/05 22:06:11
Name 격수의여명
Subject [일반] [1/5 신문 뜯어읽기] 한겨레 1면, 6면. 이동흡 헌재소장 임명은 헌법재판소의 보수화
◎나의 의견
●기사에 실린 Fact
○기사에 실린 주장
-기사의 부제목

한겨레 1월 5일 토요판 1면 <<윤창중 대변인 이어 이동흡 헌재소장 후보… ‘극단적 보수색’ 드러낸 박근혜 인사>>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68337.html

기사에 실린 Fact, 주장 분리하고 Fact 재조합하기
●헌법재판소장 후보자에 극단적 보수 성향의 이동흡 전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지명
●헌재소장 후보자 지명은 이명박 대통령과 협의를 거(쳐)
●박 당선인은 이 대통령으로부터 이동흡 후보자를 비롯해 목영준, 민형기 전 헌법재판관 등 3명을 추천받은 뒤 이 후보자를 낙점
●이 후보자는 2006년 9월 한나라당 몫으로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되었으며)
●당시 당 대표는 친박으로 분류됐던 강재섭 의원
○이 후보자는 거의 예외 없이 새누리당과 정치적 입장을 같이하는 판단(을 하였고_
●헌법 재판소 재판관 시절 야간 옥외집회 처벌 조항이나 인터넷 선거운동 금지 조항 등에 대해 ‘합헌’의견을 내는 등
○줄곧 현행 법체계를 옹호하는 태도를 취해왔다.

한겨레 1월 5일 토요판 6면 <<‘보수 색깔’ 더 짙어지는 헌법재판소>>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568372.html
-고위 법관·검사 출신이 8명
-변호사 출신 1명도 곧 퇴임 예정
-서울대 출신 7명…여성도 1명뿐
-소수자 이익 대변 기대 힘들어

기사에 실린 Fact, 주장 분리하고 Fact 재조합하기
(학연, 여성 관련)
●이 후보자가 소장으로 임명되면 5기 헌법재판소를 구성할 재판관 9명 가운데 7명이 서울대 출신
●비서울대는 이정미(고려대), 김창종(경북대) 재판관뿐이다.
●여성은 이정미 재판관 한 사람이고,
●고위 법관이나 검찰 고위직 출신이 아닌 사람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장을 지낸 재야 변호사 출신의 송두환 재판관뿐이다.
○여성, 장애인 등 소수자의 이익을 대변하고 다양한 의견을 결정에 반영하리라고 기대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라는 인적 구성이다.

(지명, 성향, 출신 관련)
●(송두환 재판관은) 참여정부 시절 임명된 재판관으로는 마지막으로 6년 임기를 마치고 퇴임
○(박 당선인은)보수 성향의 인사를 후임으로 지명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지난해 9월 절반에 가까운 4명의 재판관이 교체될 때
●진보 색채가 뚜렷했던 조대현 전 재판관과 소수의견을 활발하게 냈던 김종대 전 재판관 등을 대신해
●법원행정처 출신의 이진성, 강일원 재판관과 사법연수원장을 지낸 김이수 재판관, 대검 공안기획관을 지낸 안창호 재판관이 임명
●검찰 출신으로는 안 재판관 외에 대검 공안부장을 지낸 박한철 재판관도 있다.
○송 재판관이 퇴임하면 그나마 진보적 목소리를 낼 사람으로 (야당 지명 인사인) 김이수 재판관이 꼽히지만,
○아직은 존재감이 뚜렷하지 않다는 게 헌재 안팎의 평가

(이동흡 소장에 대한 우려)
●이 후보자는 지난해 대법원의 판결을 뒤집으면서 ‘재판소원이 아니냐’는 논란을 일으켰던 지에스칼텍스 세금 관련 사건의 주심으로,
○결정 방향을 적극적으로 주도
○이 후보자가 최근 헌재의 독자성을 강조해왔다는 점에서, 소장이 되면 대법원과의 관계를 의식해 더 분명하게 보수 색채를 띨 가능성도 있다.
○(헌재가 이 후보자 체제로 굳어진다면) 대법원과의 권한 다툼 등을 통해 독자적인 위상을 굳혀야 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헌재가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는 헌재 소장도 합헌이나 위헌 의견을 내는 9명의 재판관 중 한 사람이지만,
○평의 등 내부 토론을 진행하고 재판을 이끄는 과정에서는 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기사의 Fact를 통해 인과관계 다시 파악
◎이동흡 인사의 헌재 소장 임명은 박근혜 인사의 극보수성을 나타내는가?
◎이것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의 전제가 성립해야 하는데,
◎하나는 이동흡 인사가 극보수적인 인사여야 한다는 것,
◎둘째로는 극보수적인 인사의 헌재 소장 기용이 박근혜 인사의 극보수성을 대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먼저 둘째 전제는 무리가 없어 보이는 것이
◎헌법재판소는 대법원과 함께 사법부의 양대 축을 이룬다고까지 일컬어지는 곳이며
◎그런 곳에 극보수적인 인사를 기용한다는 것은 상직적인 의미와 실제적인 의미를 동시에 가질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만 앞의 소전제를 만족하는 지는 아직 판단이 어려운 것이
◎야간 옥외집회 처벌 조항이나 인터넷 선거운동 금지 조항 등이 극보수라고 할 만한 것인지에 대해서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이 부족하고
◎친박계 당 대표 시절에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되어 함께 했다는 사실과, 한 차례도 빠짐없이 한나라당 쪽에 유리한 결정을 내렸다는 이춘석 의원의 말이 사실이라면
◎이념이 ‘극보수성’인사라기 보다는 권력 방향에 민감한 ‘알아서 기는 코드인사’? 라는 말이 더 어울릴지도 모르겠다.

◎두 번째 기사는 무난하다고 생각한다.
◎헌법재판소 재판관이 자신들을 지명한 쪽의 성향을 따를 수 밖에 없다는 전제를 생각한다면
◎노무현 대통령 지명인사가 사라지고, 야당 지명 인사는 한 사람만이 남는 상황에서
◎헌법재판소의 ‘보수화’라는 결론이 나오는 건 자연스러운 일.
◎그리고 이렇게 ‘보수화’된 헌법재판소에서 소수의 이익 대변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정도의 과격하지 않은 전망은
◎자연스러운 전망이라 생각한다.



내일은 오늘자 신문을 가지고 한겨레 vs. 조선일보. 인수위원 기사 분석...
그냥 읽으면 10분만에 읽는 기사도 이렇게 뜯어읽고 합리적 의심을 하려 해 보니... 2시간이 금방금방 가네요. 헉헉...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어준
13/01/05 22:10
수정 아이콘
2008년 초반의 분위기랑 비슷하네요. 그래 욕해라 난 한다 고고
bachistar
13/01/05 22:18
수정 아이콘
일단 고맙습니다란 댓글부터 달고 보겠습니다^^ 정성이 느껴지네요.
격수의여명
13/01/06 14:09
수정 아이콘
저아말로 댓글 감사합니다 (_ _)
지포스2
13/01/05 23:13
수정 아이콘
gs칼텍스 세금관련 주심이었군요...
그나저나 이거 어떻게 되나요? 헌재가 대법원 판결 뒤집은 두번째 사례라던데
13/01/05 23:32
수정 아이콘
두번째 기사의 경우에는 한겨례의 약간 자의적인 해석이 있습니다

헌법재판소장이 헌법재판관에게 평의와 관련한 영향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법률분야에서 최고의 상층부까지 도달한 것이라서 남의 말은 잘 안듣는다고

대법원과 헌법재판소간의 알력은 10년이 훨씬 더 지난문제로 개헌으로 깔끔하게 해결하자는 말도 있는 부분으로 압니다
본질이 파워싸움이라서 헌법재판소소장이 보수다 진보이다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격수의여명
13/01/06 14:08
수정 아이콘
그 말이 맞는것 같습니다. 적어도 기사 내에서는 근거가 부족했던 것 같네요. 마지막에 집중력이 흐트러져서 사실 대강 판단을 했었는데.. OTL
적울린네마리
13/01/06 00:06
수정 아이콘
전리품이 하나 늘었을 뿐....
나이트해머
13/01/06 01:27
수정 아이콘
헌재가 보수화된 건 사실입니다. 헌재 재판관 공석사태에서 야당 추천이 관행이던 자리를 여당추천으로 밀어넣고 강제통과시켰으니까요.
국회추천 3자리를 여야합의 1, 여당 1, 야당 1로 배분하던 걸 야당 추천 1자리 뺏어왔죠. 그래놓고 동의권을 운운하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1569 [일반] 세계여행 시리즈 11편 - 도시의 오아시스, 세계의 분수 (Fountain) [4] 김치찌개3713 13/01/09 3713 0
41568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연구개발비를 투자하는 기업 Top10 [8] 김치찌개5576 13/01/09 5576 0
41567 [일반] 111111 [47] 삭제됨5540 13/01/09 5540 1
41566 [일반] 부하직원에게 관심이 많은 부장님...-_-) [16] Eva0107378 13/01/08 7378 4
41565 [일반] 넬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7] 효연짱팬세우실4916 13/01/08 4916 0
41564 [일반] [부산정모후기] 늦게나마 올립니다~ [66] 러브포보아6503 13/01/08 6503 0
41563 [일반] [해축] 화요일의 bbc 가십... [28] pioren4251 13/01/08 4251 0
41562 [일반] 진보는 악마에게 진 것이 아니다 [75] 무플방지위원회7918 13/01/08 7918 0
41561 [일반] 이번 타블로 명예훼손에 대한 저의 생각 [26] empier6102 13/01/08 6102 0
41560 [일반] 장미란 선수가 은퇴합니다. [27] 루크레티아6063 13/01/08 6063 0
41559 [일반] 관우제갈량 대립설. [155] 후추통12904 13/01/08 12904 3
41558 [일반] 타진요 최후의 1인(?)에 대한 상고가 기각되어 유죄가 확정되었습니다. [131] The xian8553 13/01/08 8553 0
41557 [일반] 토론토, 뉴욕, 보스턴, 워싱턴 여행리뷰입니다. [12] worcs4825 13/01/08 4825 0
41556 [일반] 핸드폰 관련 사기를 당했습니다 [19] 파란토마토6662 13/01/08 6662 0
41553 [일반] 2012 발롱도르 시상 종료! [41] 구밀복검8768 13/01/08 8768 0
41552 [일반] 언론계의 보물들 (부제: 언제까지 패배감에 찌들어 있을 것인가!) [3] 곰주4674 13/01/08 4674 1
41551 [일반] 새로 시작하는 상반기 국내 드라마 기대작 4편 [12] 타나토노트6521 13/01/08 6521 0
41550 [일반] 김치찌개의 요즘 듣고 있는 해외앨범 [2] 김치찌개4018 13/01/08 4018 0
41549 [일반] 세계여행 시리즈 10편 - 메리 크리스마스! 세계의 성탄절 (Christmas) [2] 김치찌개3555 13/01/08 3555 0
41548 [일반] 전 세계에서 특허 영향력이 가장 높은 정부기관 Top10 [4] 김치찌개4753 13/01/08 4753 0
41547 [일반] 영광원전 핵심부품 교체대신 용접추진 [47] empier5210 13/01/07 5210 0
41546 [일반] 우리나라에 이런 기업들이 많이 생긴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12] 광개토태왕7459 13/01/07 7459 0
41545 [일반] 비발디 - 사계 [7] 3544 13/01/07 354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