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20 23:10:54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940806726
Subject [일반]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 책 후기.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라는 표현보다는 우리에게는 19세기 '지하철도'라는 표현이 아마 더 익숙할 것 같습니다. 미국 남부로부터 노예를 탈출시키기 위해 조직되었던 점조직이 만약 진짜 '지하철도'로 존재한다면, 이라는 가정을 담은 이 책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를 읽었습니다.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는 흑인 노예 여성, '코라'의 탈출을 소재로 공간의 변화를 다루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기차역과 철도가 실재한다는 기묘한 설정을 가지고 오면서도 묘한 현실성과 시치미(?)를 떼는 소설이기도 합니다.

다만, 많은 부분에서, 이 이야기가 좋은 이야기임에도 불구하고, 쉽게 말해 '우리'에게 잘 와닿는 이야기인지는 의문스럽기는 해요. 그러니까, 우리는 이런 노예 제도가 없던 나라는 아니지만, 그 제도를 대다수 사람들이 '매우 옛날 얘기'로 여기기도 하고, 또 인종적인 측면에서, 우리는 아직까지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사회라고 생각하진 않거든요. (물론, 아직까지 생각해볼 상황이 아니었다는 게 더 정확한 표현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전에 영화 <노예 12년>을 보면서, '관찰'이라는 시선이 느껴졌던 부분이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흑인 감독이 만들었지만, 어디까지나 '영국'인의 작품으로써, 섣불리 선과 악을 내보이기보단, 그저 그 상황을 관찰하는 방식으로요. 또, 조금은 결이 다르지만, <장고: 분노의 추적자>에서는 어찌보면, 선악이 그저 인종으로만 정해지는 건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기도 했습니다. 이 책,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에서도, 다양한 인간군상이 등장합니다. 어떤 사람은 선하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선하지만 그 만큼의 의지력을 지니지 못하기도 했구요. 누군가는 회의적인 악인이기도 하구요. 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고, 또 적절히 '현대적'인 지하철도의 이야기를 만나면서, 소설의 이야기는 기묘한 불협화음을 내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분명 작품의 주인공은 그 시대의 인물이지만, 읽는 우리는 현대에 있기에, 그 기묘한 불협화음이 책을 읽으면서 스멀스멀 올라오는 건 아닐까 싶습니다. (칭찬입니다.)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는 지하에서는 볼 수 없는 것이죠. '창 밖을 보면 미국이라는 나라가 어떤 나라인지 알게 될 것이다'라는 이야기에도 불구하고, 주인공, '코라'는 어디로 가는지, 어떻게 가는 지 알 수 없습니다. 저는 그럴 때 마다, 우리는 오락가락할 때는 있겠지만, 결국은 우리는 앞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적당히 비관적이지만) 낙관적인 이야기를 믿으려고 노력하는 사람인 것 같아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21 07:51
수정 아이콘
불이 꺼지면 야광으로 인쇄된 철도가 보이는 표지 디자인도 이야기와 잘 맞아떨어져서 굉장히 근사했습니다..크.. 
섬과달 출판사의 <알려진 세계>도 추천 드립니다! 흑인노예를 둔 흑인의 이야기가 굉장히 흥미로웠어요.
aDayInTheLife
25/07/21 13:37
수정 아이콘
앗 야광은 확인 못했는데 크크크크
알려진 세계, 참고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601 [정치] [번역] 트럼프의 관세 전쟁, 유럽보다 미국이 더 큰 대가를 치르는 이유 [2] KOZE973 25/07/24 973 0
104600 [정치] 2030의 4050 혐오, 단지 위선과 여성우대 때문일까 [37] 방구차야1750 25/07/24 1750 0
104599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5] 공기청정기656 25/07/24 656 4
104598 [정치] 이준석의 예견된 실패, 자초한 비극 [26] 딕시2708 25/07/24 2708 0
104597 [일반] 얘, 느 집에는 이런거 없지? - Fig.1님 책 이벤트 인증입니다 [1] Broccoli717 25/07/24 717 2
104596 [일반]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 리뷰[스포주의] [11] 메카즈하884 25/07/24 884 0
104595 [일반] 중요한 건 내가 우위에 서는 것이다. 도덕에서라도. [2] 223.321002 25/07/24 1002 3
104594 [일반] 만약 제가 비열한 사람에 대한 사적 처벌을 목격했다면 [1] Pygmalion2011 25/07/24 2011 1
104593 [정치] 李대통령 지지율 64%…국민의힘 지지율 17% 최저치 경신 [52] Davi4ever5278 25/07/24 5278 0
104592 [정치] "다신 안 그럴거죠? 믿어요" '법원 폭동' 다 선처한 판사 [64] 카린5725 25/07/24 5725 0
104591 [일반] 진격의 거인을 보고 (스포 약간) [9] 이직신1308 25/07/24 1308 1
104590 [일반] 유럽에서 초지능이 태어날 가능성 [27] 번개맞은씨앗3532 25/07/24 3532 2
104589 [일반] 웃기는 트럼프의 첼시 클럽월드컵 우승 세레모니 [11] lightstone1622 25/07/24 1622 3
104588 [일반] 고이즈미 신지로가 바보 흉내를 내야만 했던 이유 [38] 페이커755395 25/07/24 5395 7
104587 [정치] "미국, 한국에도 15% 관세 조건으로 548조원 투자 요구" [68] 유머6298 25/07/24 6298 0
104586 [정치] 역린을 건든다 [178] 육돌이7826 25/07/24 7826 0
104585 [일반] AI채팅을 해보고 느낀 플랫폼별/모델별 차이 [17] 티아라멘츠3210 25/07/24 3210 5
104584 [일반] 제미나이와의 대화를 해봤습니다. [1] 된장까스3173 25/07/24 3173 0
104583 [일반] 골 때리는 일본의 극우정당 돌풍 [51] 헤일로5785 25/07/24 5785 4
104582 [일반] <미세리코르디아> - 욕망이 그려내는 막장극. (노스포) [2] aDayInTheLife1673 25/07/24 1673 2
104581 [일반] 세상에는 "악행"이 생각보다 흔한 것 같습니다 [19] 헤일로3710 25/07/23 3710 1
104580 [일반] AI에 대한 두려움 극복 방법 [1] Categorization2373 25/07/23 2373 2
104579 [정치] 호송 중 여성 피의자 성추행 사건 무죄 선고 [24] 如是我聞4663 25/07/23 466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