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10/25 00:51:25
Name 김치찌개
Subject [일반]  전 세계 누적 매출 1조원을 돌파한 국산 온라인 게임들




전 세계 누적 매출 1조원을 돌파한 국산 온라인 게임들..

현재 대한민국 국산 토종 온라인 게임들 중

전 세계 누적 매출이 1조 원을 돌파한 게임은 총 6개 뿐이네요

주로 캐릭터 사업으로 누적 매출 1조 원을 넘긴 라그나로크는 제외되었습니다

라그나로크의 순수 게임 누적 매출액은 약 3,600억원이라고 합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엽혹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웨트
12/10/25 00:54
수정 아이콘
스타와 함께 내 중고딩 인생과 함께했던 리니지... 요즘 게임방에서 리니지 하는사람들을 보면 아직도 이걸 하다니..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 풍월로 들은 이야기지만.. 미르의전설에는 슬픈 전설이 있다고..
냉면과열무
12/10/25 00:57
수정 아이콘
12~3여년 전에 게임잡지 한참 구독해서 볼 때 중국 게임시장의 무단 불법복제 때문에 진출에 어려움이 있다.. 뭐 이런 기사를 많이 접했었는데.. 그런게 해결되었나봅니다.

중국시장은 뭐... 정말 대단하네요....
헤나투
12/10/25 01:11
수정 아이콘
중국시장은 상상을 초월하네요;;
Tristana
12/10/25 01:11
수정 아이콘
결론은 중국이 체고시다....

리니지는 뭐 그렇게 많은 돈을 쓴건 아니지만 최초로 결제를 하고 현질을 해본 게임이네요.
12/10/25 01:13
수정 아이콘
영화,음악,드라마 한류.....
다합쳐도 저 수익을 이길수 있을까요?..
여가부의 한분이라도 좀 제대로 봤으면 하는 정보네요.
12/10/25 01:21
수정 아이콘
아이온도 1조는 넘을거라 생각했는데 생각보단 매출이 안나왔나보네요.

크로스파이어 듣기만 했지 국산겜인건 첨알았네요;
12/10/25 01:44
수정 아이콘
브금 정보좀 부탁드려봅니다
12/10/25 02:30
수정 아이콘
사실 크로스파이어 앞에서는 다 깨갱이죠. 단 1년의 매출이 1조가 넘는데 이건 와우의 최전성기 시절에 버금가는 수준입니다. 그리고 현재 전세계 온라인게임 동접 1위입니다.

중국 동접만 400만... 중국 외에 브라질이나 러시아 같이 인구 많은 나라 한 군데서만 더 터져줘도 단기포스만으로는 블리자드급 이상의 레전드 개발사가될 겁니다. 이제 곧 퍼블리셔 네오위즈와의 계약도 끝나게 되는데 그럼 중국 퍼블리셔 텐센트에 떼주는 돈 제외하면 고스란히 자사 수익이 되는 거구요.

주체못할 정도의 현금으로 현재 동시에 개발하고 있는 여러 후속작 중 두세개만 중박 쳐줘도 크파 개발사 스마일게이트는 NC 넥슨하고 완벽하게 국내 탑3로 인정받겠지요. 물론 지금도 매출만으로는 탑3가 맞지만 인지도나 커리어면에서 부족한 느낌이...

동접 4백만... 지금 중국에선 부산시 전체인구보다 더 많은 숫자의 사람들이 크파에 접속해 있다는 뜻인데 동접자가 아직도 가파른 증가추세라는 게 무시무시하죠.
JunStyle
12/10/25 02:33
수정 아이콘
문제는 중국시장에서 매출이 많이 나와도 테센트와 같은 슈퍼갑의 위치에 있는 퍼블리셔들의 이익이 너무 크다는데 있겠죠.

크로스파이어가 1년에 매출 1조를 찍었는데 개발사인 스마일 게이트는 얼마를 벌었을까요? 대략 테센트에서 (물론 인프라를 제공하긴 했지만) 60~70% 는 가져가는데 참 이런 구조를 개선해야 할텐데.

넥슨은 중국에서 갑인지 을인지 병인지 궁금하네요.
12/10/25 02:38
수정 아이콘
6~7천억 떼주고 3~4천억 중 반절가량은 네오위즈에 떼준다네요. 이제 네오위즈가 떨어져 나가니 3~4천억이 고스란히 스마일게이트 매출이 되겠죠. 얼마전까지 직원 1~2백 명이다가 요즘 막 뽑아서 이제 700 갓 넘었다던데 직원수를 생각하면 정말 어처구니 없을 정도의 수익입니다. (게임은 타 업종에 비해 매출 대비 수익률이 압도적으로 높으므로)

사실 저도 텐센트가 반이상을 떼간다는 말을 듣고 어처구니가 없긴 했습니다. 물론 텐센트 인프라 없이는 절대 안되는 거긴 했지만 그래도 1조의 반 이상이라니... 만든 놈보다 팔아주는 놈이 더 부자되는!
LOL 크파 던파까지 중국 5대 온라인게임 중에 4개가 텐센트 거죠. 샨다 9U 더9 같은 동급 퍼블리셔들 이젠 싹 다 밟아죽이고 압도적인 원탑이 되어버렸네요.
최종병기캐리어
12/10/25 07:17
수정 아이콘
중국시장은 중국과 합작이 아니면 진출자체가 안되기때문에... 중국 퍼블리셔가 슈퍼갑일 수 밖에 없는 상황..

게다가 텐센츠는 퍼블리셔중에 갑중에 갑..
곡물처리용군락
12/10/25 10:37
수정 아이콘
아라드전기는 일본에서도 명성을 떨쳤다는 후문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930 [일반] 낭패로 끝나서는 안되는 단일화 [23] 김어준4529 12/10/26 4529 0
39929 [일반] 애잔한 SKT 댓글 알바들 [12] 어리버리7369 12/10/26 7369 0
39928 [일반] 안철수와 문재인의 단일화는 과연... [25] 방구차야5162 12/10/26 5162 0
39927 [일반] 14세기에 자동차를 타고 15세기에 인터넷을 할 수 있었을까? [41] Neandertal5757 12/10/26 5757 0
39926 [일반] [K리그] 한달뒤면, K리그 역사상 첫 강등팀이 나오게됩니다. [7] lovewhiteyou5078 12/10/26 5078 1
39925 [일반] 중국 후한말(삼국시대)의 혼란은 실질적으로 언제 끝났을까요? [47] 홍승식5410 12/10/26 5410 0
39924 [일반] 3인3색...같은날 다른 행보 [16] 그리메3793 12/10/26 3793 0
39921 [일반]  진중권 대 일베네티즌의 토론회 곰티비에서 하네요. [157] Crystal13346 12/10/26 13346 0
39920 [일반] 호족들의 나라(끝)-소패왕, 지다. [10] 후추통6139 12/10/26 6139 1
39918 [일반] 에픽하이/걸스데이의 뮤직비디오와 YOUNIQUE UNIT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13] 효연짱팬세우실5535 12/10/26 5535 0
39916 [일반] 09wbc직후, MLB스카우트 보고서.(메이저,마이너 선수 제외한) [32] 은하수군단9003 12/10/26 9003 0
39915 [일반] 김광석. [16] Bergy105599 12/10/26 5599 0
39913 [일반] 지식채널e - 힉스 2부 - 사라진 입자를 찾아서 [7] 김치찌개4300 12/10/26 4300 0
39912 [일반] 침수&홍수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도시 Top20 [3] 김치찌개4739 12/10/26 4739 0
39911 [일반] MBC에 출연해 김재철 특별법을 제안한 신경민 의원 [16] LEADA6818 12/10/26 6818 1
39910 [일반] 최고의 명작들만 경쟁했던 2011년 일본애니 [73] 김치찌개10167 12/10/26 10167 0
39909 [일반] 서울시장 이명박 [41] 천산검로6465 12/10/26 6465 0
39908 [일반] 호족들의 나라 ⑦ 패왕의 꿈 [5] 후추통4916 12/10/26 4916 0
39907 [일반] - [28] 삭제됨3990 12/10/26 3990 0
39906 [일반]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세 후보의 의료정책 [101] 순두부8041 12/10/25 8041 0
39905 [일반] 제18대 대통령 선거 10대 공약 (2) 무소속 안철수 후보 [11] 타테시7379 12/10/25 7379 0
39904 [일반] 귀여운 동물들 [4] 프랑프랑3539 12/10/25 3539 0
39902 [일반] 제18대 대통령 선거 10대 공약 (1)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12] 타테시6803 12/10/25 6803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