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9/30 18:31:03
Name 거북거북
Subject [일반] 블랙스완 인턴 임금 체불 집단 소송
한국의 기사 "영화 '블랙스완' 인턴들, 임금체불 집단소송"
http://www.yonhapnews.co.kr/entertainment/2011/09/30/1103000000AKR20110930164500009.HTML

미국의 기사 "Interns, Unpaid by a Studio, File Suit"
http://www.nytimes.com/2011/09/29/business/interns-file-suit-against-black-swan-producer.html?_r=1

한국 기사도 정확히 상황을 파악하고 읽으면 앞뒤를 이해할 수 있기는 하지만
타이틀만 봐서는 원래 임급을 주려고 뽑은 인턴들에게 돈을 안 주고 있는 것처럼 읽힐 수 있게 쓰여져 있는 것 같고
저는 지난번 다른 분의 글 (어느 글인지 모르겠는데) 에 남겼던 댓글에서도 일관되게
우리나라에는 상대적으로 약자인 무급인턴들을 보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부족하다는 이야기를 썼었기 때문에 기사를 올려봅니다.


핵심 내용은 아래의 한글 기사 중 인턴사원을 원문에 있는 것처럼 unpaid intern (무급인턴) 으로 바꿔 읽으시면 되겠습니다.
-------------------------------------------------------------------------------------------------------------------------------------
원고들은 인턴사원 형식으로 채용해 보수도 주지 않고 촬영장 일을 시키는 것이 할리우드의 관행이라고 지적한 뒤, 폭스 서치라이트가 미 연방 근로기준법과 뉴욕 주(州) 노동법을 위반했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미 노동부는 '수습 직원(trainee)'과 '피고용인(employee)'을 구분하는 기준을 정립, 고용자가 피고용인이 아닌 수습 직원으로부터 업무상의 이익을 취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보수를 지급하지 않은 인턴사원에게 정직원의 업무를 요구한 폭스 서치라이트는 법을 위반했으며, 체불임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것이 풋맨 등 원고의 주장이다. 이들은 폭스 서치라이트가 무보수 인턴사원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생산비를 줄일 수 있었다고 꼬집었다.
-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entertainment/2011/09/30/1103000000AKR20110930164500009.HTML
-------------------------------------------------------------------------------------------------------------------------------------


무급 인턴에게는 정직원의 업무를 시킬 수 없는 등의 제도적 장치가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소송은, 사실상 정직원의 업무를 무급인턴에게 강요했고 (그것이 그 바닥의 관행이라 할지라도)
그 과정에서 무급인턴들이 노동에 대한 합당한 댓가를 받지 못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지난번 달았던 댓글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국제기구의 무급인턴은 여러가지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visa 문제나 더 많은 경쟁 (돈이 목적이 된) 등이 일어날 수 있는 것 같고,
http://invisiblecollege.weblog.leidenuniv.nl/2008/02/22/why-the-internship-at-un-headquarters-sh

실제로 무급 인턴이 점점 마켓 시장에서 이력서에 쓰기 위한 중요한 스펙이 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며
"Unpaid Work, but They Pay for Privilege"
http://www.nytimes.com/2009/08/09/business/09intern.html

이러한 현상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The Unpaid Intern, Legal or Not"
http://www.nytimes.com/2010/04/03/business/03intern.html

실제로 미국의 노동법은 무급 인턴이 악용되지 않도록 확실한 제도적 장치를 갖고 있습니다. 참고 링크는 아래에 있구요.
http://laborlaw.typepad.com/labor_and_employment_law_/2007/11/unpaid-internsh.html
The U.S. Department of Labor has outlined a list of criteria that ALL must be met in order for an internship to be unpaid.
(중략)
- The training is for the benefit of the trainee;
- The trainees do not displace regular employees, but work under close observation;
- The employer that provides the training derives no immediate advantage from the activities of the trainees and on occasion the employer’s operations may actually be impeded;
(후략)

그렇기 때문에 지금 무급인턴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분들의 의견은, 현재 우리나라에는 저러한 제도적인 장치가 부실하고 사실상의 양측의 선의에 기대고 있는 면이 있는 만큼 (1. 무급 인턴인지 알았고, 2. 하는 사람도 동의하고 있었으며 3. 자원봉사의 차원에서 한 것이다는 연장선의) 설령 양측이 동의했다고 해도 노동에 대한 댓가를 정당하게 지불받지 못하는 시스템은 아닌가? 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


비록 외국에서 일어난 사건이지만 이를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무급인턴이라는 표현이 좀 더 조심스럽게 사용되었으면 좋겠고,
상대적으로 약자인 노동자, 그것도 이제 막 마켓 시장에 들어가는 대학생들이
합당한 노동의 댓가를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만드는데 많은 분들이 관심을 기울여주시면 하는 마음에서 글을 남깁니다.


# 제가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 (__)
# 특히 무급인턴 관련 국내법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분이 계시면 댓글 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거북거북
11/09/30 20:21
수정 아이콘
무플 방지 위원회에서 직접 나왔습니다 [...]
tannenbaum
11/09/30 22:43
수정 아이콘
무급인턴제는 한국실정에 맞지 않으므로 도입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국내에서는 국회, 대사관, 사회시민단체, 독립영화제작소 등 일부특정 조직에서 인턴사원제가 이루어지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또 최근에 박원순변호사의 희망제작소가 다소 이슈가 되기도 했습니다.

인턴이란 '실습, 교육' 등과 같은 업무능력 습득과정이라고 보는 입장인지라 무급인턴이란 존재해서는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한국기업문화를 감안했을때 악용될여지가 100%라고 보기 때문입니다.

무급인턴이란 봉사차원에서만 한정해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618 [일반] [EPL]EPL 심판 11명 이야기+테리의 인종차별 논란??? [21] 아우구스투스5827 11/10/26 5827 0
32617 [일반] [재보궐선거]투표 전날 보는 기초단체장 판세 및 상황 [10] the hive6579 11/10/25 6579 8
32616 [일반] 어느덧 소녀시대의 음악은 mp3p에서 잘 안 찾게 되네요 [76] PokerFace7312 11/10/25 7312 0
32615 [일반] 1961년 뉴욕 시가지 사진.jpg [22] 김치찌개6897 11/10/25 6897 1
32614 [일반] 축구를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pgr의 조기축구회원님들 모이십시오~) [19] 너부리7687 11/10/25 7687 0
32613 [일반] windows 8 사용기 [31] 6721 11/10/25 6721 2
32612 [일반] 백범 김구 선생님의 20살 [33] 포로리6361 11/10/25 6361 0
32611 [일반] 박찬호 선수의 국내복귀에 대해 [41] 장무기5187 11/10/25 5187 0
32610 [일반] 투표일이 몇시간 안남았네요. [53] DeMiaN4324 11/10/25 4324 0
32609 [일반] 어그로를 끌고 피드백이 없는 경우 가중 처벌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62] 눈시BBver.26797 11/10/25 6797 0
32608 [일반] 나후보 공약 때문에 한번 알아본 (노원구)재개발에 관련된 이야기... [64] lovehis5878 11/10/25 5878 0
32607 [일반] [K리그] 고등학교 기숙사보다 못한 대전 숙소... (대전평관추가) [32] 해피스마일6151 11/10/25 6151 0
32606 [일반] 할머니와 개 [5] 김치찌개3313 11/10/25 3313 0
32605 [일반] 내년부터 전국민 음란물 못보게 통신 차단시킨다 [102] threedragonmulti9705 11/10/25 9705 0
32604 [일반] 최대한 쉽게 써본 무선공유기 이야기 - (하) 무선공유기 설정 및 활용 [10] 마네48832 11/10/25 48832 2
32603 [일반] 돈 더준다고 출산을 더 할까요? [66] dfsefsfdfefs6653 11/10/25 6653 1
32545 [일반] [공지]닉네임 변경기간 26일까지 [215] Toby4712 11/10/23 4712 1
32602 [일반] 김여진씨... 이런 연예인도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네요. [100] 흰코뿔소14099 11/10/25 14099 0
32601 [일반] 재보궐 선거 최초, 공중파 3사 출구조사 진행/어떤 여론조사가 정확할까? [13] Alan_Baxter5385 11/10/25 5385 0
32600 [일반] '나는 가수다'에 한 시청자가 부여하는 의미, 그리고 슬픔 [66] Anyname6951 11/10/25 6951 0
32599 [일반] 주진우 기자가 진심으로 걱정됩니다. [107] 김익호9931 11/10/25 9931 0
32598 [일반] [전문] 박원순 후보가 서울시민에게 보내는 글 [86] 삭제됨6387 11/10/25 6387 1
32596 [일반] 최대한 쉽게 써본 무선공유기 이야기 - (상) 무선공유기의 선택 [26] 마네7736 11/10/25 7736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홈페이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