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27 19:23:03
Name 매번같은
Link #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32469
Subject [정치] 어제 대만에서는 야당에 대한 합법적인 쿠데타가 장렬히 실패하였습니다. (수정됨)
https://namu.wiki/w/2025%EB%85%84%20%EB%8C%80%EB%A7%8C%20%EB%8C%80%EA%B7%9C%EB%AA%A8%20%EC%A3%BC%EB%AF%BC%EC%86%8C%ED%99%98
참고 위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532469
참고 뉴스

깊이 들어가면 복잡하니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작년 1월 대만 입법원 선거(우리나라로 치면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 민진당이 야당 연합에 참패하게 됩니다.
같은 날 열린 대만 총통선거에서는 입법원 선거에서 패한 민진당이 총통을 내놓게 되죠.
결국 여소야대가 된거.

이후 야당은 총통과 정부가 하는 일에 계속 딴지를 걸죠.
빡쳐버린 총통과 여당이 여당 지지자들의 지지를 기반으로 야당 의원에 대한 주민소환제 투표를 성립시켜버립니다.
각 지역구 유권자의 10% 서명을 받으면 주민소환제 투표가 이뤄진다네요.

제 1야당 국민당의 지역구 인원이 36명인데 어제 열린 주민소환제 투표 대상이 24명이었고 8월 23일 주민소환제 투표 대상이 7명.
결국 제 1야당 지역구 의원 36명 중 5명 빼고 31명을 모조리 짤라버리고 보궐선거를 다시 열어 여대야소로 입법원 구조를 바꿔버리겠다는 의도였던 겁니다.

주민소환제 투표에서 의원이 짤리기 위해서는
1) 찬성자가 반대자보다 많아야 함
2) 찬성자의 표가 25% 이상이어야 함
이 2가지의 조건이 성립해야 한다고. 결국 등록된 유권자 절반 이상이 투표에 참여해야 하고 찬성이 많아야 한다는거

야당 의원 24명을 짤라버리기 위한 어제 투표 결과...
모조리 부결...;;;;

24곳에서 이뤄진 투표 중 주민소환 찬성이 50%를 넘은 곳이 없었습니다.
게다가 주민소환제 투표는 한번하면 끝이라고 합니다.
한번 부결된 곳은 주민소환제 투표를 다시 열 수가 없다는거.

결국...현역 총통과 여당은 가시밭길이 열린거죠.

누가 선이다 악이다를 떠나서 국민의 손으로 합법적인 선거를 통해서 여소야대를 만들어준 국회권력에 대한 쿠데타가 장렬하게 실패해버린거.

이제 총통은 남은 임기동안 입법원(국회) 도움 얻기는 포기해야 합니다.
합법적인 쿠데타를 하려면 성공이라도 했어야지 이렇게 실패했으니 정권의 말로는 비참하게 끝날겁니다.

1달 후에 의원 7명에 대한 주민소환제 투표가 있긴하겠지만 그 때는 뭔가 다를까 의문이네요.

아...그러고보니 민진당이 작년 12월 3일 한국에서 계엄 일어났을 때 지지 선언 SNS 글을 올렸다가
한국 국회에서 계엄해제 되자마자 후다닥 글삭하고 튀어버렸죠? 크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박세웅
25/07/27 19:30
수정 아이콘
이거 완전..
스핔스핔
25/07/27 19:31
수정 아이콘
전세계가 다사다난하네요...
프리오이
25/07/27 19:34
수정 아이콘
그래도 여기는 합법의 범위내 이군요
다람쥐룰루
25/07/27 19:41
수정 아이콘
그나마 여기는 합법적인 방법을 연구라도 했군요
25/07/27 19:46
수정 아이콘
완전히 망해버린건 알겠는데 쿠데타와는 거리가 머네요.
허락해주세요
25/07/27 19:48
수정 아이콘
이거는 쿠데타라기 보다 그냥 본헤드플레이에 가깝군요

저렇게 빡센 주민소환제가 성공했다면 실제로 그 의원은 짤릴만 한거 같아서요.
닉네임을바꾸다
25/07/27 19:50
수정 아이콘
뭐 애초에 요구안에는 1퍼 서명과 실제 성립엔 10퍼센트의 서명이 필요한거니까요...
이걸 단순히 당이 원한다고 만들어냈다는 식으로는 못하죠 뭐...
매번같은
25/07/27 19:58
수정 아이콘
여당 지지자들이 그만큼은 있었다는 얘기겠죠. 다만...주민소환제를 성립하기는 부족했다는게 문제.
안군시대
+ 25/07/27 20:13
수정 아이콘
김구선생님.. 아, 여기가 아닌가?
타카이
+ 25/07/27 20:19
수정 아이콘
반대로 야당에서도 조직적으로 대응하면 여당 의원 날려지는건가 싶군요
크레토스
+ 25/07/27 20:29
수정 아이콘
대만은 총리가 아니라 총통입니다?
매번같은
+ 25/07/27 20:31
수정 아이콘
알면서도 잘못 적었네요;; 지적 감사드립니다.
mudblood
+ 25/07/27 20:37
수정 아이콘
상식 이상으로 멍청하지 않고서야 하면 안 되는 시도였습니다. 국민소환을 성공시키려면 그 지역구에서 여당표가 야당표보다 많아야 하는 건데, 그게 성공할 거였으면 애초에 선거에서 안 졌겠죠.
소환 실패 자체보다 저런 전략을 실행까지 몰아붙였다는 사실 자체가 더 큰 문제라고 봅니다. 지도부가 정상적인 판단력을 상실했다는 증거니까요. 앞으로도 저런 판단을 반복하고 매번 패배하겠죠.
기술적트레이더
+ 25/07/27 20:38
수정 아이콘
뭐야? 합법이잖아? 새삼스럽게시리..
+ 25/07/27 20:41
수정 아이콘
민주주의의 순기능이라 봐야하나
헨나이
+ 25/07/27 21:38
수정 아이콘
법 조문에 적혀 있다고 해서 뭐든 다 해도 된다는게 아니죠윤석열만큼 멍청한 시도였네요
매번같은
+ 25/07/27 21:50
수정 아이콘
https://www.fmkorea.com/best/8700232318
이 글에 어제 대파면 선거가 일어나게 된 배경이 쉽고 자세하게 잘 설명되어 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619 [일반] 부산지하철요금 적자안보려면 얼마가되어야할까? [22] 오사십오1325 25/07/27 1325 0
104617 [정치] 어제 대만에서는 야당에 대한 합법적인 쿠데타가 장렬히 실패하였습니다. [17] 매번같은2844 25/07/27 2844 0
104616 [정치] 尹 비상계엄 손해배상 인정…"시민 104명에 10만원씩 줘야" [37] Davi4ever6355 25/07/27 6355 0
104615 [일반] [팝송] 벤슨 분 새 앨범 "American Heart" [2] 김치찌개2315 25/07/27 2315 0
104614 [일반] 설사의 행복(중요한 자리는 미리 싸세요) [30] 만렙법사3911 25/07/27 3911 33
104612 [일반] [웹툰 리뷰] 무한레벨업 in 무림 심플리뷰 (스포주의!) [19] 일월마가4759 25/07/26 4759 1
104611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3) - 경시제, 공신들을 왕으로 [1] 계층방정2969 25/07/26 2969 2
104610 [일반] <판타스틱 4: 새로운 시작> - 미약하지만 준수한. (노스포) [19] aDayInTheLife3376 25/07/26 3376 1
104609 [일반] 신과 거인의 시대 (바이킹 신화를 알아보자) [1] 식별1722 25/07/26 1722 4
104608 [정치] 대통령이 청문회 한듯한 SPC 노사 간담화에 대하여 [68] 오컬트16808 25/07/25 16808 0
104607 [일반] AI시대에는 누가 노벨상을 수상할까요? [15] Categorization5623 25/07/25 5623 1
104606 [정치] 의대생이 사과도, 반성도, 재발방지 약속도 없이 돌아옵니다. [252] 발이시려워16072 25/07/25 16072 0
104605 [일반] 동기부여와 정신승리 번개맞은씨앗3645 25/07/25 3645 0
104604 [일반] 7월초 기준 미장/중국장/국장 개인투자자들 성적표 [33] 독서상품권6446 25/07/25 6446 0
104603 [정치] '북한과 통모’ 시도했나, '몽골 공작' 수사 [24] lightstone5356 25/07/25 5356 0
104602 [정치] 윤석열 대통령 집무실에 사우나 설치 [65] lightstone7836 25/07/25 7836 0
104601 [정치] [번역] 트럼프의 관세 전쟁, 유럽보다 미국이 더 큰 대가를 치르는 이유 [17] KOZE6414 25/07/24 6414 0
104600 [정치] 2030의 4050 혐오, 단지 위선과 여성우대 때문일까 [150] 방구차야8942 25/07/24 8942 0
104599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0] 공기청정기2381 25/07/24 2381 6
104598 [정치] 이준석의 예견된 실패, 자초한 비극 [79] 딕시8552 25/07/24 8552 0
104597 [일반] 얘, 느 집에는 이런거 없지? - Fig.1님 책 이벤트 인증입니다 [2] Broccoli2052 25/07/24 2052 4
104596 [일반]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 리뷰[스포주의] [16] 메카즈하1705 25/07/24 1705 1
104595 [일반] 중요한 건 내가 우위에 서는 것이다. 도덕에서라도. [2] 223.321674 25/07/24 1674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