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24 23:53:06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876694406
Subject [일반] <전,란> - 한국판 그래픽 노블을 기대해..도 될까요? (노스포)
<전,란>을 이제야 봤습니다. '박찬욱 제작'이라는 타이틀을 두고 언젠간 봐야지 봐야지 해놓고선 이제야 보게 되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많은 측면에서 2014년 작품인 <군도: 민란의 시대>가 떠오르는 작품이기도 했습니다.

<전,란>의 최대 강점은 액션과 영상미에 있다고 생각해요. 원래 제목을 '한국판 <씬 시티>'를 두고 이야기를 해볼까란 생각이 들었을 정도로 되게 인상적인 영상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측면에서는 영화로 옮기는 것 보다 그래픽 노블로 옮겼으면 어땠을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해요. 어떤 측면에서는 <구르믈 벗어난 달처럼>이 떠오르기도 하구요. 꽤나 독특한 시퀀스를 꽤 인상적으로 그려냈습니다. 슬로우 모션을 쓰고, 적절히 과장을 섞으면서도 완전 허무맹랑해보이지는 않도록 짜여져 있다고 생각하구요.

저는 '대체로' 이 영화가 좋았습니다만, 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일단 서사와 액션의 톤과 방향성이 조금 어긋난 느낌이 물씬 풍깁니다. 영화가 담고 있는 서사에서 풍기는 분위기와 액션에서 보여주는 분위기가 조금 달라요. 그리고 그 방향성에서 의문점이 조금 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무겁고 비극적인 드라마와 액션 활극이 공존하는 느낌이라서 이 지점은 호불호가 갈리지 않을까 싶더라구요.

이 영화는 많은 부분이 앞서 언급한 <군도: 민란의 시대>와 닮아 있습니다. '민란'이 핵심인 점, 개인사와 역사를 적절히 섞어놓은 서사와 강동원이라는 존재 등등이 있습니다. 또 다른 측면에서는 강한 레퍼런스의 존재감인데, <군도>가 타란티노의 냄새, 특히 <장고>의 냄새가 짙은 영화였다면, <전,란>은 <300>을 비롯한 그래픽 노블의 영화화 버전의 느낌이 물씬 풍깁니다. 어찌보면 어떤 측면에서는, 이게 극장 영화가 아니라 넷플릭스 영화기에 어느 정도의 기시감은 적절히 넘어갈 수 있는 지점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p.s. 다행히, 이번에는 주인공이 강동원이라 반대편에 감정이입하진 않겠... (농담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이징패스트볼
25/05/25 17:03
수정 아이콘
그렇죠. 많은 부분에서 <전란>과 <군도>가 유사성이 있죠. 근데 이상하게 저는 <군도>를 보고 굉장히 별로였던 반면에 <전란>은 꽤 재밌게 봤단 말이죠. 왜 그랬을까를 생각해보면 결국 영화 전체의 감정의 일관성에서 오는 차이인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군도>는 타란티노의 스타일을 가져왔지만 그게 먹히기에는 강동원 파트가 너무 무겁고 끈적했다고 생각합니다. 뭐 서로 죽고 죽이고, 유혈낭자하고 이런건 괜찮은데 그게 비극으로 다가오게되면 좀 느끼해져요. 그게 나쁘다는게 아니라 타란티노 스타일과 섞이기에는 너무 안어울리는거죠. 한쪽에서는 하정우랑 마동석이 그 면상들로 서로 18살이네, 25살이네 이러면서 유치하게 놀고 있는데, 다른 한쪽에서는 강동원이 세상에서 가장 상처받은 사람이 되서 그 상처를 다른 사람에게도 전염시키고 있는 연기를 하고 있어요. 그에 반해 <전란>은 약간은 엉성할지언정 중심이 되는 스토리와 분위기를 그래도 일관되게, 우직하게 밀고 갔던 게 호감요소였던 것 같습니다.
aDayInTheLife
25/05/25 18:50
수정 아이콘
그게 비주얼과 서사의 비중이 겹치다보니 [강동원 어떡해…]가 되었고 결국 타란티노식 화끈한 서사가 사라진 거 같거든요.
타란티노의 인물들은 서사의 매력이 아니라 대사의 매력이 두드러지는 인물들이구요.
전란은 그런 측면에서 적어도 레퍼런스는 잘 가져온 거 같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605 [일반] 동기부여와 정신승리 번개맞은씨앗3993 25/07/25 3993 0
104604 [일반] 7월초 기준 미장/중국장/국장 개인투자자들 성적표 [34] 독서상품권6894 25/07/25 6894 0
104603 [정치] '북한과 통모’ 시도했나, '몽골 공작' 수사 [24] lightstone5795 25/07/25 5795 0
104602 [정치] 윤석열 대통령 집무실에 사우나 설치 [65] lightstone8404 25/07/25 8404 0
104601 [정치] [번역] 트럼프의 관세 전쟁, 유럽보다 미국이 더 큰 대가를 치르는 이유 [17] KOZE6893 25/07/24 6893 0
104600 [정치] 2030의 4050 혐오, 단지 위선과 여성우대 때문일까 [150] 방구차야9525 25/07/24 9525 0
104599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10] 공기청정기2700 25/07/24 2700 6
104598 [정치] 이준석의 예견된 실패, 자초한 비극 [79] 딕시9204 25/07/24 9204 0
104597 [일반] 얘, 느 집에는 이런거 없지? - Fig.1님 책 이벤트 인증입니다 [2] Broccoli2283 25/07/24 2283 4
104596 [일반]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 리뷰[스포주의] [16] 메카즈하1942 25/07/24 1942 1
104595 [일반] 중요한 건 내가 우위에 서는 것이다. 도덕에서라도. [2] 223.321950 25/07/24 1950 5
104594 [일반] 만약 제가 비열한 사람에 대한 사적 처벌을 목격했다면 [1] Pygmalion2763 25/07/24 2763 1
104593 [정치] 李대통령 지지율 64%…국민의힘 지지율 17% 최저치 경신 [58] Davi4ever7111 25/07/24 7111 0
104592 [정치] "다신 안 그럴거죠? 믿어요" '법원 폭동' 다 선처한 판사 [65] 카린7337 25/07/24 7337 0
104591 [일반] 진격의 거인을 보고 (스포 약간) [15] 이직신2039 25/07/24 2039 1
104590 [일반] 유럽에서 초지능이 태어날 가능성 [28] 번개맞은씨앗4841 25/07/24 4841 2
104589 [일반] 웃기는 트럼프의 첼시 클럽월드컵 우승 세레모니 [11] lightstone2274 25/07/24 2274 3
104588 [일반] 고이즈미 신지로가 바보 흉내를 내야만 했던 이유 [39] 페이커756530 25/07/24 6530 8
104587 [정치] "미국, 한국에도 15% 관세 조건으로 548조원 투자 요구" [85] 유머7775 25/07/24 7775 0
104586 [정치] 역린을 건든다 [187] 육돌이9055 25/07/24 9055 0
104585 [일반] AI채팅을 해보고 느낀 플랫폼별/모델별 차이 [20] 티아라멘츠3999 25/07/24 3999 5
104584 [일반] 제미나이와의 대화를 해봤습니다. [1] 된장까스3699 25/07/24 3699 0
104583 [일반] 골 때리는 일본의 극우정당 돌풍 [51] 헤일로6504 25/07/24 6504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