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7/27 11:44:53
Name 난내가회원인
Subject [일반] 양치질에서 포인트?
밑에 글보고.. 생각나서 올려봅니다.




양치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치태의 제거입니다.

입을 물로 헹구고.. 각종 가글액 등으로 헹궈도 치면에 부착된 치태가 제거가 안되는데,

기계적인 제거 즉 양치질로만 제거 가능합니다.


병원에서 보면, 양치질을 열심히 하고 왔다고 하는데.. 치태가 있는분들이 많으세요. 그런분들이 잇몸도 안좋고 충치도 많으신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치태의 완벽한 제거는 어려울지 몰라도. 정상적인 교합(가지런한 치아?)을 가진 분이시라면, 양치질로 대부분의 치태 제거 가능합니다.

치열이 고르지 못하거나 등의 이유로 양치만으로 치태, 음식물의 제거가 힘든 경우 부가적인 기구(치실, 워터픽 등) 사용이 추천됩니다.

그럼 치태가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아느냐?

확인하는 법은 간단합니다.

치아 여기저기를 손톱으로 긁어보면 됩니다. 긁혀 나오는게 없으면 되요 ^^
허연게 손톱에 끼여 나오면.. 양치 잘 못하시는 겁니다.


제가 생각하는 치아 관련 팁입니다.

1. 양치시 혀는 꼭 마지막에 쓸어내리듯 닦아준다
2. 전동칫솔(음파칫솔이든 뭐든..)은 더 열심히 닦아야, 손으로 닦는것과 비슷한 효과를 낸다.
3. 치석이 많이 생기는 타입이 있는데, 이런 분들은 정기적인 스케일링이 필수다
4. 치아는 비싸다. 평생 쓰기 위해서는 관리도 잘해야겠지만, 함부로 사용해서도 안된다. 요새 평균수명이 80이상이죠? ^^
----> 딱딱한 것 , 질긴 것 씹는 것을 최소화하세요


갑자기 적으려니.. 두서없는 글이 되었네요. 생각나면 추가사항 더 올려볼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난내가회원인
12/07/27 11:54
수정 아이콘
5. 탄산음료 좋아하면, 목으로 바로 넘겨라!(과학적인 근거 없어요.. 치아와 접촉 안할수록 좋겠죠?)
6. 한번을 해도 제대로 양치할 것. 그냥 쓱쓱 문지르고 양치했다고 하면 곤란합니다.
7. 가족력이 중요.. 부모님이 치아가 안좋다면 관리 더 잘하시고, 치과에 내원해서 정기검진 꼭 받으세요
8. 젊을때는 충치가 많이 생기지만, 30대 이후부터는 잇몸병에 더 조심하셔야합니다. 예방은 양치와 스케일링 밖에 없어요


억지로 글을 늘여나가는 느낌이네요 ㅡㅡ;

아무쪼록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파란무테
12/07/27 11:55
수정 아이콘
25년동안 치석제거를 한번도 하지 않고, 양치질 잘 하고 살아왔다고 자부했었는데..
처음으로 한 치석제거 후, 이와 이 사이의 빈 공간이 그리 커 보이더라구요.
지금까지 이 치석들을 버젓이 놔두고 양치질 했다는 생각에 몸서리가 쳐 지더군요.
이제 치석전 단계인 치태를 제거하기 위해 오랜시간 공들이며 양치질 합니다.
정말 중요합니다. 치태제거.
양치질의 목적은 냄새제거가 아니라는 것.
12/07/27 12:00
수정 아이콘
http://www.youtube.com/watch?v=TpIR9owoJ5g&feature=youtube_gdata_player

양치질 방법 영상입니다.

회전법이라는 방법인데 널리 추천되는 방법입니다. [m]
난내가회원인
12/07/27 12:08
수정 아이콘
방법보다는 적당한 힘으로 빠진 부위없이 구석구석 닦아주는 게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히히멘붕이다
12/07/27 13:09
수정 아이콘
닦는 것도 중요하지만 깨끗하게 헹구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더군요. 남아있는 치약이 오히려 치석화될 수 있다던데요.. 치간칫솔을 이용하는 것도 좋은 것 같아요. 아 그리구 이를 쓸어내리듯 닦으면서(위 영상의 회전법) 잇몸도 같이 쓸어내리면 혈액순환이 되어서 좋다고 들었어요.
12/07/27 13:11
수정 아이콘
요즘 칫솔질의 필요성을 많이 느낍니다.
오래 전에 앞니 네 개를 씌웠었는데, 다 덮고 있던 잇몸에 요즘 틈이 생기더군요.
구멍이 난 것처럼 흉해서 다시 잇몸이 덮었으면 하는데, 과연 내려올지 모르겠네요...
트레빌
12/07/27 13:30
수정 아이콘
팁들 감사합니다. 그런데 보통 먹고 빨리 양치질을 할 수록 좋다고 그러던데 과일이나 탄산음료수는 그러면 절대 안 된다고 그러더라고요.
그런 음식들이 과일이나 음료수 외에도 많나요?
12/07/27 14:05
수정 아이콘
양치질에 치실이나 치간칫솔 사용만해도 충분하고, 가끔씩 가글만 해주면 더 좋구요.
12/07/27 15:25
수정 아이콘
치실질하기 귀찮아서 구강세척기를 하나 샀습니다. (워터X)
이게 효과가 치실보다 좋은지는 모르겠지만 하고나면 시원한거는 최고네요.
아프면서도 시원한 그맛! 단점은 경운기 소리남.
참외아빠
12/07/27 15:31
수정 아이콘
이번주까지 마취해 가면서 잇몸 깊숙히 밖힌 치석들
제거했어요
하나는 앞으로 수명이 14년 밖에 안남앗답니다
모두 건강한 치아 잘 관리하세요
율리우스 카이사르
12/07/27 15:54
수정 아이콘
흑 얼마전에 스케일링 하러 갔다가 충치 8개 치료에 120만원 쓴이후에 맹렬 양치중입니다. 흑흑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726 [일반] 첫사랑 생각나는 명작 애니 영화 [24] 김치찌개5452 12/08/20 5452 0
38725 [일반] 군인을 호구로 생각하는 양구 상인들 [59] 타나토노트14501 12/08/20 14501 0
38724 [일반] 나홀로 2박 2일 부산 여행기 [9] 파랑새5031 12/08/20 5031 0
38723 [일반] [거피셜] 기성용 스완시 시티 이적 기사 [34] Charles6110 12/08/20 6110 0
38722 [일반] 올림픽에 뭍혀버린 현병철 인권위원장 연임(재임) [10] 곰주3434 12/08/20 3434 0
38719 [일반] 번역은 반역이다... [54] Neandertal7893 12/08/20 7893 0
38718 [일반] 박근혜 후보가 새누리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이 되었습니다. [53] 어강됴리7879 12/08/20 7879 0
38717 [일반] [해축] 월요일의 BBC 가십... [88] pioren5134 12/08/20 5134 0
38716 [일반] 짧은 예능 이야기. [62] 삭제됨5996 12/08/20 5996 0
38715 [일반] [야구] 프로야구 <2013 신인드래프트 지명> 결과입니다.. [33] k`6162 12/08/20 6162 0
38714 [일반] [스포츠] 한 주간 스포츠 뉴스 올립니다.. [28] k`4912 12/08/20 4912 2
38713 [일반] 토니 스콧 감독 사망 [25] 리콜한방6724 12/08/20 6724 0
38712 [일반] [2편] 일본측의 '독도일본고유영토론'주장 비판 [15] nickyo5434 12/08/20 5434 3
38711 [일반] 일본 '각 부처별 한국에 보복할 시나리오 검토 요청' [28] 그리메6400 12/08/20 6400 0
38710 [일반] 슈퍼주니어/보아/팬텀의 뮤직비디오와 서인영/카라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1] 효연짱팬세우실3794 12/08/20 3794 0
38709 [일반] <나는꼼수다 봉주 17회> 나꼼수 팀의 자뻑 [62] 친절한 메딕씨6646 12/08/20 6646 1
38708 [일반] [재일교포사] 일본 최초의 재일교포 중의원으로 당선했던 아라이 쇼케이 下 진동면도기4534 12/08/20 4534 0
38707 [일반] [재일교포사] 일본 최초의 재일교포 중의원으로 당선했던 아라이 쇼케이 上 [2] 진동면도기5027 12/08/20 5027 0
38706 [일반] 대한민국 축구 64년 만에 쓴 새 역사의 현장.JPG [18] 김치찌개7051 12/08/20 7051 1
38705 [일반]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신윤복 [1] 김치찌개4005 12/08/20 4005 0
38704 [일반] 낙동강 - 3. 위기의 끝, 노병의 퇴장 [2] 눈시BBver.27458 12/08/20 7458 2
38703 [일반] 한국의 주성치는 누구다? [34] 순두부6725 12/08/20 6725 0
38702 [일반] 인생에 다시 오지 않을 기회를 포기하려고 합니다. [72] 진중권7632 12/08/19 763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