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4/29 16:58:11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태평양 전쟁 - 18. 과달카날 해전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눈시BBver.2
12/04/29 17:03
수정 아이콘
그런 가운데서도 일본 육군은 과달카날을 포기하지 않아 남방을 맡는 17군에서 병력을 떼 과달카날만 전담하는 18군을 만듭니다. 그래봐야 과달카날의 상황은 변하지 않습니다. 라바울에 아무리 많은 물자를 쌓아 놔도 과달카날로 전달되지 않으면 끝이었죠. 해군은 계속 발을 빼고 싶어하면서도 포기할 수 없어서 수송 작전을 계속했는데, 구축함의 피해가 늘어나자 아예 잠수함으로 바꿉니다. 하지만 잠수함이 수송할 수 있는 건 더 적었고, 양륙을 위해 부상하는 틈을 타 미군의 어뢰정이 달려들었죠. 나중에는 어뢰에 폭탄 대신 보급품을 넣어서 발사하는 형식이었지만 달라질 건 없었습니다.

42년이 끝나면서 미군의 승리는 뚜렷해졌습니다. 하지만 아직 미군은 대규모 공세를 시작하지 않습니다. 그 동안 고생한 해병 1사단을 후방으로 보내고 병력을 교체하려 했죠. 12월까지 1사단은 전사 및 실종 681명, 부상 1278명 등 총 1959명의 사상자를 기록합니다. 철수 당시에도 말리라아 감염율은 무려 75%였죠. 이들에게 필요한 건 휴식이었습니다.

"먹을 게 좋아졌으니 우리는 쫓겨나겠구만" - 과달카날 다이어리

어려운 상륙전을 도맡아 하고 보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싸워야 하는 해병대에게는 보급이 좋아진 건 곧 자기들은 다른 데로 간다는 걸 뜻 했죠. (...) 이렇게 헨더슨 비행장을 끝까지 사수하며 큰 공을 세운 해병 1사단은 호주로 떠납니다. 전쟁은 이제 시작이었고 훈련과 실전으로 상륙전의 최고 정예가 된 그들이 할 일은 아직 많이 남아 있었습니다.

이들을 이끈 반데그리프트 소장은 명예훈장을 받았고, 해병 1사단은 미군 사단 중 처음으로 사단 고유의 표식을 달 수 있게 되었습니다.

-------------------------------------------------

과달카날 해전이 벌어졌던 42년 11월은 태평양 전쟁의 분수령이었습니다. 맥아더는 뉴기니아에서 공세를 시작했고, 북아프리카에서도 미군이 상륙했으며, 스탈린그라드에서는 소련군의 반격이 시작됐을 때였죠. 처칠은 그 때를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시작의 끝(the end of the begining)"

다음 편으로 과달카날 해전을 모두 마치겠습니다.
12/04/29 17:20
수정 아이콘
내용이 너무 방대해서 간단히 읽기만 하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감사 인사는 드려야 할 것 같아서 :)
12/04/29 17:27
수정 아이콘
후아 재밌네요. 1사단 마크에는 과달카날이라고 씌여 있을 정도니 1사단이 과달카날에서 한 일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 수 있겠네요.
12/04/29 18:19
수정 아이콘
원츄 머겅, 두번 머겅
사티레브
12/04/29 18:28
수정 아이콘
오늘 껀 한번 완독으론 제가알고있는거하고 매칭하기도 벅찬듯
항상 감사해요
오크의심장
12/04/29 19:51
수정 아이콘
이거 더 퍼시픽에서 본 해전이네요.
포프의대모험
12/04/29 21:38
수정 아이콘
진짜 일본도 대단하긴 하네요 ㅡㅡ; 돌격 안했다고 공적을 깎는 엉망진창인 수뇌부를 갖고서 근대화 수십년만에 세계최강이랑 맞짱을 떴으니
12/04/29 22:55
수정 아이콘
감사히 봤습니다.
불곰드랍
12/04/30 00:27
수정 아이콘
정말 감사히 보고 있습니다~~ 태평양전쟁은 우리의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전쟁임에도 그리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느낌인데 눈시님 덕분에 알게되서 정말 고맙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
Je ne sais quoi
12/04/30 05:59
수정 아이콘
일본의 힘이란게 정말 만만치가 않았군요. 하나라도 삐끗했다면 어떻게 됐을지 끔찍하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066 [일반] 어린이날, K리그 각 구단별 이벤트 정리! [12] VKRKO 5729 12/05/03 5729 0
37065 [일반] [국축] AFC 챔피언스 리그 32강 5라운드가 종료 됐습니다. [23] ㈜스틸야드4009 12/05/02 4009 0
37064 [일반] 블로그에만 올리려다 pgr에도 올립니다. [7] 삭제됨5445 12/05/02 5445 0
37063 [일반] 태평양 전쟁 - 21. 절망과 기적 [32] 삭제됨6191 12/05/02 6191 4
37062 [일반] [조선일보] 문화·예술·학계·종교계 101명이 추천한 파워 클래식 [17] 4999 12/05/02 4999 1
37061 [일반] 월간 윤종신 5월호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3] 효연짱팬세우실4714 12/05/02 4714 1
37060 [일반] [정치]통합진보당의 총체적인 '조작질'이 드러났습니다. [217] 아우구스투스14186 12/05/02 14186 0
37059 [일반] 어처구니 없는 SBS [75] po불곰wer13963 12/05/02 13963 1
37057 [일반] 요금장난질 치는 택시기사와 된통 싸웠습니다. [37] 데미캣13962 12/05/02 13962 0
37056 [일반] 다르빗슈, 지금까지의 기록으로 분석해보았습니다. [17] 삭제됨5465 12/05/02 5465 1
37055 [일반] 김치찌개의 오늘의 음악 19 [3] 김치찌개3496 12/05/02 3496 0
37053 [일반] [오피셜]로이 호지슨, 잉글랜드 국대 감독 선임 [32] 아우구스투스6002 12/05/01 6002 0
37052 [일반] 박근혜 지지단체 행사 갔다가 역대최대 과태료가 나오게 되었습니다. [6] 타테시8697 12/05/01 8697 0
37051 [일반] 세계의 특이한 맛 나는 치약들 [15] 김치찌개5615 12/05/01 5615 0
37050 [일반] 지구에 사는걸 감사해야 할 모습들 [24] 김치찌개7140 12/05/01 7140 1
37048 [일반] [야구] 요즘 가장 흥미로운 타자, 박병호 [27] giants6152 12/05/01 6152 0
37047 [일반] 마마~~~ 성은이 망극하옵니다.(성적소수자 관련 글입니다) [34] 삭제됨5039 12/05/01 5039 0
37046 [일반] 그 왜, 회를 먹으면 초장맛만 나는 기분 [86] Cand12321 12/05/01 12321 2
37045 [일반] 어벤져스 관람후기(스포있음) [31] 이르6203 12/05/01 6203 0
37044 [일반] EPL 시즌 말 예상해 보아요 [38] Charles4872 12/05/01 4872 0
37043 [일반] 군대 다녀들 오셨습니까. [30] 바람모리7859 12/05/01 7859 0
37042 [일반] 9호선 계약을 총괄한 서울시 공무원이 맥쿼리 주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30] 태연효성수지7648 12/05/01 7648 0
37041 [일반] [MLB]다르빗슈가 연일 호투하고 있군요. [52] meon6086 12/05/01 6086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