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7/08 14:49:15
Name 바람기억
File #1 선발_인원.jpg (104.5 KB), Download : 727
File #2 부처배정.jpg (123.7 KB), Download : 723
Subject [일반] 고용노동부를 피하기 위해 열공했는데 고용노동부로..? (수정됨)




안녕하세요.
매우 오랜만에 자게에 글을 쓰네요.
흥미로운(?) 일이 국가직 9급 쪽에 있어서 몇 자 적어보려 합니다.

- 고용노동부는 국가직 부처 중에서 기피하는 곳 중 하나임
- 꽤 오래 전에 일반행정(부처 정해지지 않음)으로 합격한 사람들이 다수 노동부로 배정됐음
- 노동부를 희망하지 않은 사람들이 들어간 결과 다소 사직자가 발생함
- 그로 인해 일반행정(고용노동부)로 따로 뽑기 시작함
- 당연히 그냥 '일반행정'(전국 혹은 지역구분)의 경우에는 고용노동부를 제외한 부처로 발령이 났음
- 참고적으로 노동부처럼 애초에 별도로 선발하는 곳은 병무청, 경찰청, 우정사업본부 등이 있거나 있었음
- 그런데 2025년 국가직 9급 일반행정 합격자의 경우에 상당수가 노동부로 배정이 되는 사태가 일어남

커트라인은 일반행정(전국) 93점, 일반행정(고용노동부) 91점이더라고요. 1점(1문제) 사이에 엄청나게 많은 인원이 몰려있는 걸 감안하면 2점 차이면 꽤 차이가 난다고 봐야할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원치 않은 노동부로 가게 되면 솔직히 X타가 올 겁니다. 내가 좋은 부처를 가기 위해 열공했는데 노동부라니...;; 이런 마음인 거죠.

보통 국가직 일반행정을 합격하는 사람이 지방직 9급도 동시 합격하기 때문에 노동부로 배정된 인원이 이탈할 가능성도 있고요. 아니면 아예 내년도 시험을 다시 칠 수도 있겠죠.

고용노동부로 애초에 뽑은 인원이 30명인데, 그게 적은 숫자라서 불가피하게 일반행정임에도 노동부로 발령(이라고 쓰고 납치)내는 걸로 보입니다. 근로감독관 보직이 존재한다는 게 노동부를 기피하는 대표적인 이유입니다. 특별사법경찰로서 근로 파트 수사관이라고 보면 되고, 7급 이상이 원래 주로 맡아서 하였지만 인력 부족으로 8급도 한다는 카더라도 있고요. 게다가 중대재해 관련 법률 시행으로 인해서 갈수록 더 힘든 부처임은 틀림없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5/07/08 14:53
수정 아이콘
노동법 대상은 아니긴하지만 가장 안지켜진다는 곳 중 하나인...
25/07/08 14:59
수정 아이콘
나는 보호대상이 아닌데 남들 보호시켜줘야함... 크크크
고노부에서 갈려나가다가 사직하는 사람 한둘이 아니라죠
25/07/08 14:57
수정 아이콘
막굴린다던데요 ㅜ
25/07/08 15:02
수정 아이콘
참고로 10년전이긴 하지만 노동사건 대리하며 근로감독관들 20시 이후에 전화하면 받았던 걸로 기억납니다. 사건 마무리하는데 도움이 되니 화도 안내셨던걸로 기억합니다.
덴드로븀
25/07/08 15:03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2/0003372265?sid=102
[단독 - 노동 현안 감독해야 할 노동부 공무원들, ‘과로사·블랙리스트’ 물의 쿠팡 대거 이직] 2025.05.27.
최소 5명의 고용노동부 5~6급 공무원들이 6월 쿠팡CLS로 이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노동부 공무원들이 대거 한 기업으로 이직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노동계에는 5급은 연봉 2억8000만원, 6급은 2억4000만원 계약을 맺고 이직한다는 소문이 퍼졌다.
바람기억
25/07/08 15:43
수정 아이콘
아주 파격적이네요. 연봉이 2.5배에서 3배 정도는 인상되는 거니까, 콜이 오면 안 갈 이유가 없겠네요
Lightninbolt
25/07/08 15:09
수정 아이콘
야근안하는 기업에 가서 부럽다고 하던 근로감독관...
국일행 붙을정도면 다들 도망갈듯
25/07/08 15:11
수정 아이콘
노동자가 제대로된 대우를 받는지 감시하는 기관에서 노동착취에 가까운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게 진짜 아이러니죠...ㅠㅠ
아니에스
25/07/08 15:17
수정 아이콘
새로 오신 장관님께서 임명된 이후 고용부로 남을지 노동부로 원복될지 궁금하네요
25/07/08 15:22
수정 아이콘
이건 부처배정인가 러시안룰렛인가
시린비
25/07/08 15:32
수정 아이콘
결국 해당업무에 직접 지원하는 시스템이 아니고 어디 큰데 들어가서 뿌리는 시스템은 문제가 나오기 마련인거같아요.. 의료계도 그렇고
파트별로 차이가 없을 수가 없으니 차이가 있으면 있는대로 대우를 더 좋게 해주거나 더 쉽게 많은 사람이 올수있도록 하거나 맞춰야 할거같은데
25/07/08 15:33
수정 아이콘
세무 사복 노동이었나요
가장 힘든3곳이란 썰을 듣긴했었는데 크크크
바람기억
25/07/08 15:44
수정 아이콘
노(동부), 병(무청), 우(정사업본부)가 있고요
국가직 세무나 지방 사복직도 정평이 나 있습니다..
25/07/08 15:47
수정 아이콘
병무청은 몰랐네요 이미지는 평범할거같은데 크크크
바람기억
25/07/08 15:52
수정 아이콘
정확지는 않지만 아마 병역 관련해서 민원이 세서 그런 것 같습니다
노병우 중에는 그래도 제일 나아보이긴 하네요 흐흐
니드호그
25/07/08 15:39
수정 아이콘
우리는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온 거지, 실천하기 위해 온 게 아니다…라는 대사가 떠오르는 군요. 흑흑.
25/07/08 15:56
수정 아이콘
차별노동 차별임금이 시급하네요..
공무원 사회는 아니지만
저도 겪는일이라 남일 같지 않습니다
25/07/08 15:57
수정 아이콘
노동부 힘들죠... 공익을 노동부 근로개선지도과에서 했었는데 성격버리기 딱 좋은곳이었습니다. 업무가 힘들어도 감독관분들이 좋은분들만 계셨어서 잘 지내며 근무하고 나왔지만, 감독관분들이 나중에 공무원시험보고 노동부 와서 같이 일하자던 장난엔 정색할수밖에 없었네요 크크크....
수리검
25/07/08 15:57
수정 아이콘
글을 읽어도 이해가 안 가는데 ..

애초에 30명보다 인원이 더 필요했으면
고노부 인원을 더 뽑고
일반행정? 티오를 줄이면 될 일이 아닌가요?

뭔 일처리가 저런 식인지
25/07/08 17:42
수정 아이콘
그렇죠. 힘드니뭐니는 애초에 따로뽑는걸로 합의된거고 저거도 경쟁률 높아서 어차피 들어올사람 줄서있는데 말이죠... 티오를 똑바로했으면 발생할 이유가없었죠.
Mini Maggit
25/07/08 16:10
수정 아이콘
세종에서 가장 유행하는 말 '중국산 고기'
바람기억
25/07/08 16:14
수정 아이콘
혹시 부처의 두문자인가요?
중소벤처기업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이런 뜻일지요?
시린비
25/07/08 16:20
수정 아이콘
그대로 구글에 넣으니 구글ai가
세종에서 유행하는 말 "중국산 고기"는 과거 몇 년간 특정 부처, 특히 중소벤처기업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를 기피하는 현상을 일컫는 신조어입니다. 이는 해당 부처들이 상대적으로 업무 강도가 높거나 승진이 어려운 점 등으로 인해 기피 대상이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이 기피 현상이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라고 해주네요 물론 진짜인지는 모릅..
바람기억
25/07/08 16:47
수정 아이콘
중소벤처기업부는 개인적으로 의외네요. 각종 위원회가 인기가 많다고 들었습니다.
박민하
25/07/09 12:59
수정 아이콘
중기부는 중기청시절부터 민원부처 성격을 띄고 있었어서 문지방이 남아나질 않았다는 얘기를 여러명에게서 들었었습니다
바람기억
25/07/09 14:43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 상대로 하는 부처라서 그런가 보군요.
우리는 왜 지원금이 해당이 안 되는지 따지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민원부처가 맞네요.
사회복지 공무원이 사람 대상이라면, 중기부는 기업 대상이라고 볼 수도 있겠고요.
25/07/09 22:37
수정 아이콘
중소기업보단 소상공인이 문제죠
국수말은나라
25/07/08 16:51
수정 아이콘
부산가는 해수부 추천

오송역에서 기약없는 서울행 기차표 전쟁하느니 한시간 더 타고 종점에서 골라탈수 있음

해운대 광안리 오션뷰 다 내꺼

롯데 사직도 직관 가능

부산 남자 싸나이 여자 귀여움
안티프라그
25/07/08 17:11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노동법 제일 안지키는 곳 = 중앙직 공무원, 국회 의원실, 대통령실
답이머얌
25/07/16 19:19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큰 힘에는 큰 책임이...

말단이야 어느 조직이건 고생하는건 당연한거고.
25/07/08 17:26
수정 아이콘
저는 최종 면접 탈락해서 가고싶어도 못가는 곳이 되었네요 크크
25/07/08 17:40
수정 아이콘
애초에 따로뽑으면 티오예측이 틀렷다쳐도 이런일이 발생해서는 안되는거 아닌가요.. 저게힘드니뭐니해도 따로뽑다보니 들어오고 나갈진 몰라도 일단 채용 자체는 경쟁률 박터져서 예비자 뽑아도 줄을 서있는 수준인데 ....
No.99 AaronJudge
25/07/08 18:36
수정 아이콘
아니 뭐야
사람이 부족했으면 일반행정(고용노동부제외)를 그만큼 줄이고 고용노동부 배정 티오를 왕창 늘렸으면 되었을 것을;;;
아밀다
25/07/08 19:16
수정 아이콘
원래 7급이 해야 하는데 몇해 전부터 9급들도 시키고 있습니다.
이카리 신지
25/07/08 19: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노부 직렬을 따로 뽑는데 일행의 절반을 고노부 발령하는 것은 취업사기죠.

지난달에는 대통령경호처 공채 원수접수기간 중에 시험취소를 공지해버려 수많은 수험생들을 울리게 했죠.

수험생들의 신뢰보호는 엿바꿔먹었나 봄.
25/07/08 19:41
수정 아이콘
이 갈릴 합격자들이 한둘이 아니겠네요.뭔 이런 사고를
바람기억
25/07/08 19:47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788405
관련 기사를 첨부합니다.

저도 몰랐었는데 본문의 사례가 최근 몇 년 동안 전무했던 건 아닌 모양입니다. 다만 말도 안 되게 올해가 많은 건 사실이고요.
이카리 신지
25/07/08 20:35
수정 아이콘
해당 부처의 주된 직렬과 다른 직렬을 뽑는 경우는 꽤 흔하죠. 그러나 이는 다른 직렬의 전문성이 필요하거나 TO부족분을 채우기 위한 보충적 역할에 그쳐야지, 정부정책에 필요한 인력이 부족하다는 이유만으로 타 부처 몫까지 싸그리 긁어가는 것은 막가파식 인사행정입니다.

고노부 직렬을 독립해서 뽑은 것은 문재인 정권때부터였는데, 박근혜 정권때 이미 확정된 2017년 7,9급 공채 TO를 건드리지 않고 하반기 추가공채를 실시해서 뽑았습니다.
손꾸랔
25/07/08 21:04
수정 아이콘
공무원 총 정원을 늘릴 수 없는 사정이 작용하지 않았나 싶기도 한데, 그래도 신입의 절반 가까이를 고용노동부에 몰아준건 확실히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보이네요.
바람기억
25/07/08 21:06
수정 아이콘
17년도 추가 채용에 대해 찾아보니 꽤 선발했었네요. 말씀하신 것처럼 만일 노동부에 인원이 필요했다면 별도로 공채를 진행하는 게 더 적절한 방법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손꾸랔
25/07/08 21:00
수정 아이콘
공무원 선발배치 계획 세우고 공고한 시점 후에 진짜배기 '빠르게 가!' 정부가 들어서고 새 정책을 즉각 반영하다 보니 이런 사태가 벌어진 모양이네요.
만약 선호 부서의 문호가 확 넓어졌으면 말도 안 나왔을테니 일반행정 직렬 특유의 운수 소관이라고 할 수도 있겠죠. 하지만 당사자 개개인한테는 중요한 문제이니 국민 관점에서 사이다 맛의 추진력도 좋지만 적절한 완급조절도 필요해보입니다.
지구돌기
25/07/09 02:11
수정 아이콘
근로감독관을 노동경찰로 바꾸고 대폭 증원한다고 해서 그쪽으로 많이 보내나보군요.
잘 모르는 사람들은 근로감독관 증원을 노동계 자리 만들기라고 비난하던데, 사실은 기피직종 공무원...
지구돌기
25/07/09 02:16
수정 아이콘
저는 사기업 다니지만, 예전에 제가 입사했을 때도 기술직으로 공대생들 뽑아놓고 그 중 일부를 영업으로 보냈었죠.
뭐 기술영업이라고 볼 수 있지만 영업할거라곤 1도 생각 못하고 들어왔었던 상황이라 동기들 사이에 불만이 엄청많았었고 결국 몇년 안되서 많이 나갔었습니다.
공채 제도는 다 비슷한 문제들이 생기는 거 같습니다.
마텐자이트
25/07/09 22:19
수정 아이콘
대체 무슨일은 이따구로 하나요. 
인사가 만사인데 말아먹었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733 [일반] 고대 그리스 남성은 왜 늦게 결혼했나? -1 [8] 市民 OUTIS5735 25/08/12 5735 2
104732 [정치] 전당대회 때부터 구도를 보면 이재명 VS 문재인&김어준&정청래 구도 같네요. [189] petrus11602 25/08/12 11602 0
104731 [일반] 트럼프 "워싱턴DC 경찰 직접 통제…주방위군도 투입" [44] 유머9441 25/08/12 9441 2
104730 [정치] 서희건설에서 김건희로, 서서히 맞춰지는 조각들 [66] 빼사스10676 25/08/11 10676 0
104729 [정치] 조국·정경심·윤미향·최강욱 광복절 특별사면 [445] 카루오스21885 25/08/11 21885 0
104728 [일반] 국전? 홍대? 아니 씹덕은 원래 용산이었다....(사진다량 스압주의) [31] 웃어른공격7616 25/08/11 7616 12
104727 [일반] 전설의 박승동 복행렬 사건의 진실 [14] vasdesd9088 25/08/11 9088 0
104726 [일반] 사회면으로 확산되는 일본 고교야구 폭행 사건 [33] 간옹손건미축9779 25/08/11 9779 3
104725 [일반] [리뷰] 좀비딸(2025) – 치매에 걸린 딸을 바라보는 아빠의 시선 (스포있음) [39] Eternity7897 25/08/10 7897 7
104724 [정치] 대통령의 특별사면권, 이대로 괜찮은가? [203] 내일은주식왕13284 25/08/10 13284 0
104723 [일반] "WTO 종식" 선언 - USTR 제이미슨 그리어의 NYT 기고 [30] 스폰지뚱9018 25/08/10 9018 6
104722 [일반] 여름을 그리는 밴드 요루시카 ('전생' 후기 및 추천곡들) [15] 대장햄토리5274 25/08/10 5274 4
104721 [일반] [서평]성숙의 보류, 해리·회피 애착으로 보는 《새의 선물》 [3] 계층방정4927 25/08/10 4927 5
104720 [일반] 가난했던 합스부르크는 어떻게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되었나 [2] 식별5501 25/08/10 5501 9
104719 [정치] 값싼 전기 시대의 종말, 한국 제조업의 미래는? [129] 깃털달린뱀12897 25/08/09 12897 0
104718 [일반] <발레리나> - 살짝의 변주, 호불호도 한스푼. (노스포) [12] aDayInTheLife6366 25/08/09 6366 1
104717 [일반] 조스의 등지느러미 출현 : 스티븐 미란이 연준 이사에 지명 [17] 스폰지뚱8732 25/08/09 8732 4
104716 [일반] [강스포] '발레리나' 후기 [9] 가위바위보8865 25/08/08 8865 3
104715 [정치] 김문수 "계엄으로 누가 죽거나 다쳤나" 다른 후보들 & 민주당 반응 [173] Davi4ever17846 25/08/08 17846 0
104714 [일반] [방산] 호주 호위함 사업은 일본이 가져갑니다. AUKUS & KGGB [26] 어강됴리9699 25/08/08 9699 3
104713 [정치] 尹 구치소 CCTV 공개되나.. 김계리 "모두 공개하고 마녀사냥 멈춰라" [63] 자칭법조인사당군11301 25/08/08 11301 0
104712 [정치] 방미 중 일본 각료 “미국, 관세 대통령령 적시 수정키로” [17] 시린비7101 25/08/08 7101 0
104711 [정치] 우파 포퓰리즘보다 엘리트 보수주의가 먼저 망했다 [33] 베라히7751 25/08/08 775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