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11/25 01:03:05
Name 김치찌개
Subject [일반] 슬램덩크 스토리의 비밀


슬램덩크 스토리의 비밀..

제가 생각하는 최고의 만화 슬램덩크!

윤대협은 완벽한 캐릭터+_+

풍전은 허재,강동희의 한국의 영향을 주었다니..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엽혹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비타에듀
12/11/25 01:13
수정 아이콘
주인공 팀은 항상 이겨야 한다는게 당시 일본소년만화의 정석 같은거라 능남과의 연습경기에서 패배를 그렸을 때 편집부에서조차 반대했다는 이야기가 있죠.

확실히 슬램덩크도 듣보잡 팀에 신인이 추가되었더니 최강팀이 되었더라 식으로 갔다면 지금까지 기억될 만화로 남지 않았을겁니다.
12/11/25 01:18
수정 아이콘
요즘 나오는 소라의 날개 같은 만화는 첫 승리가 20권인가 지나고 나서야 나온다죠. -_-;
AraTa_sTyle
12/11/25 01:33
수정 아이콘
후속편을 그리지 않겠다고 이야기 하진 않았다. 이 한마디가 다시금 저를 설레이게 만드네요..

나와라, SLDK.
12/11/25 01:39
수정 아이콘
진짜 슬램덩크의 감동이란.........
DarkSide
12/11/25 01:47
수정 아이콘
산왕공고전은 제가 본 농구 만화중 역대 최고였습니다.


특히 안감독님의
"보고 있는가 .... 재중군 .... 자네를 뛰어 넘는 인재가 여기 있다네 ... 그것도 둘이나 ( 강백호 & 서태웅 ) .... 재중군 ....."

그리고
"그러나, 이 사진이 실제로 사용되는 일은 없었다. 2회전에서 모든 힘을 쏟아부은 북산은, 3라운드에서 거짓말같이 참패를 당했기 때문이다."

이 대목이 가장 인상 깊게 남더군요.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2/11/25 02:01
수정 아이콘
지금도 떡밥을 만들어서 던지면 무수히 많은 토론이 나오지요.... PGR만 봐도...
쇼쿠라
12/11/25 02:22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 보면서 정우성이란 캐릭터와 서태웅의 대결을보고
어 그럼 윤대협이 너무 붕뜨지 않나?
이런 생각 가졌는데 역시 작가도 그런생각을 했었나보네요;
아우쿠소
12/11/25 02:25
수정 아이콘
뭐 어차피 만약이지만 보통 일반적인 성장만화 스토리대로 강백호/서태웅 으로 전국대회 우승까지 그려졌다면 뭐 다른 작화를 보면 그럴일은 없겠지만 그냥 그런 만화로 기억될수도 있죠... 전 후편은 기대안합니다.

어서 베가본드/리얼 마무리되고 새장편 나왔으면 좋겠어요...

제가 좋아하는 만화들은 왜그리 완결이 안되는지 .. FSS/베르세르크/헌터헌터 등등 ..
마스터충달
12/11/25 02:28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가 재밌었던 이유로 저는 등장하는 팀간의 밸런스를 꼽고 싶습니다.
슬램덩크 이전에도 이후에도 대부분의 스포츠 만화는 먼치킨 주인공이 역경을 헤치고 여자한테 배신당하며(응? 이건 순정만화였나?)
승리를 거머쥐는 그런 내용이었는데
슬램덩크는 주인공은 솔직히 중하 수준이고(크크크 자살골) 각 팀마다 밸런스가 잡혀있어서 책을 보면서
"내가 응원하는 팀이 이기려면 어떻게 해야하지?"하는 고민을 하며 보도록 만들었죠.
특히 안경선배의 식스맨기용부분에서 이런 면 때문에 감탄하게 되더군요.

이후에 나온 스포츠 만화중에서는 이런면을 가장 잘 살린게 아이실드21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여기도 먼치킨이 나오긴 하는군요. 문제는 미식축구 말고 다른 능력이 먼치킨;;)
sprezzatura
12/11/25 03:21
수정 아이콘
전국최강 산왕을 꺾은 마당에 지학, 해남, 명정/대영/상대 등을 꺾는다 해도
그만큼의 감동(왼손은 거들 뿐..등)을 줬을지 의문입니다.
물론 재미야 있었겠지만 드래곤볼 마인부우편처럼 사족의 느낌이 강했을 것 같네요.

더구나 강백호-서태웅이 그 전율의 하이파이브 이후
친해지거나 다정해지기라도 했다면 엄청난 배신감(?)을 느꼈을 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슬램덩크의 여운이 남는 결말은 최고의 타이밍이었다 보여지는군요.
산왕전이 전국대회 결승이 아닌, 2회전이었다는 점도 마음에 들고요.
구밀복검
12/11/25 04:39
수정 아이콘
작가가 인정하듯이 송태섭이 김수겸을 뛰어넘는 과정은 그리 만족스럽지 못하게 그려졌다고 봅니다. 현실은 경기 끝난 이후에도 김수겸>>송태섭인 게 명확했으니...사실 송태섭은 결말 시점까지도 딱히 선명하게 다뤄지지는 못하죠. 북산 5인 중에서 가장 인기가 없는 것도 당연.
핸드레이크
12/11/25 09:21
수정 아이콘
이 글조차 진위여부가 불분명 하다는 소리도 있었죠. .
워낙 카더라가 많아서. .
12/11/26 04:02
수정 아이콘
슬램덩크의 백미는 역대급 한글작명 센스...
더블인페르노
12/11/26 10:50
수정 아이콘
요 근래 일본에서 인기 있다던 쿠로코의 농구를 보면서 느낀게 "아 슬램덩크 다시보고 싶다" 이 생각이 간절하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715 [일반] JYJ와 SM의 3년4개월의 길고긴 법적분쟁이 끝이 났습니다. [41] 라이언JS8278 12/11/28 8278 0
40714 [일반] 미래에는 어떤 자동차를 타고 있을까? [30] Neandertal5240 12/11/28 5240 0
40713 [일반] 슬램덩크의 잡다한 여러가지 이야기 [132] 순두부8119 12/11/28 8119 0
40712 [일반] 전쟁 속의 한국 - 6. 신념의 조인 [10] 눈시BBbr9986 12/11/28 9986 0
40711 [일반] 황장엽과 북한 민주화? [17] 후추통6769 12/11/28 6769 0
40710 [일반] [K리그] 2012 K리그 3팀의 운명, 마지막 2경기에서 갈린다 [8] lovewhiteyou4247 12/11/28 4247 0
40709 [일반] 애플이 디자인 특허를 포기 했네요. [15] 찐쌀5795 12/11/28 5795 0
40708 [일반] [야구] 골든글러브 수상자를 예측해 봅시다. [78] 정지연4861 12/11/28 4861 0
40707 [일반] 전 세계 최고의 지하철 시스템을 갖춘 국가 Top10 [45] 김치찌개7914 12/11/28 7914 0
40706 [일반] "데이브"를 봤습니다. [10] workbee4542 12/11/28 4542 0
40705 [일반] 전쟁 속의 한국 - 5. 차일혁, 김영옥 [8] 눈시BBbr7808 12/11/28 7808 0
40704 [일반] 골든타임은 있다.jpg [26] 김치찌개7449 12/11/27 7449 0
40703 [일반] 여자들이 뽑은 애니에서 가장 싫은 여자 캐릭터 TOP 10 [59] 김치찌개15631 12/11/27 15631 0
40702 [일반] 서울대와 하버드의 차이 [31] 김치찌개9208 12/11/27 9208 0
40701 [일반] 태양계 시리즈-화성(1) [11] K-DD6889 12/11/27 6889 1
40700 [일반] [야구] 롯데 FA보상선수로 기아 홍성민 지명(스탯 추가) [135] 光海8455 12/11/27 8455 0
40699 [일반] 둘째가 왔습니다. 그리고.. [20] 절름발이이리7701 12/11/27 7701 0
40698 [일반] 2012 대학지속가능지수 - 서울대, 포스텍, 연세대, 카이스트, 고려대 순 [82] 타테시8831 12/11/27 8831 0
40697 [일반] 원더걸스 선예 내년 결혼! [85] RENTON9901 12/11/27 9901 0
40696 [일반] 가리온 2집을 소개해봅니다. [20] 구밀복검5139 12/11/27 5139 0
40695 [일반] K팝스타2 심사위원 3인방의 특별함 [35] 삭제됨5051 12/11/27 5051 0
40694 [일반] [호러] 재밌는 SCP들을 말해봅시다 [23] 눈시BBbr10128 12/11/27 10128 0
40693 [일반] 한화 장성호 - 롯데 송창현 트레이드 [101] 한국화약주식회사7047 12/11/27 70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