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2/09 15:44:56
Name Onviewer
Subject [일반]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 (1)
`역사`란 도대체 무엇인지 곰곰이 생각해보았습니다. 왠 뜬금없이 `역사`가 무엇인지 논하냐 이러실 수 있겠지만, 미디어, 사회에 뿌리를 두고 관심 깊게 지켜본 저로서는 역사 역시 관심과 흥미의 대상입니다.

우리는 역사를 학교 정규과정 교육을 통해서, 혹은 시중에 나와있는 책들을 통해서, 혹은 선조가 남긴 유물들을 통해 학습해나갑니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역사를 배울 때 `비판적인 생각`이 잠시 정지된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경향도 일부 있습니다. 지금도 우리가 배우는 역사는 `승자의 역사`라며 `패자의 역사`까지 보듬어서 폭 넓게 봐야한다는 주장도 있고,  역사가 특정 집단에 의해 의도적으로 왜곡되어 진실로 대중에게 인식되는 경우가 있기에 우리는 `역사`를 무슨 잣대로 비판하고 평가할 것인가하는 의문이 남습니다.

사실 `역사`가 무엇인지 말해보라하면 난해하기 짝이 없어 회피하거나, 그저 옛날 역사교과서 배운 문장들로 얼버무려 대답할 수 밖에 없기도합니다. 역사가 무엇인지 3차원적 사고를 동원해 이야기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그저 과거와 현재의 매개체로서 `역사`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의문으로 부터 출발한 질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전에 한 방송사에서 거리에 나가 안중근 의사가 누구인지 일반 시민들에게 물어본 적이 있습니다. 방송사에서 의도적으로 편집했을 수도 있겠지만, 영상은 충격적이었습니다. 안중근과 안창호 의사를 구분하지 못하거나 안중근 의사가 누구인지 조차 모르는 사람마저 있었다는 겁니다. 그 사람들을 비판하고자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고찰이 그들에게 없기에 이런 비극이 생겼다고 봅니다.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게 되면 우리가 왜 `역사`를 배우는지 명확해 질수도 있을 듯합니다. 전국 고등학교에선 `국사`를 필수과목으로 지정, 가르치고 있고 종합 4년제 대학은 사학과를 두고 있습니다. 교육의 목적은 어떻게보면 헤아릴수 없을 정도로 많겠지만 그 중 일부는 `실용성`입니다. 역사만큼 실용성이 뛰어난 과목이 없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물론 현재 대한민국 역사 교육은 `실용성`에 거리가 먼, `주입식`으로 진행하고 있기는합니다. 제대로 된 역사교육이란 역사를 배울 때 그저 시험 점수 잘 맞추기 위해 선생님 말씀을 꽁무니처럼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비판적 의식과 사고로 받아들이는 걸 뜻합니다. 그러나 그런 교육이 진행되지 못해 `역사` 과목이 실용성이 뛰어남에도 `구식`처럼 취급되기도합니다. 그렇다면 왜 역사가 실용성이 뛰어난 것일까요.

우리가 누구인지의 의문 해결의 단서 역할을 합니다. 종종 `나는 누구이고, 나는 누구로부터 시작되었나`하는 고민을 해본적이 있을겁니다. 역사를 배우면 그 고민은 일정정도 해결이 됩니다. 진부할 수 있겠지만 `위기`에 처할 때 역사적 교훈을 살리면 회피할 수도 있다는 겁니다. 물론 회피의 성공여부는 본인의 행동에 달린 것이지만 역사의 어드바이스는 무시못한다고 봅니다. 역사의 `실용성`을 이제 대한민국 사회에서도 어느정도 인정해주는 분위기입니다. 한국사인증시험이 출범한 이래 몇몇 공기업과 대기업, 그리고 행정고시까지 합격과 승진을 하기 위해선 의무적으로 한국사 자격증을 따야합니다.

결과적으로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한가지는 `역사`가 그저 사건들만 나열한 집합체가 아닌 우리에게 실용적 도구로 쓰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케행열차
11/12/09 15:5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11/12/09 16:04
수정 아이콘
수학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역사와 달리
점점 인기가 없어지는... [m]
카서스
11/12/09 16:30
수정 아이콘
실용적 학문은 많죠.

개인적으로 가장 실용적인 학문은 국어와 수학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교육과정상의 문제로 망 (....)
내일은
11/12/09 16:51
수정 아이콘
역사라는 학문을 배우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로 봅니다. 글쓰신 분 의견대로 우리가 누구인지 정체성을 형성하는 부분과 "바보는 경험에서 배우고 현자는 역사에서 배운다"라는 말대로 삶과 사회의 교훈을 역사에서 얻으려는게 가장 직접적인 이유일겁니다. 거기에 더해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지금 사회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배움으로써 고정되어 있는 것은 없고 모든 것이 변한다는 것을 배우는 겁니다. 보수라는 사람들이 전통이라고 주장하는 것들이 사실은 얼마나 새로운 것인지를 밝혀내어 절대적인 진리를 부정하여 새로운 것으로 나아가는 기반을 만드는 겁니다. 역사학과 별도로 모든 사회과학에서 자체적으로 학사나 학설사를 배우는 것은 학문의 정체성을 세우는 동시에 어떤 학설도 진리일 수 없는 역사적 산물임을 배우고 새로운 경지로 나아가게 만드는 원동력으로 삼기 위해서입니다. [m]
11/12/09 21:51
수정 아이콘
역사는 인간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방면에서 인간이 남겨온 족적들을 탐구함으로써,
결국은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접근해가는거죠. 다른 인문학이 그러하듯이요.

개인적으로 역사는 '실용성'과는 거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직 글의 일부만 쓰신거니까..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아야여오요우유으
11/12/09 22:20
수정 아이콘
학교 다닐 때 제일 싫어했던 과목이 국사였네요. 외우기식 역사공부는 진짜 아무런 가치도 없는 것 같습니다. 졸업하고 나서 지금 제가 가장 재미있어 하는 주제중 하나가 역사거든요. 저는 역사란 것이 대단할 것 없이 현재 우리가 나아가는 데 과거의 참고 자료 정도의 의미만으로 충분한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4116 [일반] 민사와 형사 구별하기 [40] 슬라이더6002 11/12/24 6002 10
34115 [일반] 가수 이승열씨를 소개합니다. [10] 후후하하하5322 11/12/24 5322 0
34113 [일반] 강용석의원의 인터뷰 [65] empier5863 11/12/24 5863 0
34112 [일반] DC존박갤러리에서 쓴 조공의 새역사 [48] 김치찌개11222 11/12/24 11222 0
34111 [일반] '내곡동 사저 청와대 대통령 직접 지시' 라는 기사가 있어서 가져와 봤습니다.. [13] 절대 그러실 분이5181 11/12/24 5181 0
34110 [일반] 소녀시대 일본1집 리패키지에 유일한 신곡 「Time Machine」 [4] 한번가보자4525 11/12/24 4525 0
34109 [일반] 2011 연말 방송3사 시상식 일정 [56] 짱구™6034 11/12/24 6034 0
34108 [일반] 즐거운 주말은 아머게임즈와 함께 하세요. [24] 유치리이순규7836 11/12/24 7836 0
34107 [일반] MLB의 악동들 [3] 김치찌개3155 11/12/24 3155 0
34106 [일반] 2011 뮤직뱅크 연말결산 순위(부제-또 콩아라) [39] 타나토노트5996 11/12/24 5996 1
34105 [일반] 2001년 오픈베타 게임들.. 그때가 기억나십니까? [51] 김치찌개6127 11/12/23 6127 0
34104 [일반] 오늘 위대한 탄생 보셨나요? [32] 내가젤나가5581 11/12/23 5581 0
34103 [일반] [예능] 1vs5vs5 대결의 승자 1, <무한도전> 통계 겸한 나름 정리 [44] 슬러거9763 11/12/23 9763 7
34102 [일반] 와우~ 불후의명곡2도 새라인업을 선보입니다!!! [21] blackforyou5867 11/12/23 5867 0
34100 [일반] 뿌나 총평 (정치극으로서) + 엔딩의 문제 - 투사는 필요 없었다 [25] 눈시BBver.26812 11/12/23 6812 2
34098 [일반] PGR 회원 한정 포교 이벤트 - 명단 취합 및 정정(25일 정오까지) [30] The xian11424 11/12/23 11424 0
34096 [일반] 선관위 DDOS관련해서 배후 인물로 특정 인물이 거론되고 있더군요. [33] 하루빨리7554 11/12/23 7554 0
34095 [일반] 또 다른 규제 [33] 시경3654 11/12/23 3654 0
34094 [일반] 한국 교육이 "경쟁"을 유발시키는 원인과 앞으로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34] 로렌스4028 11/12/23 4028 0
34093 [일반] 슈내6을 보기 시작했습니다. [18] 다음세기4185 11/12/23 4185 0
34092 [일반] SM의 새 보이그룹의 티저와 티아라&다비치의 뮤직비디오가 공개되었습니다. [14] 효연짱팬세우실5519 11/12/23 5519 0
34091 [일반] 나가수 새로운 가수 루머!!! (스포) [72] Charles8572 11/12/23 8572 0
34090 [일반] 주병진 토크 콘서트 [31] 김치찌개6047 11/12/23 604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홈페이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