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5/18 23:09:45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869875116
Subject [일반] 책 후기 - <1973년의 핀볼>
원래 다른 책을 읽고 있었습니다. 공학에 대한 역사서를 읽고 있었는데, 도저히 진도가 잘 안나가서 책을 사서 쌓아놓기만 하고 정리가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있던 책 중에 가장 친숙한 작가의 책을 다시 들고 읽었습니다. 분량도 짧았구요.

<1973년의 핀볼>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입니다. 그리고, 스스로 얘기하듯, 주방 탁자에서 쓴 마지막 소설이기도 합니다. (이후 하루키는 전업작가가 됩니다.) 하루키의 소설은, 언제나 '상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의 현재 나이와 시점은 다르지만, 과거의 무엇인가를 '상실'했고, 그 상실로 인해 어딘가로 빠져드는 이야기에 가깝습니다.

<1973년의 핀볼>이 조금 다른 점이라면, 하루키의 대다수의 이야기는 상실과 다른 세계를 연결지어 이야기를 진행하는데 비해, 이번 작품은 꽤 '현실적'이라는 거겠죠. <노르웨이의 숲>과 유사하게, 기담이나 판타지적 요소를 줄이고 훨씬 현실에 천착한 이야기에 가깝습니다.

소설 내에서 '나'와 '쥐'의 서술자가 헷갈리게 쓰여있습니다만, 이야기 자체는 (부담없는 분량과 더불어) 막 되게 어렵나 싶은 생각이 들긴 합니다. 어떤 물건이나, 때때로는 어떤 장면, 경험 같은 게 어떤 시기를 떠오르게 하기도 하고, 또 그런 순간을 되돌아보게 하는 측면에서, '핀볼'이라는 건 입구인 셈이겠죠.

개인적으로 눈에 띄는건, 하루키의 초기작에서 드러나는, '단절'에 대한 이야기에 가까운 것 같아요. 하루키의 초기작들은, 긍정적인 결말이더라도, 관계를 끊는, 고립과 단절로 시작하는 것 같거든요. (반대로 후기작으로 갈수록 포용 같은 느낌이 더 많이 들기 시작하구요.) 저는, 솔직히 말하자면, 약간은 그 단절과 불연속에 대한 지점이 조금 더... 취향에 맞습니다. 개인적인 감상과 감정에 조금 더 맞는 느낌이긴 하거든요.

덧. 하루키 책인데 오랜만에 성적인 요소는 약간 숨어있을 뿐 대놓고는 별로 안보이긴 하네요. 아쉽다.(?)
덧2. 뭔가를 해야겠다.는 강박감 때문인지 이번 주말에는 유독 이것저것 많이 하게 되네요. 꼭 좋은 것 같진 않습니다만... 뭐 결과가 나오니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에이치블루
25/05/19 07:11
수정 아이콘
90년대에 노르웨이의 숲에 빠져서 그의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찾아 읽었더랬어요.

핀볼 기계를 찾아내는 장면이 떠오르네요. 저는 다 좋아합니다.
20대 때부터 지금까지도 늘 여러 생각을 하게 해주죠.
다른 작품과의 연결고리이자, 그 자체로도 기분 좋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aDayInTheLife
25/05/19 15:27
수정 아이콘
하루키를 추천하냐는 좀 애매하더라도, 저도 하루키의 (거의) 모든 책을 좋아합니다. 그 분위기는 하루키만 낼 수 있는 거 같아요.
25/05/20 08:52
수정 아이콘
저도 작년 말부터 갑자기 꽂혀서 하루키 장편소설들을 발표한 순서대로 읽고 있는데, 양 사나이와 쥐가 나오는 초기작의 느낌이 좋더라구요. 이후 하루키 소설의 모티프가 되는 모든 요소들이 함축되어 있는 것 같달까요. 그나저나 공학에 대한 역사서가 궁금하네요흐흐
aDayInTheLife
25/05/20 08:57
수정 아이콘
아 흐흐 디지털화에 대한 서적입니다. 디지털 이미지부터 시작하는데 여기서 넘어가질 못하네요. 크크크
25/05/20 10:37
수정 아이콘
이 책읽을까하다가 만엔원년의 풋볼알게되고 오히려 그책만 읽고 핀볼 이 책은 아직 안읽었네요
aDayInTheLife
25/05/20 11:43
수정 아이콘
흐흐 그거도 재밌나요? 추천해주시죠!
25/05/21 10:20
수정 아이콘
1973의 핀볼이 만엔원년의 풋볼에 대한 오마쥬인것만 알고있습니다. 책은 뭐 익히 알고 있는 그시기 일본 소설입니다. 피폐하고 문장력 아름답고 중간에 읽기 힘들다가 마지막에 폭발하는 크크크
25/05/22 12:54
수정 아이콘
저는 출판본에 함께 묶여있는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가 더 취향이었습니다. 핀볼이 겨울 느낌이라면 바람은 여름 느낌인데, 제가 겨울보다 여름을 좋아해서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본격적인 성적 묘사도 좋지만(?) 하루키가 묘사하는 젊고 풋풋한 여성에 대한 묘사가 그렇게 좋더라고요. 시각 뿐 아니라 청각 촉각 후각을 모두 불러일으키는 그 느낌이 너무 생생하고 싱그러워서, 언제 읽어도 곧바로 저의 그 시절로 돌아가는 것 같습니다. 
aDayInTheLife
25/05/22 12:57
수정 아이콘
저는 따로 있는 책을 구매해서 그런지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는 아직 못읽어봤네요.
개인적으로 하루키의 묘사는 비슷한데가 있지만 저도 참 좋아하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364 [일반] 전기차 보급은 한국의 석유 의존도에 얼마나 영향을 줄 수 있을까? [23] 깃털달린뱀5201 25/06/23 5201 1
104363 [정치] 책 후기 - <기울어진 평등> [18] aDayInTheLife4839 25/06/22 4839 0
104362 [정치] 李대통령, 나토 정상회의 불참 [447] 시린비25957 25/06/22 25957 0
104361 [일반] 서로가 서로에게 없는 것을 좋아해 [17] 흰둥6041 25/06/22 6041 14
104360 [일반] 취향저격 시티팝 플레이리스트를 감상한 충격 [46] 똥꼬쪼으기7476 25/06/22 7476 6
104359 [일반] 美, 이란 직접 타격 단행…트럼프 "3개 핵시설 성공적 공격" [186] 전기쥐15081 25/06/22 15081 3
104358 [일반] 고려양, 대륙에 유행했던 원조한류 [4] 어강됴리5223 25/06/22 5223 3
104357 [일반] 자본주의 의사이야기 [26] TheGirl5979 25/06/22 5979 43
104356 [일반] [웹소설] 회귀수선전 완결 [27] VictoryFood5694 25/06/22 5694 5
104355 [일반] 근거를 대지 말라 [10] 번개맞은씨앗5175 25/06/21 5175 8
104354 [일반] 영화 두 편, <엘리오>와 <퀴어> [4] aDayInTheLife3221 25/06/21 3221 2
104353 [정치] 지금 민주당발 검찰개혁안은 심각한 위험이 있다는 장애인권변호사의 지적. [199] 구경남b12070 25/06/21 12070 0
104352 [일반] 비가 오는 날에는 고양이죠. [8] 대단하다대단해3756 25/06/21 3756 1
104351 [일반] 28년 후...감상(스포) [22] 로각좁4808 25/06/21 4808 3
104350 [일반] 동화 슈렉의 작가: 윌리엄 스타이그 [2] 오디세우스3917 25/06/20 3917 7
104349 [일반] [약하디 약한 스포일러] '케이팝 데몬 헌터스' 를 봤습니다. 재미있네요. [17] 카페알파6923 25/06/20 6923 5
104348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6 [7] Poe4269 25/06/20 4269 33
104347 [일반] 원인을 알 수 없었던 정강이뼈 무릎 통증, 희안한 수면장애, 치질 증세... [72] 모데나10394 25/06/20 10394 7
104346 [정치] 검찰, 김건희 육성 4년만에 ‘우연히’ 발견 [124] 전기쥐13202 25/06/20 13202 0
104345 [정치] 국민의힘과 개혁신당은 언제 합쳐질까요? [57] 베라히7537 25/06/20 7537 0
104344 [일반] 코스피가 3000선을 돌파했습니다. [113] 물러나라Y7851 25/06/20 7851 6
104343 [일반] 경매에 대한 이론의 모든 것 [7] 오디세우스4138 25/06/20 4138 15
104342 [정치] 여러분의 눈에는 어떻게 보입니까? (feat. G7, 삿대질, 이준석) [139] 덴드로븀14820 25/06/19 1482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