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1/02 20:22
음... 차근히 읽어봤는데, 저는 2, 3, 4기준에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토번의 명장 가르친링은 많은 전투에서 당나라를 격파했으나 결국 토번과 당의 전쟁은 당의 승리로 끝났습니다. 전쟁에서 이긴다는 것은 장군 한 명의 역량이 문제가 아니고 양국의 국력이 결정하는 것이므로 결정력은 장군 개인의 명성과 무관하다고 봐야 합니다. 가르친링이나 만슈타인 같은 패전국에는 명장이 한 명도 없다는 이야기가 되겠죠. 3, 4번도 2번과 연결지어서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결국 해당 항목들은 '버스타서 이기는 거 금지' 라는 이야긴데, 명장 선정의 본질적인 면과는 거리가 있어 보입니다.
25/11/02 20:31
개인적으로 기준을 세우자면
(1) 참가한 전쟁의 역사적 의의 - 참가 전투, 전쟁이 세계사의 흐름에 크게 영향을 주거나 지나고 봤을 때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 (2) 전사의 매커니즘을 바꿀 것 - 망치와 모루, 주둔지와 보급, 대포의 규격화 등 전장의 매커니즘을 바꿨던 자일 것 (3) 전력의 열세를 극복한 적이 있을 것 (4) 전략과 전술 양쪽에서 다 뛰어날 것
25/11/02 20:32
명장에 대한 정의를 어떻게 하느냐의 문제인데, 말씀하신 관점에도 동의합니다.
다만 가르친링은 단순한 장군 한 명은 아니고 집정대신에 가까웠다고 봅니다. 또한 당-토번 전쟁이 과연 언제 끝났는지는 모호한데, 가르친링 사후에도 전투는 계속 있었고 넓게 보면 토번제국이 해체될 때까지 전쟁 상태였다고 볼 수 있죠. 그래서 이 전쟁에서 활약한 당나라 측 장군들(예컨대 흑치상지)도 똑같이, 어떤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25/11/02 20:40
(수정됨) 저도 인공지능에게 물어봤습니다.
[기준 미달/감점(대표 예)] 1 롬멜 / 구데리안 / 만슈타인 / 로버트 E. 리: 전투 전과는 탁월하나 전쟁 자체를 패배 → ② 탈락. 2 한니발: 전투의 신급이지만 제2차 포에니 전쟁 패배 → ② 탈락. 3 스칸데르베그: 장기 항전의 상징이나 오스만과의 ‘전쟁 승리’ 부재 → ② 보류/탈락. 4 트란 흥다오: 합격(원래 상위권) — 몽골 3차 침공 ‘전쟁’ 격퇴 성공. (※ 귀하 명단엔 58위였지만 본 랭크에선 상위권 편입) 5 이순신: 해전 무패·결정적. 다만 ‘임진왜란 전체’는 종결 조건이 애매(강화·현상회복)라 ②를 엄격히 잡으면 Top 25 밖, ‘조선의 대전략 목표(국가 보전·제해권 유지)’ 달성으로 보면 상위권 진입 가능. 6 프랜시스 드레이크: 사략·해전 영웅이나 전쟁 전체의 통수 지휘 및 ‘전쟁 승리’ 판단이 애매 → 하향. 7 기욤 뒤프르: ‘쏜더분트 전쟁’ 승자이지만 내전(반란 토벌) 성격이 강함 → ⑤에서 감점. 8 척계광: 왜구 토벌의 결정적 공로. 그러나 비정규(해적) 상대가 주 → ⑤ 감점. 9 원숭환(원충환): 방어 영웅이나 전쟁 승리 없이 억울한 처형 → ② 미달. 10 사모리 투레: 장기 항전했으나 전쟁 패배 → ② 탈락. 11 바예지드 1세: 초중기 전공 있으나 안카라(티무르) 대패로 ④ 위반. 이 문답에서는 인공지능이 2번 조건을 "전쟁의 공세적 지배/주도권을 통한 명백한 승리"로 보는 것 같아요.
25/11/02 20:43
전쟁 승리의 규정을 어떻게 하느냐가 문제가 되는데, 사실 전쟁의 범위가 과거로 가면 갈수록 모호해지기 때문에 골치가 아프긴 합니다. 그런데 뭐 임진왜란 정도면 아주 명백히 조선의 승전이니, 이순신은 육각형 명장이 맞죠.
25/11/02 20:41
참고로 상위권은
1 칭기즈 칸 — 몽골 제국 통일·서하/금·호라즘 등 ‘전쟁’ 단위의 연속 승리, 본인이 최고통수자. 2 알렉산드로스 대왕 — 대(對)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전쟁’의 완승, 전투 다수 직접 지휘. 3 율리우스 카이사르 — 갈리아 전쟁, 로마 내전(카이사르파) 승리. 4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제3·4동맹전쟁 등 ‘전쟁’ 단위 다수 승리(최종 몰락과는 별개로 개별 전쟁 승리는 명백). 5 수부타이 — 키예프 루스·중동·유럽 원정에서 군단 규모의 독립 지휘로 ‘전쟁/원정’ 단위 결정적 승리 다수. 6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 제2차 포에니 전쟁 ‘전쟁 승리’의 결정적 공헌(자마). 7 헤라클리우스 — 동로마-사산 페르시아 전쟁 역전승, ‘전쟁’ 자체를 승리로 종결. 8 헬무트 폰 몰트케(大) — 1864·1866·1870-71 세 전쟁 연속 승리의 총참모/작전 지휘. 9 웰링턴 공작 — 반도전쟁·워털루로 나폴레옹 전쟁 종결의 결정타. 10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 러-터 전쟁의 ‘전쟁 승리’(1770~90s), 원정 다수에서 지휘·연승.
25/11/02 21:26
1,2번은 적군의 병력에 비해 아군의 부상자나 사망자등 희생이 얼마나 적었는가도 봐야하고, 적군에 비해 얼마나 후달리는 무기로 싸웠는가 상성상 불리한 지형에서 싸웠는가등 얼마나 악조건에서 싸웠나도 따져서 순위를 갈라야 할것같군요.
25/11/02 21:37
일단 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가 저 조건에 맞네요
전투에서 3회 이상 승리, 전쟁 승리, 본인이 직접 기여, 패배한 적 없음, 적들은 최강의 정규군들이었음, 본인이 직접 사령관으로 활동했음(나중에 해임 당해서 부장으로도 활동해봄)
25/11/02 22:18
할리드 이븐 알 왈리드는 누구에게 묻든 부정할 수 없는 명장이죠. 본문의 기준을 적용해도 육각형 명장이고요.
육각형 명장의 기준이 까다로워 보이긴 해도 이런 유명한 명장들은 대부분 통과일 겁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