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7/22 00:12:40
Name 김치찌개
Subject [일반]  활과 창을 들고 한국전쟁에 참전한 마오리족




활과 창을 들고 한국전쟁에 참전한 마오리족..

인상깊은 부분이 있다면 뉴질랜드의 마오리족

마오리족은 총,대포,전투기,전함이 우글거리는 한국전쟁에

단지 활과 창을 들고 전쟁에 참전했다고 하는군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엽혹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공고리
12/07/22 00:20
수정 아이콘
터키나 에티오피아는 방송에서 소개된 것을 봤는데 마오리족은 처음 보네요.

위의 설명에 보면 다큐나 영화에 소개되기 좋은 것 같은데 전 본적이 없어요.(나왔는데 제가 못봤겠지만^^;;)
게지히트
12/07/22 00:35
수정 아이콘
우리에게는 참으로 감사한 일이나, 마오리족에게 민주주의의 개념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심지어 마오리족은 민주주의 사회인지도 모르겠구요.
그것보다도, 마오리족이 한국전에 참전한 배경이 더욱 궁금하네요. 한국이 월남파병하듯
정치적 배경도 존재했으리라 생각합니다.
마오리족. 창과 활을 들고 들어온 전쟁터에 총, 폭탄이 쏟아지는 전장을 어떻게 받아들였을가요.
Judas Pain
12/07/22 00:47
수정 아이콘
자본주의라고 솔직하게 말해도 좋을텐데...
12/07/22 01:00
수정 아이콘
창과 화살
덜덜덜
ReadyMade
12/07/22 01:02
수정 아이콘
밑에 사진은 로토루아에서 봤던 분들 같네요.. 무슨 호텔에서 공연하던거 같던데
군인동거인
12/07/22 01:20
수정 아이콘
이 노래가 마오리족 노래였다니 덜덜
김첼시
12/07/22 01:53
수정 아이콘
현재 뉴질랜드 거주중인데... 글세요 아무리생각해도 말이안되는것 같네요. 당시 뉴질랜드가 한국전에 파병을했고 그 파병인원중에 다수의 마오리족이 있었다는 사실은 알고있었지만 그 당시에 활과 창만가지고 참전을했다? 그 당시 뉴질랜드 상황을 생각하면 믿기힘드네요.
초보저그
12/07/22 02:30
수정 아이콘
이 노래가 마오리족 노래였다는 건 정말 놀랍지만, 진짜 어떤 식으로 참전했는지 궁금하네요. 창, 화살을 가지고 왔을 수도 있지만 실제로 창, 화살을 가지고 싸웠다고는 믿기 어렵네요. 파견된 수가 얼마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미군에 편입되어 총 지급받고 싸우지 않았을까요?
12/07/22 04:17
수정 아이콘
엽혹진 것들은 믿을만한 게 당최 없어서;;
방구차야
12/07/22 05:24
수정 아이콘
네팔의 쿠르카 용병들이 영국군에 소속되어 전통칼(초승달형)을 소지하는것 처럼 전사들이 챙겨온 전통무기들이 아닐까 합니다. 물론 전쟁터에선 현대식 복장과 장비, 소총등을 휴대했겠죠. 설마 저런 복장과 창,화살을 소지하고 전쟁으로 나갔을리가 없죠 크크...
다미아니
12/07/22 06:15
수정 아이콘
지금은 저 노래가 뉴질랜드 노래인 것을 많이들 아시지만, 예전에는 뉴질랜드인이나 동포들이 저 노래를 부르면, 한국 관광객들이 다들 놀랐죠.
"그거 한국 노래 아닙니까?"라고.
12/07/22 06:56
수정 아이콘
뉴질랜드 거주중이고 고등학교때 배운 역사에 따르면 마오리족 이분들은 서양 분들이 뉴질랜드 들어왔을때 총까지 수입[!]해서 부족끼리 전쟁을 할 정도인 전투민족이고 그리고 뉴질랜드가 군인에게 총 지급 못할정도로 허접하지는 않은 나라였죠 그리고 만약에 뉴질랜드에서 지급을 못 해도 호주에서 해 줬을 겁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ANZAC 이라고 해서 호주하고 세트로 파병하는 일이 많았으니까요....]
12/07/22 08:09
수정 아이콘
그래서 미군이 총줬다고 아래에 쓰여져 있고 뉴질랜드나 호주 아니면 영국의 예하로 들어갔겠죠
12/07/22 09:13
수정 아이콘
어머니18번이 뉴질랜드노래였다니... 충격이네요
비전력이부족하당
12/07/22 14:56
수정 아이콘
마오리족은 이미 현대식 무기로 뉴질랜드랑 쌈박질한 적도 있었고, 2차대전 때는 구르카 용병 못지 않게 유명했죠.

창칼 들고 왔다는 것도 어불성설이고 민주주의를 위해 싸웠다는 것도 틀린 말입니다. 용병개념이었던듯 합니다. 전투종족이기도 하고..


엽혹진꺼는 당최 믿을 수 있을만한게 없네요. 전에도 그런거 많더니.
12/07/23 08:35
수정 아이콘
용병이 아니라 그냥 정규군일겁니다. 다른 원주민과의 충돌과 다르게 마오리족은 서구 열강과 비슷한 수준의 무장으로 붙은 탓에 비교적 다른 경우에 비해서 권리도 많이 인정 받은 편이고 시민권도 있었던 걸로 압니다. (미국의 일본인 부대처럼 따로 편성한 경우에 가깝지 않나 싶네요.)
lupin188
12/07/22 19:03
수정 아이콘
저분들의 희생으로 오늘날의 우리가...존재할 수 있었네요...
12/07/23 03:11
수정 아이콘
갑작스럽게 파병이 준비된만큼 제대로 물자가 준비되지 않아서 그나마 여유로운 미군에게 지원 받았다라고 판단하는게 옳겠죠. 처음 서구 열강과 교류할 때부터 화약 병기뿐만 아니라 배까지 들여와서 적극적으로 썼고 2차 세계대전에서도 호주&뉴질랜드군 소속으로 적군 무기까지 노획하면서까지 싸웠던 민족이 한국전쟁에 와서 냉병기로 무장하진 않겠죠.
사악군
12/07/23 11:08
수정 아이콘
활과 창을 들고 왔으나 미군에게 총을 받아서 총으로 싸웠다..정도가 아닐런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335 [일반] 치아에 관한 짧은 팁 [45] 다음세기8241 12/07/26 8241 1
38334 [일반] 가온차트 12년 7월 3주 종합순위 - 강남스타일 기록적 1위 [18] 타테시6968 12/07/26 6968 1
38333 [일반] [로엔트리] 아이유와 피에스타의 '달빛바다' 뮤직비디오 [13] 4982 12/07/26 4982 1
38330 [일반] [해축] 목요일의 BBC 가십... [31] pioren4300 12/07/26 4300 0
38327 [일반] MBC 김재철 사장이 점점 궁지로 몰리나보네요. [88] 부끄러운줄알아야지9148 12/07/26 9148 1
38326 [일반] 지식채널e - 어머니의 고백 [2] 김치찌개4185 12/07/26 4185 0
38325 [일반] 역사의 현장을 가다 - 칠천량 답사기 2탄 [6] 자이체프3683 12/07/26 3683 0
38324 [일반] 캐디 라는직업을 아시나요..? [39] 슈퍼비기테란14980 12/07/26 14980 1
38323 [일반] [오피셜] 오스카 첼시 이적 [21] 고윤하4931 12/07/26 4931 0
38322 [일반] 마음에 와닿는 글귀들 [2] 김치찌개4615 12/07/26 4615 0
38321 [일반] 안철수의 가능성 [33] 김태소6770 12/07/26 6770 1
38320 [일반] 두개의 문 보고 왔습니다 [2] kurt4734 12/07/26 4734 0
38319 [일반] 서울 4대 매운 떡볶이.jpg [31] 김치찌개8553 12/07/26 8553 0
38318 [일반] 희망과 절망 - 2. 적과 아군, 누가 더 빠른가 [27] 눈시BBver.28559 12/07/25 8559 5
38317 [일반] 30대 어느 가장의 고민 [71] 알파로크5995 12/07/25 5995 0
38316 [일반] [J-POP IDOL] 천하를 노리는 사카에의 별 - SKE48 Team KII 편 [16] Story4302 12/07/25 4302 0
38315 [일반] 근황잡담 [37] 절름발이이리6285 12/07/25 6285 1
38314 [일반] [MLB] 핸리 라미레스 go to Dodgers!!! [14] Shiningday873832 12/07/25 3832 1
38313 [일반] JYP의 멍청한 언론플레이 [89] 타나토노트9184 12/07/25 9184 0
38312 [일반] [해축] 수요일의 BBC 가십... [61] pioren4336 12/07/25 4336 0
38311 [일반] 역사의 현장을 가다 - 칠천량 답사기 1탄 [9] 자이체프3654 12/07/25 3654 0
38310 [일반] [잡담] 안철수, 브루스 웨인 그리고 심여사... [15] 언뜻 유재석6006 12/07/25 6006 6
38308 [일반] [곰주의추천] 쪼그맣고 심플한 MP3 (부제: 빳떼리의 역습) [28] 곰주5909 12/07/25 590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