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2/03/19 00:24:01
Name 채넨들럴봉
Subject [일반] 이마트 치킨 후기
이마트 피자를 먹으러 갔다가
치킨을 팔길래 먹어봤습니다(식품 코너에서 말고 푸드 코트에서 파는)
5천원에 4조각, 9500원에 8조각이고요
약간 작기는 한데 어딜 가서 먹을 수 있는 양보다 많은 양이 나옵니다
소스랑 무는 없어요 대신 콜라가 500원으로 무한 리필

크리스피라고 해서 그런 식으로 튀긴 치킨이 나오는데
맛있고요 특히 기름이 굉장히 적다는 느낌?
그리고 참 바삭바삭 합니다
KFC에서 파는 크리스피 치킨이 어렸을 때 먹던 것과 뭔가 다르다고 느꼈는데
요즘 KFC 크리스피는 미치도록 안바삭해서 그랬던걸 느꼈습니다

요즘 이마트 근처에서 생활을 해서 미치도록 잘됐다 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근데 좀 웃겼던게
롯데 마트에서 통큰 치킨 선언을 하고 언론에서 까인다음에 사망 했는데
통큰 치킨은 안 먹어봤지만 지금 이마트 치킨도 동네 치킨집 다 망하게 할 정도의 가격, 맛을 보여주고
게다가 판매 수량 제한도 없는데 조용한게 이상했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름쟁이
12/03/19 00:27
수정 아이콘
기존 눅눅한 기름에쩐 이마트치킨말고 새로운게 나왔나보네요?
한번 들러봐야겠네요 어떤치킨인지.
데미캣
12/03/19 00:29
수정 아이콘
꽥. 제가 최근까지 이마트에서 본 치킨은 나름쟁이님 말씀대로 기름에 쩐 눅눅한 치킨이었는데..
Empire State Of Mind
12/03/19 00:37
수정 아이콘
롯데마트에서 통큰치킨을 선언하고 언론에서 까인다음에 사망 했다구요? 크크크크

절대 아닙니다;;

통큰치킨 사망후 한마리 치킨이 등장하였습니다.
그리고 흑마늘 치킨이 등장하였습니다.
또 양념치킨이 등장하였습니다.

현재는 '큰'치킨이 등장하였습니다.
언론에 심하게 두들겨 맞고 7천원에 이름바꿔서 잘 팔고 있답니다.
관리지
12/03/19 00:37
수정 아이콘
흠....이마트랑 롯대마트를 규제안한다라.

국민총생산은 늘었는데 우리는 과거보다 더 가난하다.

이말의 뜻을 잘 이해 못했었는데 얼마전 과거에는 상위5프로가 95의 소득을 독점하는 구조가 아니였죠.

물론 가격경쟁을 통한 가격인하가 자유경제체제에서 맞는 소리긴한데

이게 애석하게도 불공정한 싸움인거죠~

아이팟이 아이리버보다 가격이 쌀수있었던 가장큰 이유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메모리를 공급하는 삼성의 가격자체가 달랐습니다.

삼성에서는 엄청난 글로벌기업이며 최대 발주자에게 싸게 주는건 당연한거지만 아이리버입장에서는 불공정한 싸움이죠

뭐 슈퍼를 예를 들자면 과거에는 새우깡 500원짜리 소비자가의 물건을 동네슈퍼에서는 500에 팔았습니다 하루에 잘해야 몇개 못팔았죠

들어오는 단가는 400원이라고 치면 수익은 100원의 수익이 나는건데

대형마트는 450원에 대량의 매출을 발생시키는데 이게 또 들어오는 단가가 달라요. 350원에 들어온다고 가정하면 수익은 100원 똑같죠

문제는 여기서 끝나는게 아니라 슈퍼사장님은 그렇게 돈을 벌어서 다시 동네에서 옷을 사서 옷가계 사장님의 수익을 창출하고

다시 동네 옷가계 사장님은 동네치킨집 치킨을 시켜먹어서 치킨집 사장님의 매출을 올려주죠

이렇게 돈이 아래소득층에서 돌게되던게

대형마트에서 과자사고 옷사고 치키사면서 자영업하시던 대부분의 업주분은 더 하위계층으로 내려가고

아래에서 돌던 돈은 상위 5프로의 대기업이 가져가는데 그 5프로가 가져간 소득은 다시는 아래로 내려오지않죠~

대기업은 아래95프로의 그 어떤것도 살게 없으니까요~

물론 프랜차이즈 치킨이 비싸진건 몇몇 이라고 쓰고 비땡땡 프랜차이즈를 필두로한 프랜차이즈 업체발이지만

아직도 동네치킨집은 만원이하도 있습니다.

그런데 그곳도 닭을 받는 육계가격자체가 대기업 마트와는 또 달라서 경쟁하기 힘들죠.

이래저래 ...힘든 세상이네요
12/03/19 00:50
수정 아이콘
시장경제의 최대 장점은 시장에서 경쟁해서 상품의 질과 가격을 만족시키는 시스템이죠
물론 독과점이라는 최대의 단점이 있기도 하지만요
아무튼 상품의 경쟁을 벌여야 할 시장 독과점 되면 어떨까요?
시장이 독과점 되면 더 이상 시장경제가 아닌 기업에 의한 계획경제가되죠
Vantastic
12/03/19 00:55
수정 아이콘
대형마트가 납품받는 업체에게 부리는 횡포가 얼마나 심하신지 아시면 저런말 쉽게 못하실겁니다.
물론 당장에야 소비자 입장에선 좋겠지만 돌고 돌아 결국엔 피해를 입게 되는건 소비잡니다.
채넨들럴봉
12/03/19 00:59
수정 아이콘
치킨 얘기를 하고 싶었기 때문에 마지막 줄은 삭제합니다
아스날
12/03/19 00:59
수정 아이콘
대형마트 규제안하면 결국 다 망합니다...
뭐 본인이 상위5퍼센트 안이면 할말 없지만요..
사령이
12/03/19 00:59
수정 아이콘
대형마트나 슈퍼마켓이 가격이 싼 제품을 공급해 주는 것에 대해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매우 좋습니다.
하지만 상생의 의미에서 어느 정도 선의 규제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당장에 눈에 보이는 이득은 크지만
지역사회의 붕괴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고 기업의 활동을 너무 제한해서는 또 소비자가
피해를 보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을 맞춰야 하는데 그게 참 어렵다고 봅니다.
미소천사선미
12/03/19 01:22
수정 아이콘
대형마트...슈퍼마켓...음...
저도 한마디 하렵니다. 먹고 싶다...아...배고파...
David K. Cheng
12/03/19 03:13
수정 아이콘
통큰치킨은 가격이 문제였죠. 5천원이란 가격이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되잖아요. 손해보고 파는 미끼상품이라는 주장이 많았고 청와대 관련자가 언급하고 그러니 롯데에서 슬그머니 없애버렸죠. 요새파는 치킨은 7천원쯤 하니까 손해보고 파는 정도는 아니고 딱히 말 나올게 없죠.
켈로그김
12/03/19 12:18
수정 아이콘
요즘 집 앞 홈....거기 가면, 훈제치킨은 세일가로 4~5천원대에 파는데. 닭이 작더군요. 8~9호쯤?
닭가슴살은 2kg에 11,000원에 1+1 행사로 파는데.. 가격이 장난이 아닙니다.
채소..는 시장에서 더 싸게 살 수도 있긴 한데, 수량조절이 안돼서..
"질"을 어느정도 포기하면, 80%세일하는 소포장 채소 200~400원으로 살 수 있어서
요즘은 거의 마트에서 장을 봅니다.

요즘 들어서는
아무도 날 지켜주지 않았는데, 내가 굳이 남을 지켜줄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일종의 배신감 같은걸 느낍니다.

너무 세상을 만만히 봤던거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6082 [일반] 김희철 측에서 보낸 문자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255] 생각이없다7368 12/03/21 7368 0
36080 [일반] 민주통합당 박영선 최고위원 사퇴 '민통당 뒤에 보이지 않는 손이 있다' [52] Special one.6644 12/03/21 6644 1
36078 [일반] [펌]이정희 "본선서 심판받겠다" 출마 강행 [184] 미스터H8779 12/03/21 8779 2
36077 [일반] 보이스 코리아 <부제 : 이소정 홧팅...> [19] 다음세기5028 12/03/21 5028 0
36076 [일반] 검푸른 해협 - 완. 원 간섭기 [22] 눈시BBver.28137 12/03/21 8137 4
36075 [일반] 4.11총선 그리고 대선 [38] Hook간다4612 12/03/21 4612 0
36074 [일반] 처음처럼 찌라시 [5] epic5563 12/03/21 5563 0
36073 [일반] 3월 20일 정치권 뉴스 [7] 타테시3844 12/03/21 3844 0
36072 [일반] 여러분이 생각하는 괜찮은 직장은? [36] 제천대성5441 12/03/21 5441 0
36071 [일반] 피지알 눈팅만 10년째, 잊을 수 없는 네임드 Apatheia, 공룡 님 [54] 해바라기5793 12/03/21 5793 1
36070 [일반] [정치]저는 통진당이 이긴 모든 지역에서 재경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98] 아우구스투스5051 12/03/21 5051 1
36069 [일반] 끊어져 버린 라켓의 스트링. [2] nickyo3307 12/03/21 3307 0
36068 [일반] 가슴에 내려앉는 시 모음 10(요청글) [3] 김치찌개3324 12/03/20 3324 0
36067 [일반] 6.25 한국전쟁 직전 1949년 서울 풍경 [컬러] [9] 김치찌개4055 12/03/20 4055 0
36066 [일반] 한국의 좌파는 죽었다. [141] empier5955 12/03/20 5955 0
36065 [일반] 픽업과 연애 #9 그녀에게 연락을 하는 방법. [49] Love&Hate26132 12/03/20 26132 8
36063 [일반] 회사내규가 바꼈다고 서명을 하라하네요 [13] BISANG6582 12/03/20 6582 0
36062 [일반] 국산 맥주의 불편한 진실 [72] Thanatos.OIOF7I10954 12/03/20 10954 0
36061 [일반] [정치]"야권연대 경선관리위, 이정희-김희철 재경선 권고" [256] jjohny=Kuma6039 12/03/20 6039 0
36060 [일반] [정치]이정희씨 재경선 선언??? [381] 아우구스투스7647 12/03/20 7647 0
36059 [일반] 중국 내란 조짐 - 군병력 베이징 진입 [51] 될대로되라7541 12/03/20 7541 1
36058 [일반] 이번 야권연대에 대한 개인적 생각 [32] empier3263 12/03/20 3263 1
36056 [일반] 텍켄 - 진자 [13] 리리릭하3927 12/03/20 392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