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0/20 11:48:11
Name Alan_Baxter
Subject [일반] 과연 갤럭시S2 보다 갤럭시S2 HD LTE 성능이 더 좋을까?
각 회사간의 스마트 폰의 대결이 LTE의 등장으로 더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삼성전자, LG전자, 팬텍 등의 회사가 LTE폰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아이폰 3GS의 약정도 끝나갔겠다, 새로 나온 4G LTE폰에 눈독 들이고 계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특히 그 중 삼성전자 폰을 생각하시는 분들은 6개월 전에 나온 S2 보다 4.7인치에 HD 슈퍼 아몰레드, 1.5 듀얼을 탑재한 S2 HD LTE를 노리는 분들이 많은데 과연 단순하게 6개월이 지난 폰이 더 좋을까요? 한번 두폰을 비교하는 차원에서 글을 써봅니다.



1. CPU

단편적으로 살펴보면 S2 HD LTE에는 1.5 듀얼코어가 들어있고, S2에는 1.2 듀얼코어가 탑재되어 있어서 S2 HD LTE의 CPU가 낫다고 볼 수 있지만 S2 HD LTE에는 퀄컴에서 만든 스냅드래곤 3세대 MSM8660의 CPU가 탑재되어 있고, S2에는 삼성전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한 엑시노스 4210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두가지의 CPU를 벤치마크로 돌려보면 엑시노스 1.2 듀얼은 8485점을, 스냅드래곤 1.5 듀얼은 7909점을 받았습니다.(http://incognito67.blog.me/130108404990) Cortex-A9 코어를 채택한 엑시노스와는 달리, 퀄컴 스냅드래곤은 Cortex-A8에 근접한 스콜피온 코어를 사용했기 때문인데요. 그럼 왜 S2의 CPU 성능 자체가 더 나음에도 불구하고 S2의 출시 6개월이나 지난 시점에서 더 안좋은 성능의 스냅드래곤을 사용하게 되었을까요? 그 비밀은 바로 LTE에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그럼에도 퀄컴 칩셋을 사용한 이유는 3칩에서 2칩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 타사의 AP를 사용하면 삼성 LTE 칩셋을 포함한 대부분의 LTE 베이스밴드로는 voice 지원이 되지 않기 때문에 따로 voice BP를 달아줘야 하지만, 퀄컴 스냅드래곤을 쓰면 MSM/APQ + MDM9600으로만 voice/data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엑시노스에 비해 약간의 성능 손해를 보고 대신 두께, PCB, 전력소모 그리고 원가 등의 여러 이점을 택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 함영민의 디카갤러리 (http://dicagallery.com/140141417972)


쉽게 말씀드리자면, LTE 지원이 용이하냐에 관한 여부입니다. 참고로 MSM8660에는 3G가 포함되어 있고, LTE 변환 기능만 있기 때문에 따로 MDM9600이라는 것을 붙였습니다. 한마디로 LTE 하나를 위해 삼성의 자존심이라는 최강의 성능을 포기했다고 할 수 있는데 LTE가 그렇게 중요한 것일까요?

2. LTE

LTE는 4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현재 3G HSPA 기술보다 5배나 빠른 기술입니다. 광고에서 나오시피 "입대를 하자마자 제대를 하는 그런 속도" 라는 이야기는 LTE 기술이 얼마나 빠른지 보여줍니다. 여기까지는 삼성전자가 LTE를 위해 성능을 포기할만 합니다. 하지만 요금제와 주는 데이터를 보면 오히려 3G 보다 퇴보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SKT    LG유플
LTE 34    0.35     0.5
LTE 42    0.7      1
=======================
LTE 52    1.2      1.5
=======================
LTE 62    3        4
LTE 72    5        6
LTE 85    7        8
LTE 100   10       11

지금 3G 폰 기준으로 보통 많은 분들이 쓰는 요금제는 55요금제인데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주는 요금제입니다. 그에 비해 LTE 요금제는 52 요금제 기준으로 고작 1.2기가~1.5기가만 줍니다. 영화를 다운 받는데 불과 몇십초만 있으면 된다는 말은 반만 맞다고 할 수 있다는 소리입니다. 게다가, SK텔레콤은 현재 서울에서만 LTE망을 구축했고, 2012년에는 전국 23개시에만, 2013년이 되어서야 그것도 전국 82개 시에 LTE망을 구축할 예정으로 지금 SK LTE 폰을 쓰는건 시기상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LG 유플러스는 LTE에 회사 명운을 걸 정도로 올인하고 있는 실정이라 2011년 12월이 되면 82개시에 LTE망을 구축하고 2012년 6월이 되면 세계 최초 전국망을 깐다고 자랑하지만, 높게 쳐봐야 2.5G 수준의 지옥같은 3G을 선보인 LG 유플러스를 다시한번 신뢰할 수 있을까요? 게다가 신뢰할 수 있다고 치더라도 SK텔레콤의 주장에 의하면 서울에만 8300개의 LTE망을 촘촘하게 꾸렸지만 LG 유플러스는 널널하게 꾸렸다고 하네요.

이렇든 저렇든, LTE폰을 지금 산다는 건 시기 상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디스플레이

S2의 디스플레이는 슈퍼 아몰레드 플러스, S2 HD LTE의 디스플레이는 HD 슈퍼 아몰레드입니다. S2 HD LTE의 슈퍼 아몰레드 플러스는 유일한 문제점으로 레티나 대비 낮은 화소수와 선명도라고 할 수 있는데, HD 슈퍼 아몰레드는 1280x720의 HD 해상도에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로는 처음 300ppi가 넘는 316ppi를 구현하여 선명도와 가독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술상의 문제점으로 펜타일 구조를 다시 부활 시켰는데 이는 큰 문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S2에 탑재한 슈퍼 아몰레드 플러스의 특징이라고 하면 바로 펜타일 구조를 없앴다는 점입니다. 펜타일 방식은 보통 R+G+B 3개 픽셀 구조를, R+G, G+B 2개 픽셀로 색상 조합해서 만드는데, 가까이에서 보면 구멍이 뚫려보이고, 동영상 재생시 G 색상이 너무 강조되어 나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런 펜타일 구조를 다시한번 부활 시켰다는 이야기인데, 과연 HD 슈퍼 아몰레드가 더 좋은걸까요?



물론 선택은 폰을 구입하는 소비자의 몫이지만, 이런 정보를 아무 언론에서도 제공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큰 문제가 있습니다. 아무튼, 2년간 쓰는 휴대전화 선택에서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허위 사실, 틀린 사실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 From m.oolzo.co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0/20 11:50
수정 아이콘
갤럭시 노트도 왜 슈파아몰래드 플러스가아닌 슈퍼아모레드로 나오는지 ㅜㅜ
jagddoga
11/10/20 12:02
수정 아이콘
근데 실제로 보신 분들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는 펜타일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뛰어나다고 하네요.
루크레티아
11/10/20 12:09
수정 아이콘
아무리 휙휙 넘어가는 휴대폰 시장이라고는 하지만 처음 샀고, 산 지 이제 겨우 4달째인 스마트폰인데 제발 갤2 선방 좀 했으면 좋겠어요..
하도 버림 받았다는 휴대폰들이 많다보니 이건 뭐...;;
래토닝
11/10/20 12:19
수정 아이콘
깔끔한 정리네요 ㅡ 잘 읽었습니다

52요금제 데이타량 1기가로 누구 코에 붙이라는지 모르겠네요

느린 쓰리지 무제한이 차라리 훨씬 낫습니다

그리고 지금 사면 베타테스터밖에 안되죠
11/10/20 12:25
수정 아이콘
요금제는 문제점이 정말 심각하죠.. 5배 속도를 주고 용량은 그대로 제한해놨으면
실 사용 시간은 1/5로 줄어든다는 소리인데..

광고를 때릴때 실시간으로 고화질 영상을 감상할수 있다! 하면서 용량은 그대로 주면 영상 감상'은' 할수 있다! 돈은 너네들이 더내라! 라는 소리인가요..

추가로 디스플레이에 대한 의견입니다.
250ppi만 넘어도 펜타일 구조가 눈에 안보일정도인데 300ppi를 넘긴 갤S2 HD LTE가 펜타일 구조로 인한 가독성 저하가 문제가 있을거란 생각은 잘 안드네요.
권진관
11/10/20 12:31
수정 아이콘
디스플레이 기술에 관심이 가서 펜스타일 방식에 대해 찾아 봤습니다.
http://blog.daum.net/yuisense/2
이 글에서의 결론은 픽셀을 디스플레이상 도트로는 표현 하지 못하지만, 300DPI이상이 되면 별 차이가 없을 것 같이도 보이고요.
실제 제품이 어떻게 나올지 기대됩니다.
11/10/20 12:49
수정 아이콘
3. 디스플레이 관련은... S2보다 HD가 더 낫습니다. 펜타일이라고 해도... 50% 높은 해상도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HD부터 적용되었는지 모르지만, 약간 과장되게 색감을 보다 자연스럽게 해주는 필터가 앞으로 아몰레드 디스플레이에 적용된다고 합니다.
11/10/20 12:50
수정 아이콘
스냅드래곤 이외에는 아마 쓰기 힘들어서 그랬을 것입니다. 다른건 몰라도 최근의 lte모델은 전부 스냅드래곤 칩이 들어가있으니까요;
LTE자체의 효용성에 대해서는 저도 ? 입니다만. 뭐 그 외에는 딱히 방법이 없는게 갤럭시S2가 하이앤드 모델이라 거기서 더 +해서 내놓기는
아무래도 삼성에서 크게 부담이 있는것이 아닌가 싶더군요. (더욱이 넥서스 프라임->넥서스 갤럭시, 갤럭시 노트가 있는 상황이라서)
느낌상은 갤럭시LTE만 내놓으면 심심하니... 라는 느낌도 살짝 듭니다만:)
지금 스마트폰을 바꾸실 분이라면 몰라도 굳이 성능상의 우위때문에 바꿀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거기다 ICS도 곧 풀릴테고;
11/10/20 13:01
수정 아이콘
갤럭시S2는 아직도 삼성의 플래그쉽 모델입니다.
나머지 모델들은 그저 옆그레이드 모델이죠.
LTE는 통신사에서 요구하니까 만들어준 걸로 보입니다.

3G보다 LTE 요금제가 더 뜯어먹기 편한 요금제로 보입니다.
갤노트도 외국은 3g 모델로 나오지만 국내는 LTE 모델로 나온다는 군요.
게다가 현재 LTE모델은 LTE 요금제 밖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
아직 전국망도 확충안된 주제에 말이죠.

고객(통신사)의 요구를 들어서 LTE폰을 내는데
갤스2 출시 몇개월이나 지나서 LTE칩만 바꾸고 내는 것 보다 이미 갤럭시 넥서스나 갤노트 개발 중에 확보된 기술인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 안드로이드에서 고해상도가 표준이 될테니까요.


펜타일 가독성 문제는 봐야 알겠지만 갤1 만큼 나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장점은 안되더라도 단점은 안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제랄드
11/10/20 13:04
수정 아이콘
피처폰(햅틱2) 쓰다가 갤S2 LTE 쓰고 있습니다.
와이프님도 제가 구입하고 1주일 후에 옴레기2에서 역시 같은 걸로 갈아탔구요. (둘 다 SK)

확실히 요금제는 문제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윗분들이 지적한 바와 같이 '마음껏' 쓰지 못합니다.
게다가 제가 이동 중에 인터넷이나 카톡을 하려고 보면, LTE를 잡았다가 3G를 잡았다가 가끔 왔다갔다 합니다.
기껏해야 몇 메가짜리 어플을 다운 받던 중 이렇게 회선이 왔다갔다할 경우 시간이 좀 더 많이 걸립니다. (물론 경미한 정도)

회사 업무상 필요라든지, 동영상 컨텐츠 등을 즐겨 이용하시는 분들 등 몇몇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스맛폰 구입 예정이신 분들께는 아직까진 3G를 권하고 싶네요.
(특히 서비스 지역이 아닌 곳에서 사시는 분들의 경우 더더욱)

... 다만 전 위와 같은 일이 어느 정도 있을 것을 예상하고 샀기 때문에 후회는 안 합니다.
나오기 전까지 이것저것 많이 비교도 해 봤고요.
그 결과, 제 생활 패턴상 서울 밖에서 이걸로 뭔가 검색하거나 다운 받을 일이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기에
지적하신 지역 제한 같은 것 역시 전혀 신경 쓰지 않았습니다.

제가 LTE 나온 날, 허겁지겁 수소문해서 간신히 이걸 택한 이유는 딱 하나, '간지' 죠 -_-;

* 뱀다리
지금까지가 잡스가 주장한 '감성의 시대'였다면
요즘은 '스펙이 곧 간지'의 시대로 넘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저 혼자 그렇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_-
11/10/20 13:09
수정 아이콘
지나가는 행인입니다만...-_-;
한국에 아이폰4s출시가 없는데 이거 영영 안나올가능성도 있나요?
11/10/20 14:18
수정 아이콘
그리고 LG 유플러스는 LTE에 회사 명운을 걸 정도로 올인하고 있는 실정이라 2011년 12월이 되면 82개시에 LTE망을 구축하고 2012년 6월이 되면 세계 최초 전국망을 깐다고 자랑하지만, 높게 쳐봐야 2.5G 수준의 지옥같은 3G을 선보인 LG 유플러스를 다시한번 신뢰할 수 있을까요? 게다가 신뢰할 수 있다고 치더라도 SK텔레콤의 주장에 의하면 서울에만 8300개의 LTE망을 촘촘하게 꾸렸지만 LG 유플러스는 널널하게 꾸렸다고 하네요.

---> 요건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단순 숫자 비교로는 힘듭니다. skt는 기존 2g광중계를 활용한곳 5000곳을 포함하여 8300곳이고 실제 기지국 개수는 유플이 많다고 합니다. 유플은 4g를 위한 기지국과 여러 장비들로만 6000여개를 포함해서 전체설비는 8000곳이라고 합니다.^^
현재 테스트중이라 정보를 들은바있어 말씀드립니다. 사실 전 유플을 기대하고 있어서 팔이 좀 안으로 굽는 댓글같네요^^
폭풍의귀환
11/10/20 17:34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있는데 LTE 폰으로 와이파이존에서 인터넷 다운을 받으면 기존 와이파이 속도로 받나요 아님 LTE 속도로 받나요??
아마 와이파이 속도가 나오겠죠?? 그렇다면 진짜 LTE는 뭐에 쓸모가 있는건가요..그냥 웹서핑이야 S2나 LTE나 비슷할테고..동영상 로드는
좀 빠르기야 하겠네요..
11/10/20 17:52
수정 아이콘
갤노트가 LTE 전용으로만 나온다는데에 GG 쳤습니다. 그냥 갤럭시 넥서스나 바라 봐야겠군요..라고 했더니 또 CPU가 발목잡네요.. 외국서 3G 갤노트 사서 들어오고 싶네요.
11/10/20 20:17
수정 아이콘
skt 무제한 요금제 사용자 평균 데이터 사용량이 1.1GB 라는걸 생각하면 lte 요금제가 그리 불합리한건 아닙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826 [일반]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 (1) - 언문이 비하일까? [26] 눈시BBver.212953 11/11/04 12953 0
32824 [일반] 밤에 듣는 우울한 랩.... [13] BlueSKY--5672 11/11/04 5672 0
32823 [일반] 90년대부터 2000년초반까지 추억의 외화들... [28] 김치찌개9096 11/11/04 9096 0
32822 [일반] 나이가 있으신 어르신들과의 정치대화. [48] 흰코뿔소7312 11/11/04 7312 1
32821 [일반] 진보는 무조건 옳은 것이고 보수는 무조건 나쁜것이다(?) [65] 노란곰돌이푸4801 11/11/04 4801 0
32820 [일반] [음악] 한국의 스티비 원더, 김건모 씨를 소개합니다.. [11] k`5764 11/11/03 5764 0
32819 [일반] 아니 돈 다 낸 기기를 반납하라고? [34] 기도씨8386 11/11/03 8386 0
32818 [일반] [TV프로그램 추천] 2. 당신이 가보지 못한 세계 <걸어서 세계속으로> [7] 삭제됨3064 11/11/03 3064 0
32817 [일반] 수험생 대학생 분들 취직 준비하시는 분들 꼭 보시길 [10] 김치찌개5913 11/11/03 5913 0
32816 [일반] 세계 축구선수 최고 10인을 꼽으라면??? [264] PokerFace12016 11/11/03 12016 0
32814 [일반] [야구] 손민한선수가 자유계약선수로 공시되었습니다. [24] giants4936 11/11/03 4936 0
32813 [일반] 비겁한 논리 [95] PokerFace5554 11/11/03 5554 1
32812 [일반] 비속어 수위 토론을 보다 떠오른 생각 [5] 눈시BBver.25242 11/11/03 5242 0
32811 [일반] PGR21은 PGR21만의 정체성, 자부심을 지켰으면 좋겠습니다. [37] Alan_Baxter5298 11/11/03 5298 0
32810 [일반] [서울시 민원] 아이팟 사용자들도 지하철에서 인터넷 쓸 수 있게 해주세요. [42] DJLORD5473 11/11/03 5473 1
32808 [일반] sbs 짝에 출연하게 되었습니다. [71] spankyou9113 11/11/03 9113 0
32807 [일반] 참여정부의 FTA가 어떤면에서 이명박 정부와 다른가요? [91] 은하수군단6190 11/11/03 6190 0
32805 [일반] 후보 단일화와 앞으로의 향방 ... [야구 mvp] [90] 눈시BBver.26192 11/11/03 6192 1
32803 [일반] 다단계 피해 예방 혹은 ‘Anti’를 위한 글(+링크 모음) 本(본) 편 : 초대Ⅲ [8] 르웰린견습생9167 11/11/03 9167 6
32802 [일반] ETF 알고 지내기 1 [3] 임요환의DVD4342 11/11/03 4342 1
32801 [일반] 윤봉길의사 [3] 김치찌개3280 11/11/03 3280 0
32800 [일반] 한나라당과 검찰, 조중동은 반드시 사라져야 할 존재로 보십니까? [159] RPG Launcher6456 11/11/03 6456 0
32799 [일반] LG 전자 스마트폰 폭발 사건 (아 !! 이래서 헬쥐라고 하는군요!!) [49] SNIPER-SOUND8545 11/11/03 854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