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10/10 20:31:49
Name The HUSE
Subject [일반] [일상] 면접에 대한 소소한 의문을 가장한 잡담
오늘 모기업의 면접관으로 참관하게 되었습니다.
부서별로 할당이 나와서 제가 가보고 싶다고 해서 참석하게 되었는데 재밌더군요.
아, 물론 면접자들에게는 곤욕스런 하루였겠지만...^^;;
면접자들을 보면서 예전 생각도 나고 좋긴했는데,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더군요.

1. 여자 면접자들의 복장은???
   복장이 정해져 있는걸까요?
   모두 검정색 상의에 흰색 블라우스, 검정색 스커트에 검정색 구두.
   게다가 머리는 올백 아니면 똥머리...
   흠, 왜 그랬던걸까?

2. 면접 스터디에는 메뉴얼이 있는걸까???
   오늘 토론 면접 들어갔었는데, 모두들 비슷하게 말하더군요.
   "OOO 지원자 말씀 잘 들었습니다......"
   아, 오글오글. ^^;;

3. 왜 마지막 한마디 해보라는 말에 아무것도 안하는걸까???
   면접 종료 직전 마지막으로 한마디씩 해보라고 했는데,
   왜 서로 눈치만 보고 그냥 끝내는걸까?  
   절박하지 않은 걸까? 아니면 충분히 합격권이라고 생각했던걸까?

4. 면접관들에게 하는 입발림 소리는 어디까지 진실일까???
    식상한 "뼈를 묻는 각오로 열심히 하겠습니다." 말부터
    "여기 한곳만 지원했습니다." 와 같은 말은 모두 진짜일까?

지금쯤이면 오늘 저랑 면접봤던 사람들도 모두 집에 도착했겠네요.
대부분 조금씩 후회하고 있겠지만, 모두들 정말 수고하셨다고 말해주고 싶고,
마지막 주어진 발언 기회에 노래 불렀던 분...
정말 멋졌습니다.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정지연
12/10/10 20:37
수정 아이콘
1. 일본은 더하더군요.. 마침 올해 3월말~4월초에 일본에 있었는데 일본은 4월 1일이 대부분의 회사에 신입사원이 첫 출근하는 날이라 큰 역같은데 가면 사방이 신입사원들이었는데 여자들의 경우 까만색 정장에 흰색 블라우스에 무릎에서 끝나는 스커트, 하이힐도 아닌 교복구두같은 투박한 까만색 구두, 헤어스타일은 완전 범생이 스타일... 누구하나 다른점없이 똑같더군요..
그에 비해 우리나라 여성 면접자들은 그래도 비슷하면서도 나름의 스타일을 갖추고 있는듯 합니다..
위원장
12/10/10 20:38
수정 아이콘
면접자 입장에서 좀 이야기해보자면...

1. 마지막말은 왜 시키는 걸까? 끝까지 테스트 하고 싶은 걸까? 그냥 궁금한거 질문 하면 안되나?
기껏 준비했다가 분위기 싸해지면 어쩌지... 에이 무리하지 말자.

2. 식상한 질문을 왜 하는 걸까? 뻔한 답이 나오는 거 다 알텐데....
특이하게 했다가 튄다고 자르지는 않을까? 중간이나 가야지... 하고 뻔한답
The HUSE
12/10/10 20:43
수정 아이콘
저같은 경우에는 진짜 커트라인에서 조금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면접자도 마지막 멘트를 듣고 수정하였습니다.
뭐, 면접관들 마다 다르겠지만 전혀 의미 없는 행위는 아닙니다.
그리고또한
12/10/10 20:48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 면접관련해서 특강? 같은 걸 들었었는데...
여자 면접자는 잘 꾸미기보단 '일하는 여성' 분위기를 잘 만들어야 한다고, 그래서 올백에 옆머리 넘기고 단정하게 하라더군요.

여튼 마지막에 한마디가 참 인상깊었습니다. [여러분이 마주하는 사람이 같은 세대가 아닌 걸 명심하세요!] 라면서...
하루아빠
12/10/10 21:27
수정 아이콘
정말 말빨에 자신이 있지 않는 이상 , 예상 질문들에 관해서는 어느정도 암기를 해가기 때문에 뻔한 질문이 들어오면 뻔한 대답들이 나갈 수 밖에 없습니다. 면접자의 입장에서는, 정말 뻔한 질문들만 하는 면접관들을 보면 오히려 제가 답답하더라구요. 준비를 안해온 건지, 내가 맘에 안들어서 대충 하고 보내려는 건지, 이미 내정자가 있는건지..
다음닉변경전까지취직
12/10/10 22:00
수정 아이콘
학교 취업 수업에서 가르쳐주고...면접 스타일이 이미 다 정해져있습니다. 안 튈려고 거기에 맞춰서 가죠.
저도 며칠전에 처음으로 면접을 보고 왔습니다. 무려 아침 8시부터 오후 5시까지 하루에 면접 3번과 인적성을 한번에 치는....

저도 복장은 보통 하는대로 하고 갔지만
면접 방법은 좀 다르게 했습니다. 보통 자기를 잘 포장하라고들 하던데요...단점도 잘 포장해서 장점처럼 만들라고...
저는 제 생각 있는 그대로 다 이야기하고 단점도 그대로 다 이야기했습니다. 면접관도 한 두번 당황하시더라구요.
면접은 기업이 같이 일할 사람을 구하는 자리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구직자가 앞으로 일할 회사를 면접하는 자리이기도 하다고 생각합니다.
솔직한 모습과 생각을 다 드러내고도 나와 일하고 싶어하는 회사를 가야 앞으로 일할 때 더 좋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이런 바보같은 방법으로는 자타가 공인하는 좋은회사(대기업?)은 가기 힘들지도 모르지만..
적어도 나에게는 좋은 회사를 들어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런 방법을 앞으로도 고수할 생각입니다.
12/10/10 22:16
수정 아이콘
1. 정장 입으라고 하면, 무난하게 하는 것이 좋지만, 비즈니스 케쥬얼이 해당사항에 있으면,
회사 분위기에 따라 도전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무리수를 던지는 것때문에 두려워 할 수 있지만, 이럴때 주변에 옷맵시 좋거나 디자이너와 같이 쇼핑하는 것도 좋고,
비즈니스 케쥬얼이 오히려 발랄하고, 패기 넘치는 모습을 어필 할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함.

2. 다소 오글거려도, 스터디를 통해 준비하는 다듬어진 모습이
무언가 준비했다는 인상을 주기 좋음.

3. 거의 모든 기업마다 마지막 한마디는 꼭 하는 말임.
미리 준비해서 가서, 마침표를 쾅하니 찍는 것이 좋음.
원래 처음과 마지막이 이미지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4. 그런 말도 앞뒤가 맞게 하는 게 좋다고 생각함.
예를 들면, 산업군을 맞춰서, 이 산업만 지원했다. 난 이 산업에 대한 열정이 크다. 라고 말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들리고,
SWOT 분석을 통해, 회사의 강점과 나의 강점이 시너지 효과를 낸다. 뭐 이런식으로 분석적으로 다가가면 더 좋을거 같습니다.

저도 취준생 입니다.
지난 두 번의 금요일 연속 광탈절을 맞이했는데,
얼마 남지 않은 면접 기회를 잘 살리고 싶네요.

굿럭입니다. :)
CoNd.XellOs
12/10/10 23:34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는데 면접 전에 뽑을 만한 지원자들 추려놓는다고 하는 말도 있고
서류 통과하고 면접시에는 제로 베이스라고 하는 사람도 있던데 어떤게 맞는 건가요??
Je ne sais quoi
12/10/10 23:38
수정 아이콘
면접자들도 준비를 잘 해야 하지만 면접관들도 마찬가지죠. 그냥 인사팀에서 주는 매뉴얼대로 가는 경우는 뻔한 질문만 나올 수 밖에 없죠. 저는 프로그래머라 조금 달랐지만 면접관이 되는 것도 정말 힘들긴 하더군요. 그래도 우리나라 기업들은 특히 뻔한 질문 하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제가 가장 저질로 생각하는 질문은 "회사에 굉장히 중요한 or 급한 일이 있는데 가족이 (죽을 수도 있는, 매우 위급한 정도 등등) 아프다. 어떻게 하겠는가?" 입니다. 면접관이 이 질문 하면 속으론 욕 나옵니다.
고마아주라
12/10/11 00:49
수정 아이콘
3. 요새는 좀 바뀌지 않았나요??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다들 꼭 준비해가던데..

4. 이것도 요새는 지양하는 추세던데..
면접 준비할때.. 면접관들이 이런게 싫어한다고 왠만하면 하지말라고 하더군요.
12/10/11 08:30
수정 아이콘
무슨노래를 불렀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024 [일반] 왜 구미 불산노출사건인가? , 왜 대불산단 폭발사건인가? [23] 응답하라19985215 12/10/31 5215 21
40023 [일반] 이것이 오케스트라다!!! [10] Neandertal4298 12/10/31 4298 0
40022 [일반] 지식채널e - 서부전선의 기적 [8] 김치찌개4632 12/10/31 4632 0
40021 [일반] 세계의 명언들... [11] 김치찌개5638 12/10/31 5638 0
40020 [일반] 역대 극장 애니메이션 전세계 흥행수입 TOP30 [27] 김치찌개6881 12/10/31 6881 1
40019 [일반] 어디서부터 달라짔을까 [9] 삭제됨4194 12/10/30 4194 0
40018 [일반] 롯데 자이언츠 차기 감독 후보진을 예상해 봅니다. [35] 바카스6388 12/10/30 6388 1
40017 [일반] 호갱님 [16] 이명박5756 12/10/30 5756 1
40015 [일반] 제49회 대종상, 스스로의 권위를 깎아내리다. 광해 싹슬이 수상 [59] 타테시8272 12/10/30 8272 0
40014 [일반] 본격 pgrer 이벤트, <키배말고 칭찬해요> [153] 절름발이이리7197 12/10/30 7197 10
40013 [일반] 다윗의 막장의 [월간 이공계] 10월호 '본능적으로'가 공개되었습니다. [24] jjohny=Kuma4085 12/10/30 4085 1
40012 [일반] [운전면허] 다음달부터 코스4개로 증가, 타블렛 PC가 채점한다고 합니다. [14] 바닥인생4080 12/10/30 4080 0
40011 [일반] <007 : 스카이폴> - Sometimes, the old ways are the best. [7] New)Type4058 12/10/30 4058 0
40010 [일반] 양승호 롯데 자이언츠 감독, 전격 사의 표명 [121] 7296 12/10/30 7296 0
40009 [일반] 투표시간 연장에 따른 추가 비용 논란 [79] 허느5121 12/10/30 5121 0
40008 [일반] [펌] 가상현실 카테고리 영화 목록 [13] legend4958 12/10/30 4958 0
40005 [일반] 초보자가 접근할 수 있는(혹은 어려울 수도 있는) 클래식 음악 10선 [34] Neandertal6655 12/10/30 6655 3
40003 [일반] <007 스카이 폴>, 볼까 말까 망설이는 분들께 [37] 한아7711 12/10/30 7711 0
40002 [일반] 가볍고 훈훈하며 즐거운 만화, 애니메이션 - 3 - [29] 화잇밀크러버10025 12/10/30 10025 0
39999 [일반] 결혼하기 어렵네요. [277] 드랍쉽도 잡는 질럿14511 12/10/30 14511 0
39997 [일반] 피롱도르 후보 23인이 발표 되었습니다. [65] 그리메4991 12/10/30 4991 0
39996 [일반] [야구] 한국시리즈 잠실구장 경기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77] My StarLeague5601 12/10/30 5601 0
39995 [일반] 류현진 포스팅 금액의 시금석 자료들. [58] 은하수군단6445 12/10/30 644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