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2/05 04:15:23
Name 바닥인생
Subject [일반] TED, TEDx에 대해서 아시나요? (부제:TED,TEDx를 소개합니다.)
아래 TED Talk가 올라와서 무거운 글쓰기 버튼을 누르네요
글을 잘 쓰는 편은 아니지만 밤샘작업 하면서 졸린 눈을 비비면서 글을 한 번 써볼게요

요즘 들어서 TED를 알고 있는 분들은 많을 겁니다.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설명해 드리자면
TED는 1984년 ‘퍼뜨릴만한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Ideas worth spreading)‘을 기치로 내세우는 미국의 비영리 재단입니다.
(초기에는 T(Technology), E(Entertaintment), D(Design)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서 여는 연례 컨퍼런스 이었죠)

TED,TEDx를 소개하는데 글보다는 영상이 더 효과적일 것 같아서 영상링크를 적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v=XXo_0wKdjV0
(TED를 만든 '크리스 앤더슨'의 소개영상 입니다)

http://www.ted.com에 보면 전 세계의 많은 사람의 생각을 담아놓은 TED Talk가 많습니다.
분야도 다양하고 거기에 한국어 자막도 제공되니 시간이 날 때마다 하나씩 보면 좋을 것 같네요

이런 18분 이내에 자신의 생각을 전하는 이벤트를 일반인들도 TED스러운 경험(TED-like)을 하고 싶어서
만들어 진 것이 TEDx죠.
한국에서도 TEDxMyungdong을 시작으로 많은 TEDx Event가 열리고 있습니다.
작년 겨울방학에 무료한 생활을 하다가 TED,TEDx를 우연히 접하게 되어서 현재까지 힘들게 이벤트 2번까지 했네요.
(저는 대학생이라서 대학교 라이센스를 받아서 이벤트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우연히 접하였지만 지금의 저에게 TED,TEDx는 정말 소중한 존재가 되었습니다.
다양한 사람을 만나게 되었고 소중한 경험을 하게되어서 정말 애증의 존재가 되어버렸네요 :)

마지막으로 제가 제일 좋아하는 TED Talk 두 개를 추천해 봅니다.
하나는 작가로 유명한 알랭드 보통 그리고 하나는 요리사로 유명한 제이미 울리버의 미국 비만에 대한 강연입니다.
(처음 접하신다면 제이미 울리버를 더 추천하고 싶네요)

제이미 울리버 :http://www.ted.com/talks/lang/ko/jamie_oliver.html
알랭드 보통 : http://www.ted.com/talks/lang/ko/alain_de_botton_a_kinder_gentler_philosophy_of_success.html

p.s-혹시 피지알러 여러분들 중에서 TEDx오거나이저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TEDx에 대해서 궁금하신 부분있다면 답글 남겨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2/05 05:30
수정 아이콘
알랭드보통은 참 혁신적이네요..
Observer_
11/12/05 06:09
수정 아이콘
PGRer분들이라면 그 누구였죠? WoW를 통해서 세상을 바꿀수 있다는 논조로 나온 영상이 상당히 유명할 겁니다.
개인적으로 모건 스펄록(슈퍼사이즈 미 감독이었던...)의 영상을 무척 재밌게 봤었습니다. 그가 만들어가는 영화의 메이킹 필름은 물론이거니와 화법이라든지 프레젠테이션이 참 뭐랄까, 어깨에 힘을 빼고 드립을 섞어가면서 하고픈 말을 풀어가는 모습이 재미있더군요.
TED안에서 볼 영상이 너무 많아서 볼 엄두가 안나긴 하지만 충분히 유익하고 할 수 있다면 적극 참여하고싶습니다 :)
JavaBean
11/12/05 08:04
수정 아이콘
아나.. 두어달 전에 본사에 알렝드 보통 강연을 들으러 갈 기회가 있었는데..
바빠서.... 그분 얼굴도 못봤..... 아나.....
작은마음
11/12/05 08:44
수정 아이콘
전 운동을 시작하는 방법이라는 영상으로 TED를 처음 접했었는데
리더쉽에 대한 다른 시각으로 설명하는 충격을 주었죠
여러가지 볼만한 영상이 많습니다만
너무나 많은 TED 중
자신에게 괜찮은걸 찾기가 좀 어렵다는 느낌이 있더군요
(그냥 제 귀차니즘일수도 ;;;;)
스타카토
11/12/05 09:17
수정 아이콘
저에게있어서 아침을 시작하는 마음의 양식이죠...
TED를 아시는 분들이 점점 많아져서 너무나도 좋아요~~
개인적으로는 아카펠라를 좋아하다보니 에릭 휘태커의 가상합창단은 저에게 최고의 감동을 안겨주었고
지금은 다음 가상합창단이 나오길 기다리며 녹음을 하기위한 마이크에 음향장비를 구입했습니다..
덕분에 마눌님에겐...TED급 잔소리강좌를....크크크
혹시 음악을 좋아하신다면 추천해드립니다.
http://www.ted.com/talks/lang/en/eric_whitacre_a_virtual_choir_2_000_voices_strong.html
11/12/05 09:39
수정 아이콘
스마트폰 어플 로도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마켓에서 검색해보시길.. [m]
또다른나
11/12/05 09:52
수정 아이콘
저는 제일 처음 본게 제이미올리버의 비만에대한 강연이었는데 좋은강의중에 하나였나보군요. 이 강연을 추천해주시는분들이 꽤 많더라구요.

TED를 보게된 이유가 영어공부좀해볼까해서 봤었는데 무자막으로보면 내용파악이 제대로안되서 머리아프고 그래서 좋은강연내용도 머리에 안들어와서 요즘엔 그냥 자막깔아놓고 보네요 -_-;;
11/12/05 13:46
수정 아이콘
매일 TED 1개, 지식채널 e 1개 보면 삶이 좀 더 즐겁고, 풍성해질 거 같아요...
라울리스타
11/12/05 22:09
수정 아이콘
반갑습니다!!!

저도 다니고 있는 대학교에서 TEDx Organizer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저도 여름방학때 무료한 방학생활이 못 이겨 Organizer로 시작했고 이번 10월에 행사를 개최했었습니다. 제 손으로 무언가를 준비하고, 또 좋은 강연을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정말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해요.

TED의 가장 큰 장점은 뭐랄까요...'강의'가 아닌 '강연'이라는 점인 것 같습니다. 누구나 다 뜻있는 생각이라면 연사가 되어서 자유롭게 생각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생각해요. Organizer로 활동하면서, 바쁘다는 핑계고 TED Talk 많이 보지도 못했는데, 다시한번 하루에 하나씩이라도 봐야겠네요. 하루에 18분만 투자하면 되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3970 [일반] .. [21] 삭제됨4413 11/12/19 4413 0
33969 [일반] 김정일 사망과 관련해 야권에게 바라는것 [174] empier6135 11/12/19 6135 2
33968 [일반] 천영우 외교통상부 차관의 중국-북한 관계에 대한 견해 (위키리크스 발췌) [14] 凡人5369 11/12/19 5369 0
33967 [일반] 김정일 사망 이후의 남북상황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0] 아나키5851 11/12/19 5851 1
33966 [일반] 김정일 국방위원장, 2012년 12월 17일 열차에서 과로로 사망 [71] 제이나6006 11/12/19 6006 0
33965 [일반] 신년 계획을 세워볼까 합니다. [7] 로렌스2794 11/12/19 2794 0
33963 [일반] 12시에 북한이 중대발표=김정일이 죽었습니다.! [301] 개평3냥11655 11/12/19 11655 1
33962 [일반] 주간 <스포츠 뉴스> 모음입니다.. [13] k`4876 11/12/19 4876 1
33961 [일반] 뜨뜻한 방 안에 엉덩이를 지졌다. [6] nickyo3784 11/12/19 3784 0
33960 [일반] 제주 세계경관투표도 결국엔 국제사기인 증거가 드러나고있네요... [16] empier5408 11/12/19 5408 0
33959 [일반] 지식채널e - 벌금인생 [5] 김치찌개4450 11/12/19 4450 1
33958 [일반] 세계 보도 사진전 퓰리처 수상작들 [2] 김치찌개3846 11/12/19 3846 0
33957 [일반] [종편관련] 일본인도 편가를 기세 [82] 타나토노트7627 11/12/19 7627 0
33883 [일반] [공지] PgR 게시판 운영진 모집 안내(OrBef님 은퇴). [69] Timeless7319 11/12/13 7319 0
33955 [일반] 본진은 PGR, 그렇다면 멀티는? 자주 가는 사이트 공유해봐요! [85] 이노리노8710 11/12/18 8710 0
33954 [일반] 오늘의 나는가수다를 어떻게들 보셨나요?(스포유의) [65] 7832 11/12/18 7832 0
33953 [일반] 매력적인 남자보컬&찰랑거리는기타 [10] 뜨거운눈물5446 11/12/18 5446 0
33952 [일반] 음악이 영화의 흥행 여부를 결정한다 [50] Onviewer5536 11/12/18 5536 0
33949 [일반] 철강왕 박태준의 일화 [219] PokerFace12925 11/12/18 12925 8
33948 [일반] 고려의 숨겨진 명군 [8] PokerFace8126 11/12/18 8126 1
33947 [일반] 오릭스의 에이스 가네코 이대호 연봉관련 오릭스 구단을 비난하다. (수정완료) [32] bins8066 11/12/18 8066 0
33946 [일반] 유게에 올라온 서양마술팀의 트릭을 파헤쳐봅시다. (수정완료) [11] 북극봄4629 11/12/18 4629 0
33945 [일반] 어른 공경 [23] 로렌스4305 11/12/18 4305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