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5/06 22:38:43
Name 김치찌개
Subject [일반]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요리들 세계 경쟁력 Top12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요리들 세계 경쟁력 Top12..

1위는 이탈리아네요 80.1점

대한민국는 7위군요 73.2점 C등급 이라니 흠..

즐거운 하루 되세요~

출처:엽혹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5/06 22:42
수정 아이콘
상위권에 가기 위해서는 여러 그릇에 담어야 하네요. 한국의 상위권 비결.
된장찌개
12/05/06 22:44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선 스페인 음식이 뭔지 잘 모를것 같은데, 세계적으로 3위;;;;
못된고양이
12/05/06 22:47
수정 아이콘
스페인이 1위 일본이 2위쯤 할 줄 알았는데 이태리가 갑인가 보네요..
거간 충달
12/05/06 23:00
수정 아이콘
영국은 어디갔지??
라방백
12/05/06 23:02
수정 아이콘
피자와 파스타의 위엄이군요..
된장찌개
12/05/06 23:09
수정 아이콘
혹시 스페인 음식이 우리나라사람 입맛에 별로 매력적이지 않아서 아닐까요?
못된고양이
12/05/06 23:17
수정 아이콘
잘은 모르지만 외국 유명 요리사들이 스페인 요리 탐방하는거 보면 참 먹음직스럽고 건강에 좋은 식재료도 많이 보이더군요.
쌀, 마늘, 고추를 많이 쓰고 딱 봐도 느끼해 보이지 않고 한국입맛에 촥 붙을것 같은데 국내에서는 아직 눈에 잘 보이지도 않으니 좀 아쉽습니다.
영원한초보
12/05/06 23:14
수정 아이콘
흐음 한국에서는 그래도 뭐 좀 대접한다고 하면 한우를 먹어야 할꺼 같은데
아니면 회를 먹어야 할텐데 회는 다 일식으로 들어가는 건가요?
뽀딸리나
12/05/06 23:59
수정 아이콘
영원한초보 님// 회=일식 아닙니다, 회는 우리나라 전통음식입니다

회는 가장 조리하지 않은 상태의 음식이라 보시면 됩니다...크게 생회와 숙회로 나눌 수 있고 생회는 익히지 않은 것, 숙회는 살짝 데친 것을 가리킵니다, 흔히 우리가 '회'라고 하는 것은 생선회인데 정확히 표현하자면 어생회라 할 수 있겠죠, 육회는 최근 무침으로 가고 있고 물회는 사실 냉국에 가깝습니다...정확하게는 전라도 지방의 날고기가 육회에 해당될 수 있겠지요

채소회도 존재합니다...버섯회도 가능하고요...숙회로는 오징어강회, 두릅강회, 미나리강회, 파강회 등이 있고요...

회는 일식이 아니라 우리 전통음식이자 궁중음식입니다...물론 일본은 나름대로의 사시미(생선회)문화가 따로 발달한 것이고요
(Re)적울린네마리
12/05/06 23:34
수정 아이콘
저 순위는 요리의 비쥬얼로만 판단한 게 아닐까 하네요.
(식용색소 허용해준다면 무지개떡이 아닌 무지개갈비 보여준다구~~~)

암튼 각 나라의 특유의 냄새때문에 너무 고생하고 돌아왔는데... 마늘냄새로 코잡는 늠을 보고 멘붕했습니다.
Lainworks
12/05/06 23:41
수정 아이콘
대중성을 감안한다면 이탈리아 음식이 1위 맞는것 같아요
파벨네드베드
12/05/06 23:56
수정 아이콘
음 그리스 요리가 없네요
예전에 한번 먹어보고 완전 반한적 있는데
12/05/07 00:06
수정 아이콘
다채로운 색채의 대비면에서 상위권 요리들이 돋보이네요.
정성남자
12/05/07 01:38
수정 아이콘
일본에 막왔을때는 한국 음식이 일본 음식보다 결코 뒤지지않는다, 더 맛있다를 주장했는데 몇년 살아보니...

비교 대상이 안되더라고요 T.T 저도 한국인이고 맵고 짠 한국 음식이 그리워질때가 있긴한데 음식 자체의 마인드가 다르더라고요

그래도 재료만큼은 한국이 일본에 뒤지지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뽀딸리나
12/05/07 01:53
수정 아이콘
정성남자 님// 한국음식이 일본음식에 꿇릴 것은 업습니다, 원칙적으로는요..전통 일식은 조류, 육류를 금기로 했거니와 사실 경제적 차이와 장인정신의 문제가 존재합니다...-_-;;;...그리고 착한가격 이게 한식을 천격화하고 있는 것을 한국인들이 모르고 있죠

일본은 라면이라 해도 장인정신으로 대하는 문화가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요원하죠...그 차이는 하루 아침에 바뀔 것이 아니겠죠

첨언하자면 여럿이서 찌게 하나에 숟가락 담그는 문화가 우리 전통이 아니거늘, 사실 우리는 단독상이 전통인데 이것조차 잘못 알려져서 말이죠, 군만두는 사실 지짐만두인데 아이구 일제 강점기가 우리에게 준 피해는 문화적으로는 꽤 됩니다, 그게 식민지 근대화론이 어쩌고 자시고 해도 전통을 따지는 입장에서는 일제 강점기는 진짜...-_-;;;
화이트데이
12/05/07 05:46
수정 아이콘
영국요리야 말로 1위인데 말이죠.
음식을 무기로 만드는 국가.
송화경
12/05/07 08:50
수정 아이콘
이런걸 도대체 어떻게 점수화할수 있는지 믿음이 안가는데요.
12/05/07 10:49
수정 아이콘
몇일전까지 이탈리아에 있었는데.......
개인적으로 저 순위에 동감하기 힘드네요...
가정식은 어느정도 먹을만 했지만 그냥 먹을만..
피자나 파스타같은 대중적음식도 현지스타일로 먹어보니
좀 힘들었던 기억이
아 티본스테이크는 최고였습니다
빵에 올리브 오일 듬뿍 뿌려먹는 거 따라했다가 처음에는 괞찬았지만
두번째 부터는 힘들더군요...
오는 비행기에서 주는 비빔밥이 어찌나 맛있던지
루크레티아
12/05/07 12:34
수정 아이콘
서양인의 입장에서 본 세계적 대중화 지수가 아닌가 싶네요.
그런데 또 한식이 너무 높아 보이기도 하고, 터키와 중국 요리가 너무 낮아보이기도 하는군요.
12/05/07 17:57
수정 아이콘
음식이란게 주관적이고 상대적일거란 생각이 드는데 순위를 어떻게 매기는지도 궁금하고 저는 신뢰도 안가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308 [일반] 장염, 참 무섭다.. [32] Ss.7362 12/05/19 7362 0
37307 [일반] Excuse me, where is the toilet? [20] Neandertal5692 12/05/19 5692 1
37306 [일반] 에픽하이 노래 같이 들어요 ~ (2) [11] rApi3754 12/05/19 3754 0
37305 [일반] 종교는 정말로 과학 발전을 방해해왔나? [135] OrBef11638 12/05/19 11638 6
37304 [일반] [리버풀] 차기 감독 선택과정이 흥미롭네요 (부제: AVB 를 안필드로!) [40] 리신OP4930 12/05/19 4930 0
37303 [일반] 에픽하이 노래 같이 들어요~ [22] 눈시BBver.26088 12/05/19 6088 0
37302 [일반] 법원에서 타블로의 학력을 인정해 주었다고 합니다. [38] Jinastar8013 12/05/19 8013 0
37301 [일반] 제가 요즘 듣는 강의들입니다. [2] 자이체프4987 12/05/18 4987 1
37300 [일반] 예비군 훈련 다녀왔습니다. [16] 로렌스5967 12/05/18 5967 0
37299 [일반] 이석기, 김재연 경기도당으로 옮겨가.. 통합진보당은 어디로? [39] 타테시7922 12/05/18 7922 0
37298 [일반] 전여옥 前 의원 저서 '일본은 없다' 표절 최종 판결 [38] 블루드래곤7508 12/05/18 7508 0
37297 [일반] [축구] 돈도 명예도 다 잃어버리게 된 박주영 [52] ㈜스틸야드11554 12/05/18 11554 0
37296 [일반] 그 날, 당신은 어디 있었나요? [3] rApi4095 12/05/18 4095 0
37295 [일반] 어린분들은 잘모르는 왕년의 인기 가수 4편 지누션&원타임 [27] 유르유르6904 12/05/18 6904 0
37294 [일반] [농구] 서울 삼성 썬더스, 이동준-황진원 영입//KT-LG 김영환 양우섭-김현중 오용준 맞트레이드 [9] giants4145 12/05/18 4145 0
37293 [일반] 이틀 [13] 네로울프3825 12/05/18 3825 1
37292 [일반] 기아에 새로운 용병 투수가 영입되었습니다. [28] 누렁쓰5916 12/05/18 5916 0
37291 [일반] [오늘] 5.18 (2) [16] 눈시BBver.28625 12/05/18 8625 23
37290 [일반] [오늘] 5.18 (1) [4] 눈시BBver.29275 12/05/18 9275 16
37289 [일반] 영미권 작가들이 뽑은 최고의 문학 작품들과 작가들(미국과 유럽 위주) [30] Neandertal7926 12/05/18 7926 0
37288 [일반] 후추알(2)-1983년의 꼬마가 30년을 지나 쓰는 5.18 단상 [14] 후추통5567 12/05/18 5567 0
37287 [일반] 안타까운 이름. 유병수 [252] 박동현9695 12/05/17 9695 0
37286 [일반] [해축] 첼시의 향후 미래를 결정할 단 한경기 [66] 삭제됨7189 12/05/17 7189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