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by
님의
댓글
을 신고 하시겠습니까?
PGR21.com
Home
게시판
Links
About
PGR21.com
공지
추천
게임
자유
질문
유머
스포츠/연예
불판
건의
여론참여심사
스크랩
댓글 알림
푸시 알람
운영진 소개
블리자드
라이엇 게임즈
한국e스포츠협회
아프리카TV
Twitch
PlayXP
Team Liquid
포모스
데일리e스포츠
인벤
OSEN
광고문의
운영진소개
댓글알림
스크랩
푸시알람
설정
✕
24시간 동안 보지 않기
회원가입
비번찾기
:: 게시판
공지 게시판
추천 게시판
게임 뉴스
게임 게시판
자유 게시판
유머 게시판
질문 게시판
스포츠/연예 게시판
선거 게시판
불판 게시판
건의 게시판
여론참여심사 게시판
테스트 게시판
:: 이전 게시판
ACE 게시판
연재 게시판
전략 게시판
토론 게시판
게임 리포트
이전 자유 게시판
이전 질문 게시판
토너먼트
스타2 게시판
워크3 게시판
올림픽 게시판
인터뷰 게시판
이벤트 게시판
자료실
평점 게시판
번역 게시판
문자 중계 게시판
PGR 대회 게시판
선거 게시판
월드컵 게시판
올림픽 게시판
지니어스 게시판
:: 광고 문의
자유 게시판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글쓰기이벤트 모음
14회차 - PGR21
13회차 - 여행
12회차 - 의료인
11회차 - 성탄절
10회차 - 추석
9회차 - 휴가
8회차 - 가정
7회차 - 인문사회
6회차 - 이해
5회차 - 추억
4회차 - 감사
3회차 - 지식
2회차 - 키배
1회차 - 자유주제
전체
일반
정치
Date
2012/01/26 22:47:41
Name
눈시BBver.2
Subject
[일반]
대몽항쟁 2부 - 3. 명중한 화살
https://pgr21.net/freedom/34923
삭게로!
애초에 공성전은 피하고 철저히 파괴와 약탈만 하기로 했던 전쟁, 어차피 고려왕은 잡을 수 없지만 고려의 중앙군 역시 없었기에 수월했던 전쟁이었습니다. 무작정 밀고 들어가기만 했던 것도 아니었습니다. 청북은 비무장지대였고, 개경까지의 길도 뚫려 있었으며, 미리 보낸 선봉은 착실히 초토화를 진행 중이었죠. 본대는 그저 찬찬히 밀어붙이기만 하면 됐습니다.
이 때의 몽고군은 최대한 분산해서 움직였습니다. 단순히 파괴만 하기엔 이게 좋죠. 반면 아주 철저히 가루만 남기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는 3차 침공에서 여실히 드러나죠. 이전에 베트남 전쟁 한국군 학살 관련 글 올릴 때의 주요 근거 중 하나가 그거였죠. 한국군이 민간인 학살을 할 생각이 있었느냐의 여부 외에 그럴 능력과 시간이 있었느냐의 문제가 크게 걸렸습니다. 이 때도 그랬습니다. 아무리 사방에서 흩어져서 논밭을 불태운다고 해 봐야 완전 초토화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만 이 정도로 하면 고려왕이 알아서 나오지 않겠느냐는 거였죠. 이 부분은 3차 침공 때 제대로 다루겠습니다.
애초에 1차 침공에 비해 적게 데리고 온 상황, 경기도 광주라는 요충지를 뚫지 못 해서 우회했던 것, 그냥 넘길 수도 있는데 군량고가 있기에 그냥 넘어가기도 애매했던 처인성, 그리고 그 처인성이 방어의 이점이 없다시피하고 정규군도 일반 주민도 아닌 천민들밖에 없었다는 너무나도 낙관적인 상황, 그렇기에 전황이 어떻게 진행됐든 살리타는 이를 너무나도 만만히 봤고, 저격을 당할 정도로 소수로 너무 깊숙히 들어왔습니다. 우연에 우연이 겹친 것이 바로 처인성 전투입니다.
이런 우연에 단 하나의 조건이 합쳐졌죠. 처인성의 천민들이 싸우기로 결심했고, 그 대장으로 김윤후라는 승려를 대장으로 뽑았다는 것이요.
여러 가지 추정이 가능합니다. 자이체프님의 말씀처럼 그냥 군량이라도 좀 가져가려고 왔는데 몽고군이 와 있어서 싸울 수밖에 없었을 수도 있고, 갈 데가 없어서 거기라도 가자는 상황이었을 수도 있죠. 살리타가 처인성을 직접 공격한 건지, 근처에 있다가 저격을 당한 건지도 확실치 않습니다. 다만 그 정도로 대규모 전면전이 아닌 기습 혹은 정찰 단계에서 당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김윤후의 행동 역시 철저한 계획 속의 행동이었을지, 어떻게든 싸워야 했기에 매복을 펼쳤는데 적 총대장이라는 대어가 걸린 것일지도 확실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런 우연 속에 나온 결과라 하더라도 그가, 그리고 처인성의 천민들이 싸우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면 나올 수 없는 결과였습니다.
고려사에서는 고려 조정에서 살리타에게 구구절절 "우리가 절대 몽고에 반항하려는 게 아이고 어쩌고 저쩌고 이러쿵 저러쿵" 이런 얘기만 잔뜩 쌓여 있습니다. 고려사절요에서는 이 부분을 과감하게 스킵했죠. 고려 조정에서는 어찌 할 바를 찾지 못 하고 있었습니다. 예고된 공격이었지만, 그들의 생각에도 너무 빨랐던 모양입니다. 그래서인지 몽고군을 불렀다는 홍복원에 대한 적개심만 크게 나와 있죠.
고려사는 그렇게 오지 말라 살려 달라 오두방정을 떨다가, 고려사절요에서는 몽고가 쳐들어왔다는 간단한 말 한 마디를 한 후에 바로 이 처인성 전투를 다룹니다. 몽고는 물론이고 고려에서도 전혀 예상 못 했던 한 방이었던 것이죠. 원사에서도 이를 크게 다루면서 "눈 먼 화살" (정확히는 유시流矢, 빗나간 화살 내지 난데없이 날아온 화살) 에 맞았다고 적고 있습니다.
당시 몽고군의 별동대는 충청도를 지나 대구에 도달했고, 부인사를 불태워 버립니다. 이 때 초조대장경이 불타죠. 만일 살리타가 무난히 용인을 넘어 충청도에 도달했다면 이런 파괴와 학살의 범위는 더욱 커졌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 하나로 몽고군은 총퇴각을 시작하죠.
+) 대구에서는 이를 가지고 몽고군이 인해전술로 밀어붙였고 승병과 의병이 맞섰다가 패배했다고 적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해전술은 아닌 것 같네요. 어떻든 대장경이 보관돼 있던 절이니 항전을 하긴 했을 겁니다. 하지만 적당한 방어시설도 없는 상황에서 이기긴 힘들었겠죠. 인명피해보단 이렇게 전쟁 때 지키기 힘든 문화재 피가 훨씬 컸을 겁니다.
이에 대해 동사강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습니다.
"몽고 군사는 일시에 함께 돌아가지 않고, 혹은 먼저 가기도 하고 혹은 뒤에 떨어지기도 하고, 동으로 갈까 북으로 갈까 망설이면서 그 향할 곳을 알지 못하였다."
살리타의 복수도, 더 이상의 공격도 하지 못한 채 무질서하게 도주했습니다. 꽤나 많은 인원이 제대로 돌아가지 못 하고 낙오된 듯 합니다.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 했던 어마어마한 결과였습니다.
이렇게 김윤후는 한국사에 스나이퍼 아니 호국불교의 첫머리에 이름을 남기게 됩니다. 법명도 알려지지 않았던 일개 지나가던 승려가 이룬 공이었죠.
+) 지나가던 스님에 대해서는 여기를 (...)
http://mirror.enha.kr/wiki/%EC%A7%80%EB%82%98%EA%B0%80%EB%8D%98%20%EC%8A%A4%EB%8B%98
조정에서는 그에게 상장군을 제수하려 했지만, 그는 "그 때 나는 활도 화살도 들고 있지 않다"면서 거부합니다. 이 때문에 처인성 전투에서 그가 정말 활약했는가를 의문삼긴 하지만, 이는 좀 그렇죠 (...) 마치 이순신 장군이 갑옷과 투구를 벗고 싸웠다 해서 정말 벗은 걸로 생각하는 수준이니까요. 대신 그는 섭랑장에 임명됐고, 환속하여 후에도 계속 싸웁니다. 이 전투로만 알려졌지만, 이후에도 그는 큰 공을 한 번 더 세우게 됩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미 살리타에게 사망 플래그가 세워져 있었다는 거겠죠. 몽고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돼서 같이 들어 온 설신은 한강을 넘으려는 살리타에게 이렇게 말 합니다.
"우리나라 속담에 다른 나라 대관이 남으로 강을 건너면 불길하다고 한다."
그 이전의 역사에 한강을 넘은 외세가 없긴 했지만, 이는 뻥카라고 봐도 될 겁니다. 한강 이남까지 내려가지 말라는 엄포였겠죠. 하지만 그기 실제로 이루어졌구요. 후퇴하던 몽고군은 그에게 지혜가 있다 하여 함부로 건드리지 않고 풀어줬다고 합니다. 그는 자신의 거짓말 덕분에 목숨을 건진 거였죠.
이 처인성 전투가 대세를 바꾸지는 못 했습니다. 하지만 연 단위의 시간을 벌 수 있었고, 대규모 파괴와 학살을 늦춰 주었죠. 문제는 최씨 정권이 그 시간을 살리지 못 했다는 거겠지만요.
이렇게 2차 침공은 끝납니다. 몽고에게는 악몽이었고, 고려에게는 기적이었죠. 하지만 그것으로 전쟁이 끝나지는 않았습니다. 이 해 말, 몽고는 동진국을 멸망시키고 포선만노를 붙잡아 처형합니다. 이제 동북면에서도 전쟁의 그림자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입니다.
뭔가 아쉬운 1차 침공, 기적 아닌 우연이 일어난 2차 침공에 이어 고려를 초토화시킬 3차 침공이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Je ne sais quoi
해시 아이콘
12/
01/26 23:00
수정 아이콘
설신의 이야기는 처음 알았네요. 정말인지 모르지만 역사에 보면 저런 신기한 예언들이 종종 있는데 참 재미있단 말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pioren
해시 아이콘
12/
01/26 23:40
수정 아이콘
....그냥 생명연장 정도네요. 어차피 1년 정도로 몽고를 막아낼 태세를 갖추긴 어려웠을 테니;;
삼국지에서 손견 죽던 생각도 나고 참 흥미롭긴 하네요 :)
자이체프
해시 아이콘
12/
01/26 23:47
수정 아이콘
처인성 유적지에 서서 한참동안 생각해봤습니다. 말씀하신대로 어떤 이유에서건 그곳에서 싸우기로 결심했다면 분명 지도자의 역할이 컸겠죠. 저격이 우연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맞서 싸우겠다는 용기가 가져온 결과라고 봅니다. 덕분에 수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구할 수 있게 된 거죠. 참, 임용한 교수님이 다음달 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강연이 있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혹시 관심이 있으시면 관련 정보를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OrBef
해시 아이콘
12/
01/27 01:19
수정 아이콘
아 근데 아무리 우연이라고는 하지만 살리타 사망 씬이 전혀 안나오는 것은 조금 아쉽네요 :)
자이체프
해시 아이콘
12/
01/27 03:52
수정 아이콘
눈시BBver.2 님// 3월 13일부터 시작이네요. ㅡ.ㅡ;;;; 아래 링크된 주소로 들어가서 확인하시면 전체 일정표가 나옵니다. 그리고 게시물이 있는 곳이 임용한 교수님과 김인호 교수님이 함께 운영하시는 카페입니다.
http://cafe.daum.net/historyins/aCyW/40
감성소년
해시 아이콘
12/
01/27 17:30
수정 아이콘
흥미진진하네요.
고려의 대몽항쟁은 고려가 '버티기'라도 했다는 게 기적처럼 느껴지지만, 쿠빌라이 칸이 일본에 발도 못디딘 건 더더욱 놀랍네요.
(누구 말로는 일부러 병사를 수장시킨거라는 얘기도 있긴 하지만 결과적으로 일본은 침입을 한 번도 당한적이 없으니..)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5002
[일반] 국회의원버전 슈퍼스타K..
[27]
최강희남편
5166
12/01/30
5166
0
35001
[일반] 맞벌이를 그만둘수밖에 없는 이유... 육아 전쟁
[51]
無의미
7644
12/01/30
7644
10
35000
[일반] Queen <Bohemian Rhapsody>
[10]
나를찾아서
3671
12/01/30
3671
0
34999
[일반] 사진으로 보는 2011년.jpg
[6]
김치찌개
4366
12/01/30
4366
0
34998
[일반] 서울시장 보궐선거 관련 의혹에 대해 정식 기사가 나왔습니다.
[17]
분수
5162
12/01/30
5162
0
34996
[일반] (스포) 이번주 나가수....충격과 공포네요
[39]
윤하파이아!
9729
12/01/30
9729
0
34995
[일반] 단 군
[10]
눈시BBver.2
6807
12/01/30
6807
3
34994
[일반] 대한민국 역대 선거결과
[11]
信主
5293
12/01/30
5293
1
34993
[일반] [WWE][스포있음] 로얄럼블 2012 매치가 방금 끝났습니다
[15]
SKY92
4369
12/01/30
4369
0
34992
[일반]
대학교 학과 학생회장으로써 가져야 할 정치적 스탠스에 대해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47]
삭제됨
4450
12/01/30
4450
0
34990
[일반] 달샤벳/월간윤종신/EXO의 뮤비와 미료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13]
효연짱팬세우실
4443
12/01/30
4443
0
34989
[일반] [스포츠] 주간 <스포츠 뉴스> 올립니다..
[15]
k`
5326
12/01/30
5326
3
34987
[일반] 프랑스 대학 입학 자격시험 `바칼로레아` 철학문제
[18]
김치찌개
7341
12/01/30
7341
0
34985
[일반] 사법부와 검찰 이런식으로 하면 어떨까요?
[47]
스타핏
4282
12/01/30
4282
0
34984
[일반] 오늘 호주오픈 결승! 조코비치VS나달(스포주의!!)
[31]
In the end
4341
12/01/30
4341
0
34983
[일반] [TV 프로 소개] KIMCHI CHRONICLES
[30]
ranmov
3586
12/01/30
3586
0
34982
[일반] 박원순 시장이 전두환 사저 경호동 폐쇄를 검토하겠다고 합니다.
[72]
아우구스투스
7285
12/01/30
7285
1
34981
[일반] 크 팝 스타 (오늘자) 보고 주저리..주저리
[28]
다음세기
4682
12/01/29
4682
0
34980
[일반] 여러분들이 주로가는 사이트는 어디인가요??
[49]
김치찌개
5558
12/01/29
5558
0
34979
[일반] [연예잡담]슈퍼스타K3의 크리스가 사고를 쳤네요;
[74]
Manchester United
9377
12/01/29
9377
0
34978
[일반] 홍대 리치몬드제과점이 이달 말일 폐점한다고 합니다.
[32]
The xian
8805
12/01/29
8805
0
34977
[일반] 자취를 시작 하려는 당신에게
[16]
윤아♡
6134
12/01/29
6134
0
34976
[일반] 고양이 구박하는 훈할머니.jpg
[12]
김치찌개
6046
12/01/29
6046
0
목록
이전
다음
3056
3057
3058
3059
3060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