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3/27 17:31:13
Name 똥이와애기
Subject [일반] 지는 것이 뻔한 사건 처리하기.
이제 사회 생활을 제대로 시작한 초짜 변호사입니다.

뭐, 이 바닥이 어떤지 알고 일을 시작하긴 했지만 요즘 제가 맡은 한 사건은 속된 말로 '죽었다 깨어 나도 이길 수 없는' 사건입니다.

어떤 사건인지 말씀드리면 누구나 알만한 사건이어서 말씀은 드릴 수 없지만, 이러한 사건에 몇 일을 투자하는 내 자신이 한심스럽기도 합니다.

지게 되면 사건 수임료도 못 받을 수 있는 사건인데도 말이지요.
(물론 저는 고용변호사라 제가 수임료를 받는 것은 아니지만. 대표변호사님이 돈을 잘 버셔야 제가 여러모로 편해지지요. 흐흐)

그런데 문득 다른 직장인들도 직장 내에서 분명 이러한 고민(?)으로 괴로워 하시는 분들이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말도 안 되는 직장 상사의 요구, 처리가 곤란한 고객들의 요구 등등.

PGR회원님들은 어떻게 이런 상황들을 극복하시는지 정말 궁금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도 전 다행히 대표변호사님의 인품이 훌륭하셔서 일 자체가 힘들 뿐, 상사와의 관계 면에서는 만족하는 편입니다.

맘편히 서면 쓰고 패소하면 나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arwin4078
12/03/27 17:34
수정 아이콘
으억.. 변호사느님이다.
상담받고 싶은 일이 있는데..ㅠㅠ
자제해주세요
12/03/27 17:37
수정 아이콘
그래도 직장 내 인간관계가 가장 열받는 법인데... 다행이예요!! 힘내세요!! 화이팅!!!
완전연소
12/03/27 17:53
수정 아이콘
그래도 변호사는 낫지 않나요.
위임관계고 최선만 다하면 되는 수단채무인데...
결과가 뻔해 보여도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니 열심히는 하시고 마음은 편히 가지세요.
12/03/27 17:56
수정 아이콘
패전처리반의 팁을 몇가지 알려드리면...
질것 같은 사건은 서면에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걸 전부 반영해 주세요. 그리고 좀 감정적으로 쓰세요.
그러면 최소한 내가 해달라는 거 안 해줘서 졌잖느냐는 소리는 안 듣습니다.
그리고 내가 내는 서면이 전체 소송에서 앞뒤가 맞는지는 되도록 생각하지 마세요. 그 서면 안에서만 말이 되면 됩니다.
상대방의 주장을 반박하려는 욕심을 버리세요. 너는 너대로 나는 나대로 평행선을 달리면 됩니다.
사악군
12/03/27 21:02
수정 아이콘
흐흐흐 그렇죠. 안될 사건 맡아서 하면 더 힘듭니다. 되도 않는 소리를 해야하니...-_- 뻔히 알면서 말이죠. 그래서 처음에는 상대방 변호사가 내는 말도 안되는 서면 보면 화가 났는데 요새는 동병상련을 느낍니다. 이 사람도 얼마나 민망할까 하면서 말이죠..
똥이와애기
12/03/27 18:07
수정 아이콘
뮤게님 조언 감사합니다. 하.... 그런데 문제는 클라이언트인데요. 사안도 특수하지만, 그 클라이언트도 매우 특이하다고 할 수 있어요. 구체적으로 적을 수 없으니 답답하네요. 일단 그 클라이언트는 승소여부도 중요하지만 '사실관계'에서부터 (재판부로부터) 유리하게 판단받길 원하고 있습니다(그런데 그게 불가능한 사건입니다). 즉 간접사실로부터 주요사실을 추인하는 것과 비슷한 구조라고 할 수 있네요. 그러나 클라이언트가 제시한 자료들로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사실관계를 추론할 수 없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리고 패소 시 다가올 후폭풍이.... 덜덜덜 합니다. 여튼 뮤게님 조언 감사드립니다.
12/03/27 18:33
수정 아이콘
어떻게 지느냐가 중요한 것 아닌가요?
"지는게 확실하다. 그래도 저쪽에서는 1000만원 요구 했지만, 500선으로 막자"
피해를 적게 입기위해 변호사를 고용하기도 할 것 같습니다.
12/03/27 18:41
수정 아이콘
틈나는 대로 패소 가능성을 주지 시켜 주세요..후폭풍을 완화시키는 차원에서..

뮤게님이 말씀하신 '전부 반영'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내용은 둘째치고 그때 그때 '먼저' '친절하게' 소송 진행 과정을 알려주면서 최선을 다하면 나중에 지더라도 고마워 하거나 최소한 원망은 안하더라구요(이때도 말이 안통하는 막장 의뢰인은 어쩔 수 없습니다).
슬라이더
12/03/27 18:42
수정 아이콘
일단 맡으신 사건에 대해서 어떤 내용의 사건인지 드러날 경우에 추후에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사석에서라도 꼭 조심하시구요. 대부분 의뢰인과 상담하면서 승소여부에 대하여 대략 서로가 공감하기 마련인데, 구체적인 사정을 여쭤볼 수는 없지만 의뢰인과 승소가능성에 대한 인식차이가 굉장히 커 보여서 의아하네요. 이러면 아무리 최선을 다해도 막상 결과가 나왔을때 의뢰인으로부터 곤란한 일들이 생기실수도 있으실텐데.. 고생많으십니다. [m]
12/03/27 20:24
수정 아이콘
저는 의학미드 그레이 아나토미에서 인상깊게 본 장면이 있습니다.
거의 희망이 없는 모양으로 응급실에 도착한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해 여러명의 의사와 간호사가 들러붙어 각종 치료를 하는 것을보고, 1년차 인턴이 얘기하죠. '어자피 못 살아날거란걸 아는데 왜 저렇게 쓸데없이 힘을 빼고 있지?' 라구요. 결국 꽤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자했음에도 치료중에 환자는 사망을 하고, 레지던트 선배가 그 인턴을 불러서 얘기하죠. '왜 그러는지 알려줄게' 그리고는 인턴과 함께 밖에 와있던 환자의 보호자에게 가서 이야기 합니다. '우리가 할 수 있는 모든것을 했습니다만...죄송합니다. ' 라구요.

제 생각엔 변호사쪽도 '할 수 있는 모든것을 다했다'라는 말을 고객입장에서는 꼭 듣고싶은 분야가 아닐까 합니다. 글이 적힌 종이 하나가 개인의 재산과 신변에 엄청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니까요.
선미시카니콜
12/03/27 21:02
수정 아이콘
위의 아이디들이 바로 pgr의 법조계 종사자군요.

저는 6년 전에 법학입문 수업 C+ 받은 사람입니다.
고래밥
12/03/27 22:57
수정 아이콘
파트너 변호사께서 훌륭하시니 다음에는 좋은 사건 배정 받으시겠죠. 힘내세요. [m]
roaddogg
12/03/28 00:30
수정 아이콘
수임료를 받지 못한 사건에는 시간을 투자하지 마세요. 그게 철칙입니다.
세미소사
12/03/28 02:10
수정 아이콘
죄송한데 사법시험 출신이세요? 질문이 좀 있는데 [m]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668 [일반] 신인투수? 박찬호 선수의 1승을 기원합니다. [28] 영혼의공원4446 12/04/12 4446 0
36667 [일반] 아마추어같은 남자의 헌팅이야기(2) [19] 잠이오냐지금3776 12/04/12 3776 1
36666 [일반] 선거 결과에 대한 짧은 소감 [31] realist3079 12/04/12 3079 0
36665 [일반] 박근혜의 과소평가 자질이 선거에서는 최고의 무기가 된다. [26] 아르바는버럭4362 12/04/12 4362 0
36664 [일반] 야권의 차차기 대선주자는 박원순 서울시장? [66] 타테시6014 12/04/12 6014 0
36662 [일반] 이번 총선 결과는 민주통합당의 계산된 결과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과거(?)에 있었군요 [43] 블레이드4806 12/04/12 4806 0
36661 [일반] 어떤 국회의원의 민주당에 대한 조언. [80] 하루일기6247 12/04/12 6247 2
36660 [일반] EVENT : 제 19 대 국회 의원 선거 - 투표율 예측 당첨자 안내 [6] kimbilly3150 12/04/12 3150 0
36659 [일반] 대선에서의 박근혜에 대한 기대와 두려움 [189] 그리메6598 12/04/12 6598 0
36658 [일반] 분위기 좋았던 야권이 패배한 매우 간단한 이유 [115] KARA7154 12/04/12 7154 0
36657 [일반] 제19대 총선 지역별 총체적인 분석 [46] 타테시7332 12/04/12 7332 12
36656 [일반] 어제 선거 결과로 멘붕 하셨습니까? 그럼 사고를 바꾸십시요. [87] 슈퍼엘프7227 12/04/12 7227 4
36655 [일반] 역사채널e 26 - 단 하나의 혼수 [6] 김치찌개4013 12/04/12 4013 0
36654 [일반] 사이언스가 선정한 과학으로 풀지못한 25가지 난제 [6] 김치찌개4876 12/04/12 4876 0
36653 [일반] 정치는 단 한줄의 이미지 메이킹입니다. (이미지 추가) [51] Leeka6310 12/04/12 6310 21
36652 [일반] 우리가 두려워하는 괴물 [13] happyend5457 12/04/12 5457 6
36651 [일반] [또선거얘기] 어제 선거 알바를 했습니다 [7] ImpactTheWorld5203 12/04/12 5203 4
36650 [일반] 20대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은 무엇때문일까 [61] 라방백4147 12/04/12 4147 0
36649 [일반] 김치국을 너무 많이 마신 것일 뿐 [20] 앉은뱅이 늑대3401 12/04/12 3401 0
36648 [일반] 18대 총선과 19대 총선 비교 [16] Leeka4625 12/04/12 4625 0
36647 [일반] 성향이 달라 정치 이야기를 할 수 없는 20대 여성 유권자가 작정하고 쓰는 글! [256] 제이나7200 12/04/12 7200 12
36646 [일반] 콘크리트층? 지역주의에 세뇌된 사람들? 정말 그런거 같나요? [32] 보라도리4595 12/04/12 4595 0
36645 [일반] 시스타와 배치기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1] 효연짱팬세우실4162 12/04/12 41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