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8/16 12:49:59
Name Categorization
Subject [일반] 노력과 행복질량보존의 법칙

사람들을 보면서 노력과 행복의 관계에 대해서 생각해봤습니다.

노력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삶은 태어나면서 우리에게 주어지는데 행복의 시작점, 행복레벨의 시작점은 모두 다릅니다. 노력으로 각자 나름대로의 행복은 만들 수 있지만, 삶의 근본적인 행복레벨의 shift는 또 가능한걸까요? 삶을 관통하는 인생의 법칙중에 하나가 행복질량보존의 법칙입니다. 우리는 인생에서 불행한 만큼 행복할 수 있는데, 불행을 마이너스(-)라고 하고 행복을 플러스(+)라고 한다면 이들의 적분은 0이 됩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는 이 0을 만들기위해서 노력이란걸 합니다. 근데, 이는 절대적인 기준이고 상대적인 기준은 또 다릅니다. 각자의 위치에서 자기만 바라보며 시작하는 절대적으로는 0이지만, 멀리서 서로를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는 모두 똑같이 0이 아닙니다. 누군가는 불행과 행복의 총합이 0이지만, 누군가는 100이고 200입니다. 시작 레벨이 다르기 때문에. 그리고 그와 동시에 우리 모두 각자 개인적으로는 0이라고 느낍니다. 우리 모두는 현재 자기가 불행하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력을 통해서 미래에 기다리고 있는 행복을 또한 찾아서, 불행과 행복의 총합을 각자 나름의 최대수치인 0이 되게 하거나, 100이 되게 하거나, 200이 되게 할 수 있습니다.

행복레벨의 이동은 가능한걸까요? 0인 사람이 100인 사람이 되거나, 200인 사람이 될 수있을까요? 그리고 꼭 이동할 필요가 있을까요? 우리는 어떨 때 행복감을 느낄까요? 경제적으로 풍요로울 때? 사회적으로 인정받을 때? 아니면, 일상의 소소한 행복을 자주 느낄 때? 세상이 행복과 불행의 중간 기준점이 계속 올라가는 쪽으로 변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노력중에 하나가 존버, 버티기라고 생각하는데(존버는 승리한다고하지만, 버티는 것만이 능사가 아닐 수도 있음), 삶은 신기하게 상황이 바뀌기도 합니다. 버티면서 내가 달라지는 건지, 진짜 나를 둘러싼 세상이 바뀌는 건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잘 버텨서 각자의 행복질량보존의 법칙을 누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모링가
25/08/16 15:45
수정 아이콘
우리의 정신은 신경계의 항상성으로 유지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항상성은 국소적 안정 상태에 불과하고, 이데올로기나 권력 구조와 같은 사회에 깔려 있는 집단 무의식 속 밈은 행복/고통 분포를 강제적으로 재배치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 사회의 문제점은 인간의 육체가 가지는 생물 단위로써의 예측 모델이 앞서 언급한 밈(상위 질서의 예측 모델)에게 압도되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폭증하는 정신 질환과 자살 문제는 이에 대한 직접적인 근거가 되겠지요.
사람은 죽어나가지만 그들을 갈아넣음으로써 상위 질서의 예측 모델은 안정화되므로, 오히려 체제는 안정화된 것처럼 보여지고 사람들은 저항보다는 학습된 무력감에 빠집니다.

그렇기에 노력과 행복의 합은 마이너스인게 현 상황이라고 간주할 수 있겠습니다.
심지어 한병철은 자기착취라는 말까지 꺼냈으니 더 논할 것도 없겠죠.
고무닦이
25/08/16 17:32
수정 아이콘
행복의 기준이 사회가 발전할수록 높아지는거 같에요. 과거 흰쌀밥의 고깃국이라는 표어가 있던시절엔 밥과 고깃국을 먹는게 행복의 기준이였겠지만 지금은 아니잖아요. 지금 한국사회는 너무 발전한 나머지 행복의 기준도 극한으로 끌어올려진거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827 [일반] 주호민씨가 뻑가와 악플러들을 고소한 것 같습니다. [157] 짭뇨띠17195 25/08/21 17195 0
104825 [일반] 2만9천명의 소득세 신고를 놓친 세금어플 사건 [30] 안녕!곤9634 25/08/21 9634 26
104824 [일반] 우리는 수출을 다변화 할 수 있는 것이 맞는가? [45] 깃털달린뱀4951 25/08/21 4951 7
104823 [일반] 가정환경이 나쁜 사람은 거르라는 말에 대한 시시한 고찰 [39] 김아무개5323 25/08/21 5323 17
104816 [일반] [역사] 수학 그거 방정식만 풀면 되는 거 아니냐(아님) [12] Fig.14393 25/08/20 4393 9
104815 [일반] 우리나라 공공병원의 현실 [59] 진공묘유7276 25/08/20 7276 28
104813 [일반] 소원 성취. 차를 바꾸다. [56] 쉬군5015 25/08/20 5015 26
104811 [일반] 학교에서 배우지 않는 수학기초 [108] 번개맞은씨앗10737 25/08/20 10737 5
104810 [일반] 교토 포켓몬 맨홀 투어 [25] 及時雨5031 25/08/20 5031 10
104807 [일반] 남프랑스 감성의 대표가 된, 신성 로마 제국의 프로방스 [6] 계층방정3412 25/08/19 3412 11
104803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7] 공기청정기2580 25/08/19 2580 0
104802 [일반] 널리 알려졌거나 매력적으로 표현되었다면 때는 이미 늦은 것 [2] 번개맞은씨앗3578 25/08/19 3578 2
104800 [일반] 집에서 진행한 방탈출 놀이 - 육아만렙을 꿈꾸며 [17] 오타니3072 25/08/19 3072 20
104799 [일반] 약사들은 '우려' 소비자들은 '만족'... '창고형 약국' 구석구석 살펴보니 [64] 페이커756440 25/08/19 6440 0
104797 [일반] 교토, 여름이었다 [44] 及時雨4994 25/08/19 4994 8
104794 [일반] PGR21에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친일 의견에 대해서.. [125] 헤일로9999 25/08/18 9999 9
104791 [일반] 지루함을 잘 느끼는 것은 단점인가 [27] 번개맞은씨앗5678 25/08/18 5678 1
104786 [일반] 요즘 젊은애들은 일본을 어떻게 생각할까? [126] 럭키비키잖앙10922 25/08/17 10922 3
104785 [일반] 이스라엘, ‘가자 주민 이주’ 5개국과 논의… ‘인종청소’ 현실화하나 [43] 베라히7229 25/08/17 7229 5
104784 [일반] <스탑 메이킹 센스> - 기묘한 폭발력과 에너지. [2] aDayInTheLife3282 25/08/17 3282 1
104781 [일반] 기다리는 마음가짐에 대하여 - 낚시 [4] 일신1822 25/08/17 1822 5
104778 [일반]  지포스 RTX 50 슈퍼 가격 유출 [14] SAS Tony Parker 4159 25/08/17 4159 1
104777 [일반] 루머: 갤럭시 S26 프로, 디스플레이 크기 및 배터리 용량 유출 [46] SAS Tony Parker 4615 25/08/17 461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