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4/16 18:55:37
Name 제크
Subject [일반] 편입제도가 대폭 축소 수순으로 가는 것 같네요.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232409


내년부터 수도권 대학 편입학 인원이 35%가량 축소되고 학사편입은 모집 횟수가 1년에 두차례에서 한 차례로 줄어든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편입학으로 지방대학이 공동화하고 대학생들이 편입학 학원에 다니느라 학사 일정이 파행을 겪는 등 부작용을 막기 위해 이 같은 편입학 제도 개선방안을 16일 발표했다.

새 편입학 제도가 도입되면 수도권 대학의 전체 편입학 모집 인원(2011년 1만977명)이 34.3%(3767명)줄고 서울 주요 사립대 학사편입의 경우 모집 인원이 최대 50% 축소될 것이라고 교과부는 기대했다.

교과부 관계자는 "편입학이 이뤄진 수도권 대학은 정원보다 훨씬 많은 학생이 재학하는 반면 지역대학은 정원도 못채워 대학간 `빈익빈 부익부` 문제가 식감하다"며 "편입학을 까다롭게 손질함으로써 지역인재의 수도권으로의 유출을 완화하고 수도권 대학의 교육여건을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편입학 개선안에 대해 "대학 서열화가 여전한 상황에서 편입기회만 줄이는 것은 단기처방에 그칠 수 밖에 없다"며 "편입을 통해 새로운 꿈을 펼치려는 지방대 학생들에게는 가혹한 처사일 수 있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

소문만 무성하던 편입 축소설이 현실이 되고 있군요.
안그래도 미친경쟁률인데 여기서 인원수를 줄이면 뭐...
유학생들이나 전적대가 좋은 사람 아닌이상은 포기 하라는거죠.
미국은 편입제도가 굉장히 활성화 되어있는걸로 아는데
우리나라는 지방대 총장들 입김때문에...
편입제도 특성상 적용시기는 그리 오래걸리지 않을것 같네요.
일반은 올해부터 학사는 내년부터가 유력하다고 합니다.
학사는 이미 안뽑는 학교도 있으니.. 경희대 같은 경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4/16 19:08
수정 아이콘
올해 편입해서 다니고 있지만 아직 만족하지 못해서
한번 더 해보려고 준비하고 있었는대
다시 한번생각을 해봐야겠내요 정말 이렇게 된다면 ..
낭만토스
12/04/16 19:09
수정 아이콘
편입도 힘들고 정시도(재수 N수) 힘들고

힘들어지는군요
봄바람
12/04/16 19:28
수정 아이콘
쉬운거 없죠. 없어요. 절대로. 그리고 더 어려워지기만 할 뿐.
사티레브
12/04/16 19:47
수정 아이콘
학사편입말고는 반대입장이라 괜찮다싶네요
포프의대모험
12/04/16 19:50
수정 아이콘
점점 수시에 힘이 쏠리는데 이게 공교육에 도움이 되는쪽이 아닌거같다는게 진짜 문제인거같아요
클로로 루실루플
12/04/16 20:13
수정 아이콘
편입마저 축소되면...대학 옮기는건 거의 불가능한데 말이죠. 재수,편입 전부 길은 엄청나게 좁아지고 돈많은 사람들만 좋아지는게 아닐까
싶습니다만...편입은 지금도 죽음인데 이러면 내년엔 누구도 도전 할 엄두를 못내겠네요. 편입 학원 문닫는곳 생길듯 싶어요.
몽달곰팅
12/04/16 20:13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편입 제한은 이해 가네요;; 학벌 문제와 맞물리기는 하지만....대학교 장사속이라고밖에 안보여서;;
부스터온
12/04/16 21:07
수정 아이콘
06학번인데 정말 갈수록 심해지는것 같네요
일명 서연고 서성한 중경외시는;
500만점에 450점 맞았던 친구도 서강대를 갔는데...흠
12/04/16 23:01
수정 아이콘
전 06학번인데
100 100 82 50 50 48 44 맞았는데 왜 우리학교에...

과외했던 애가 편입 준비하고 있었는데
걔한테는 기회가 한번뿐인거겠네요.....
위로의 문자라도 날려줘야겠어요
된장찌개
12/04/16 21:57
수정 아이콘
이런거 말고 여대는 언제쯤 없어질지....
여성의 분포가 고르게 이루어져야하는데 말이죠.
12/04/17 02:06
수정 아이콘
고3 올라가자마자 학생주임선생님이 들어와서 한 말이 아직도 기억나네요
여기서 떠드는 놈들 정신차리라고, 니네는 여대도 없어서 집에서 학교 다니고 싶으면 공부 열심히하라고...
제가 과외할때 애들한테 맨날 해주는 말이죠
Go_TheMarine
12/04/16 21:58
수정 아이콘
역시 수시는 없애고
97수능처럼 난이도 있게? 내는게 좋은거같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01물수능같은 건 수험생만 피보는듯..하아....

편입이 축소되면... 정말 학교 바꾸기는 힘들겠네요..
요즘 정시는 정말 힘들어보이던데...
된장찌개
12/04/16 22:00
수정 아이콘
98,99처럼 내야 가장 좋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812 [일반] 다르빗슈를 통해 본 커맨드의 중요성 - 류, 윤에게 바란다 [72] No.429014 12/04/19 9014 7
36811 [일반] 전쟁을 멈춘 사나이 [15] 김치찌개5837 12/04/19 5837 0
36810 [일반] 밤에 우울할 때 듣는 노래들 [20] 눈시BBver.28315 12/04/18 8315 0
36809 [일반] 타이타닉 침몰 100주년 [16] 김치찌개4640 12/04/18 4640 0
36808 [일반] [일드] 2분기 게츠쿠. 열쇠가 잠긴 방. [18] The HUSE6358 12/04/18 6358 0
36806 [일반] 챔피언스리그 4강 : 바이에른 뮌헨 vs. 레알 마드리드 in 알리안츠 아레나 [30] 삭제됨5604 12/04/18 5604 0
36805 [일반] 새누리당 강기윤 당선인도 표절 의혹이 있네요. [80] 아우구스투스5833 12/04/18 5833 0
36804 [일반] 박원순 서울 시장의 위엄!!! [133] 아우구스투스14268 12/04/18 14268 6
36803 [일반] 문대성씨가 탈당 기자회견을 돌연 취소했네요. [54] cheme8464 12/04/18 8464 0
36802 [일반] 제이미 모이어 옹이 메이저리그 최고령승을 기록했습니다.(영상추가) [21] 감모여재6060 12/04/18 6060 0
36801 [일반] 전 세계 각국의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 [17] 김치찌개6887 12/04/18 6887 0
36800 [일반] 걸스데이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6] 효연짱팬세우실4719 12/04/18 4719 0
36799 [일반] 성추문 논란 김형태 당선자 새누리 탈당 + 추가 : 문대성 "탈당 안해…논문 표절 아니다" [113] Charles8217 12/04/18 8217 1
36798 [일반] 박사학위란 무엇인가? [35] 곰주10660 12/04/18 10660 4
36797 [일반] 오늘 백분토론 보셨나요? ^^ [39] mangyg8991 12/04/18 8991 3
36796 [일반] [정치]역대 지역별 선거의 흐름을 가지고 한번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5] 아우구스투스3222 12/04/18 3222 2
36795 [일반] OECD에서 예측한 학교교육의 미래, 그리고 우리 학교교육의 현실과 미래는? [8] 타테시4592 12/04/17 4592 0
36794 [일반] 괜찮아요 2000원이거든요. [7] 바람모리6844 12/04/17 6844 2
36793 [일반] 기분이 참, 그렇습니다... [3] 로렌스3721 12/04/17 3721 0
36792 [일반] [음악] 아름다운 선율의 피아니스트, 이루마 (Yiruma) 씨를 소개합니다.. [14] k`3287 12/04/17 3287 0
36791 [일반] 지식채널e - 2파운드짜리 베스트셀러 [7] 김치찌개4640 12/04/17 4640 1
36790 [일반] 한국 사회의 현실 [8] 김치찌개3748 12/04/17 3748 1
36789 [일반] 태평양 전쟁 - 13. 테나루 전투 [12] 삭제됨5623 12/04/17 5623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