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09/23 20:47:58
Name 전장의안개
Subject [일반] 중성미자 스토리
**학부만 졸업해서 물리학에 대한 깊은 이해 따위는 없습니다. 또 시간이 없어서 대충보고 올립니다...양해양해..
양해 부탁드리고 더 깊이 아시는 입자이론 고수님들께서 바로 잡아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1. 중성미자가 먼가요? 먹는건가요?

오늘 빛보다 빠른 물질을 검출했다고 해서 하루종일 패닉과 흥분상태에 있었습니다.
배운 것은 없습니다만 오늘 실험에 대해 잠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오늘 실험의 주인공은 중성미자입니다. 영어로 뉴트리노라고 하는데 이 녀석을 보기 전에 잠시
다음 표를 보면


물질(페르미온)의 3세대라는 그림이 있습니다.

순서대로 보라색이 쿼크고 이들은 양성자 및 중성자 같은 핵자를 구성하는 입자입니다. (예: 양성자:uud  3개가 합친 겁니다)
초록색이 렙톤이고 빨간색이 힘을 매개하는 입자입니다.
쿼크와 렙톤을 기본입자라고 부릅니다.

통상 쿼크와 렙톤은 3세대에서 2세대를 거쳐 1세대로 붕괴하며 실험실을 제외한 거의 모든 우주에서는 1세대만 존재합니다.
3세대와 2세대는 붕괴시 짧은 시간만 존재합니다.

중성미자라는 녀석은 질량이 거의 없습니다.
전자나 다른 쿼크들이 MeV 이상의 질량을 갖는 반면 중성미자는 eV단위의 질량을 갖습니다. M은 메가 단위죠.
제일 질량이 작은 렙톤인 전자의 질량은 0.5MeV입니다. 이에 비해 중성미자는 2eV 정도 니 얼마나 작은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녀석은 약력과 중력에만 반응을 합니다.
일반적인 입자가속기에서 검출이 불가능합니다.
검출이라는 것은 힘에 반응을 해야 발견이 되는 것인데 약력과 중력은 강력과 전자기력에 비해 아주 미미한 힘이라 검출이 안됩니다.

일본에서 슈퍼카미오칸데라는 엄청나게 큰 수조를 만들어 검출하긴 했습니다.
중성미자는 검출하기 너무너무 힘들지만 분명 존재합니다.

특이한 것이 중성미자는 1세대(전자중성미자), 2세대(뮤온중성미자), 3세대(타우중성미자) 중성미자가 서로 바뀝니다.
이걸 중성미자 진동이라고 하는데 태양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의 진동을 발견했습니다.

잠시 중성미자가 왜 중요한지 설명드릴께요.

우주에는 4가지 힘이 있다고 들어 보셨을겁니다. 중력, 전자기력, 약력 그리고 강력이죠.
1970년 중반에 표준모형이 나와서 중력을 제외한 나머지 세 힘을 이론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때 중성미자의 질량은 없는 것으로 가정을 했습니다.

하지만, 미미하게 질량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표준모형의 수정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잘 발견되지도 않는 그리고 가벼운 중성미자라는 녀석 때문에 수정이 필요하게 된 겁니다.
표준모형은 힉스입자(질량을 결정한다고 하는)의 존재를 예측을 합니다만 아직 발견은 되지 않았죠.

하여튼 중성미자는 연구대상입니다.


2. 오늘 실험 이야기

이번 실험은 중성미자의 진동에 관련된 실험입니다. 그리고 중성미자의 속도도 측정하려고 합니다.
뮤온중성미자가 타우중성미자로 바뀌는 것을 보고 싶은 겁니다.

강력한 400GeV의 양성자빔을 쏴서 붕괴과정을 거친 후 17GeV의 에너지를 갖는 뮤온중성미자를얻습니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방사광이 약 2GeV의 에너지이니 얼마나 강력한 것인지 알 수 있습니다.
중성미자는 지구를 뚫고 730Km 날아가 측정이 됩니다.
(왠만한 물질과 반응을 하지 않기 때문에 우주공간을 날아가는 것이나 지표면을 날아가는 것이나 방해할 장애물은 없습니다.)

16111번의 실험을 3년간 했고 약 10의 20개의 양성자를 충돌시켜 데이터를 얻었습니다.
5489번 측정기에 측정이 이루어집니다.(730Km 떨어진 곳에 있는)
근데...평균 중성미자의 에너지는 28.1GeV이구요.

재미있는 것은 앞에서 약 17GeV의 뮤온중성미자를 발사한다고 했는데 이번 실험결과 13.9GeV와 42.9GeV 두가지 뮤온중성미자를 발견합니다. 평균에너지는 28.1GeV로 발사한 것보다 평균에너지 수치가 높습니다…헐..

그리고 속도 측정 결과 뮤온 중성미자가 약 60ns정도 빛보다 더 일찍 들어왔다고 결론 내린 것 입니다.
타우중성미자로 바뀌었다는 이야기는 없는 것으로 보아 진동현상은 관찰하지 못했지만, 이상한 데이터를 얻은 것만은 분명합니다.

앞으로 어떤 결과가 나올지 흥미진진하네요

ps. 중성미자는 표준모형에 있어서 성가신 녀석임을 확증을 했네요.
중성미자연구와 힉스입자의 발견은 표준모형의 수정을 가져올 것이고 수정을 넘어 새 이론이 탄생될 지는 지켜봐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검은창트롤
11/09/23 20:55
수정 아이콘
빛보다 빠를지도 모르는 그 녀석(?!) 덕분에 오늘 물리학 글이 흥하는군요.
물리...손 놓은지 10년도 더 된 녀석이라 이 글 역시 확실히 이해하진 못하겠지만 ㅠㅠ
개미먹이
11/09/23 20:57
수정 아이콘
오 문과인 관계로 ㅠ 정확히 이해가 가진 않지만 좋은 글 감사합니다^^ [m]
ArcanumToss
11/09/23 20:58
수정 아이콘
에너지 수치가 왜 더 높아진 건가요?
속도 때문에???
포프의대모험
11/09/23 21:08
수정 아이콘
초속이 140인데 종속이 150인 마구같네요 ㅡㅡ;
11/09/23 21:15
수정 아이콘
Entropic gravity에 대해 이야기 해주실 능력자님은 안 계신가요
몽키.D.루피
11/09/23 21:20
수정 아이콘
10조 들여서 실험기구 만들어 놨더니만 나오라는 힉스는 안나오고 이상한 놈이 물리학을 다 뒤집을 기세로 애를 먹이네요. 크크
루미큐브
11/09/23 21:22
수정 아이콘
한 가지 궁금한게 있는데.. 빛보다 빠른 입자가 있다면
그것을 기술로 연결시켰을 때 실생활에서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진짜 타임머신이 나오는건가?

DC의 Rain 이라는 소설가(?)가 생각이나네요?... 문득

"진짜? 3차대전? 인천 보령쪽은 피해 있어야 하나? 내 직장이 인천인데..? 그것도
해안에 인접한 경서동 쪽인데..."????
미친잠수함
11/09/23 21:46
수정 아이콘
아.. 어렵습니다...
이래서 여자들이 공대생 공대생 하는거군요..
참 어렵네요.. 죄송합니다
11/09/23 22:58
수정 아이콘
다른 얘기지만, 저는 중성미자를 스타니스와프 렘의 소설 "솔라리스"를 통해 처음 알았습니다.
솔라리스가 만든 손님의 정체를 알기 위해 손님을 이루는 입자를 분석하는데
이게 일반 원자가 아닌 중성미자로 판명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중성미자가 1934년에 발견됐으니 솔라리스가 나온 1961년엔 일반인들은 중성미자라는 게 뭔지
잘 알지도 못했을텐데... 당시 백과사전을 찾아보고 여기저기 들여다 보아도 중성미자는 그냥 유령 같은 느낌만 들었을 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2307 [일반] 데니스 리치 사망 [17] 난 애인이 없다7374 11/10/13 7374 0
32306 [일반] 가슴이 답답하고 먹먹함을 자주 느끼는 요즘입니다. 20대의 고민...(제발 읽어봐주세요.../재등록) [13] 이파랑5742 11/10/13 5742 0
32305 [일반] [슈스케] 캐릭터의 중요성 + 왜 참가자들을 괴롭히는가 [27] patoto6580 11/10/13 6580 0
32304 [일반] 직업병은 딴사람 이야기인줄 알았더니 내 눈의 서까래는 못보더라 [9] 곰주5366 11/10/13 5366 0
32303 [일반] 이제는 앞장서서 엘지 트윈스를 까렵니다. [14] 아르바는버럭6504 11/10/13 6504 0
32302 [일반] 왜 이렇게나 연애세포가죽어있을까요... [23] 파일롯토5065 11/10/13 5065 0
32301 [일반] 어장관리에 관한 그 두번째 이야기. [55] Love&Hate11883 11/10/13 11883 2
32299 [일반] 괜찮은 해외 음악을 손쉽게 접하는 하나의 방법 [11] 아르바는버럭4774 11/10/13 4774 1
32298 [일반] [영화] 어벤저스 새로운 예고편 [21] 타나토노트4701 11/10/13 4701 0
32297 [일반] 오렌지캬라멜의 뮤직비디오와 시크릿의 티저가 공개되었습니다. [23] 세우실4590 11/10/13 4590 1
32296 [일반] 진중권씨가 곽노현 교육감 사건에 대한 글을 올렸습니다. [215] KARA7427 11/10/13 7427 0
32295 [일반] 어느 평범한 복학생이 살아가는 이야기 [6] 해바라기4312 11/10/13 4312 0
32294 [일반] 개성이 없어야 개성이 산다. [7] naughty4421 11/10/12 4421 0
32293 [일반] 소녀시대가 미 유니버셜 뮤직을 통해 미국 시장에서 앨범을 발매합니다 [9] 하우스5041 11/10/12 5041 0
32292 [일반] 소프트웨어에 대한 좋은 글 소개 (3) + 특허 이야기 [10] Je ne sais quoi3795 11/10/12 3795 0
32291 [일반] 김치찌개의 오늘의 음악 10 [7] 김치찌개3583 11/10/12 3583 0
32290 [일반] 고시를 꿈꾸는 이를 위한 변호사의 CPA합격수기 [20] 호가든15790 11/10/12 15790 5
32289 [일반] 이동국 선수가 국가대표팀 은퇴를 생각하고 있는 것 같네요. [52] VKRKO 5997 11/10/12 5997 0
32288 [일반] [공지] 신규 운영진 소개 + 삭제 제한 관련 [19] Toby4838 11/10/12 4838 0
32287 [일반] [LG,정치] 옐로우카드 요약본입니다. (엠팍펌) [80] 바람은미래로7432 11/10/12 7432 0
32285 [일반] 폴인러브라는 블로그를 아시나요? [2] only0y4546 11/10/12 4546 0
32283 [일반] 손흥민 父 "대표팀 발탁 당분간 자제해 달라" [217] 친절한 메딕씨9462 11/10/12 9462 0
32280 [일반] 종편에서 인간 박정희 라는 드라마를 기획 중이라고 합니다. [56] Spring6674 11/10/12 667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