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30 22:13:13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3851599931
Subject [일반] <썬더볼츠*> - 부연설명 없이도 괜찮은. (노스포)
저는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를 꽤 좋게 본 사람에 속할 겁니다. 좋은 영화라고 생각하는건 아니지만, 꽤 '괜찮았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아쉽다는 얘기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전작(들)의 빈 그림자를 인정하는 부분이 있기도 하고, 또 이동진 평론가의 평처럼 좋았던 순간들도 '이만하면' 혹은 '최근을 고려하면'이 안 떠오르는 영화는 아니었으니까요.

그렇다면, <썬더볼츠*>는 어땠을까요. 저는 이 영화를 요약해서 표현하자면, '하자있는 사이드킥들이 하자있는 슈퍼히어로로 거듭나는 이야기'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저는 꽤 좋았고, 딱히 부연설명을 붙이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영화의 접근이나 방법에서는 전작이나 다른 작품들의 흔적이 많이 보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메인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옐레나부터 <블랙 위도우> 솔로 무비에서 등장했고, 하자있는 오합지졸의 좌충우돌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시리즈, 액션은 '논-슈퍼'하면서 탈인간적인 기조로 군데군데 <캡틴 아메리카> 시리즈 같기도 하구요. 때때로 영화의 기조는 (아마도) 옆동네의 <수어사이드 스쿼드>를 처음 그리면서 생각했을 그림과 닮아있기도 합니다.

이 모든 요소들이 최상급으로 다뤄졌다고 하긴 좀 애매할 것 같습니다만, 그 배합과 맛은 잘 살려놓은 영화같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비유를 하자면 있는 재료 가지고 때려부어서 잡탕밥을 만들었는데, 생각보다 맛있는 느낌이 듭니다. 저는 이게 생각보다 톤과 연기의 힘이 좋은 영화라서 그런게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어요.

그러니까, 영화는 저 밑으로 처질 수 있는 소재로, 저 밑으로 처지지는 않고, 적절하게 유머로 분위기를 띄우면서도 너무 가벼워지진 않는 영화 같아요. 그리고 그 톤을 잘 잡은 그림과 연기가 매력적입니다. 앞서 '하자있는' 인물들이라고 했는데, 각자의 인물들이 각자의 어려움과 각자의 문제를 안고 있는 인물들입니다. 좀 농담스럽게 말하자면, '남은 재료'라고 할 수도 있는 인물들인데(메인 인물들이 거의 다 영화-드라마 등장인물들이라) 이 인물들의 매력을 잘 살리면서도, 하나의 팀으로 엮이는 장면을 잘 그려냈다고 생각해요. 물론, 너무 쉽게 넘어가는 부분들이 없는 건 아닙니다만, 뭐, 이정도는 넘어갈 수 있는 전개가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영화는 그런 점에서, 묘하게 심리극을 닮아있기도 합니다. 어떤 장면에서는 개인적으로 <보 이즈 어프레이드> 류의 심리극이 떠오르기도 했어요. 영화의 다양한 요소들이 하나하나 최상급으로 그려지고 또 할당받았다고 하긴 애매하겠지만, 각자의 매력과 포인트는 잘 짚어낸 느낌이라고 해야할까요. 그래서, 저는 인물들이나 팀은 부연설명이 필요하기에 *표시가 붙었지만, 영화 자체는 부연설명 필요없이 꽤 괜찮은 작품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다만 한 가지 생각해야 하실 점은, 영화가 약간은 소품스럽긴 합니다. 그러니까, 메인 시리즈라고 할 수 있는 <캡틴 아메리카>와 <판타스틱 4> 사이에 나오는 징검다리의 역할이라고 볼 수도 있어서, 스케일이나 액션씬의 퀄리티에서 '여름철 블록버스터'로 보기에는 좀 아쉬운 부분이 있습니다만, 뭐 즐거우니까요. 흐흐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이넨샤말
25/04/30 22:19
수정 아이콘
저도 방금 보고와서 글을 하나 쓸까 하다 댓글로 달아봅니다.

- 액션에 강점이 있는 영화는 아닌 듯 합니다.
어느 정도 액션 신이 있긴 하지만,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의 공중전 같은 인상적인 액션은 아니네요.

- 등장인물이 많은 편인데 생각보다 캐릭터 활용은 괜찮네요.
기존 캐릭터 뿐 아니라 신규 캐릭터들도 꽤 인상적이었습니다.
배우들 연기도 좋은 편이고요.

- 개인적으로 연출이 맘에 드네요.
캐릭터간의 티키타카도 좋고, 살짝 섬뜩한 장면도 괜찮고...

- '엔드게임' 이후로 재미있게 본 마블 영화가 3편 정도인데
이 영화는 살짝 그 쪽으로 집어넣고 싶네요.

- 발렌티나 알레그라 드 폰테인은 특유의 속을 알 수 없는 듯 한 분위기가 맘에 들었었는데
이 영화에서는 살짝 캐릭터가 가벼워진 것 같아서 아쉽습니다.

- 보실 분들은 '팔콘과 윈터솔저'와 '블랙 위도우'는 요약본으로 라도 봐 두시는게 좋겠네요.
'앤트맨과 와스프'는 굳이 챙겨볼 필요까지는...

- 쿠키는 2개 입니다.

- 태스크마스터는 '블랙 위도우'에서도 그랬지만 참 취급이 안 좋네요.
이럴꺼면 굳이 올가 쿠릴렌코를 캐스팅할 필요가 있었을까...
aDayInTheLife
25/04/30 22:28
수정 아이콘
왜 올가 쿠릴렌코를 캐스팅해서…(2)
글에서 언급했지만 그 톤과 매력은 배우들과 연출에게 공이 가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매력적인 잡탕밥(?)이라고 해야할까요 크크
25/04/30 22:28
수정 아이콘
엔드게임 이후 나온 MCU 영화 중 삼스파와 가오갤 다음으로 볼만했습니다.
(참고로 전 토르 러브앤썬더도 재미있게 봤습니다;;)
보면서 들었던 생각은... '이건 블랙위도우2 라고 생각해도 되겠다.'...
캡틴마블과 블랙팬서 덕분에 기대치가 낮아져서 더 그럴지도 모르겠지만 재미있었습니다.
aDayInTheLife
25/04/30 22:29
수정 아이콘
가오갤이나 삼스파 모두 여파에 대한 영화이긴 한데…
너무 깊게 들어가면 스포일러같긴 한데, 약간 이 영화는 대놓고 어벤져스의 변주 느낌이 강하긴 한 느낌입니다. 배경이나 뭐 그런게 거의 다요.
25/04/30 22:31
수정 아이콘
삼스파 가오갤 다음이라면 극찬이네요
이제 마블 기대치가 상당히 내려갔는데 볼만 하겠군요
꿀멀티
25/04/30 23:06
수정 아이콘
엔드게임 이후의 마블영화들 중에선 그래도 볼만한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영화를 다 보고 난 다음 가장 기억에 남는 건 쌩뚱맞은 판타스틱4 아이맥스 카운트다운이네요.
제발 판타스틱4는 기대이상의 영화가 뽑혀주길 바래봅니다.
aDayInTheLife
25/04/30 23:08
수정 아이콘
판타스틱 4… 지금까지 판타스틱 4 영화화는 다 망했는데 과연..
카이넨샤말
25/04/30 23:12
수정 아이콘
문화의 날을 맞이하야 일반관에서 봤더니 아이맥스 카운트가 새삼 궁금해지네요. ^^
aDayInTheLife
25/05/01 09:47
수정 아이콘
살짝 언급드리자면, 폴아웃 풍의 60년대 풍 그래픽 카운트입니다 크크
25/04/30 23: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극장에서 크레딧 올라가는 화면 보며 댓글 답니다.
아참, 쿠키는 두 개입니다. 다 보시고 나오세요!

새로운 스토리텔링에 만족했습니다. 마블이 이제는 이런 식으로도 이야기 잘 만드네요.

그런데 좀 불안하달까, 그런 느낌적인 느낌이 있습니다. 예전에 일본에서 잃어버린 00년 동안 노래 가사에 맨날 [히토리쟈나이=넌 혼자가 아니야]뭐 이런 류의 내용이 가득 찼다는 썰을 들은 적이 있거든요. 물론 현대 사회가 가면 갈수록 파편화되기에 이런 휴먼 네트워크에 대한 이야기가 중요해질 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죠. 다만 너무 편중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아무튼 재미있게 잘 봤습니다.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 영화관은 7천원! 개꿀! 크크크
aDayInTheLife
25/04/30 23:24
수정 아이콘
개꿀!..은 아이맥스 봤구나.. 젠장..
25/04/30 23:19
수정 아이콘
지난 몇 년간 마블 영화 빠짐없이 보면서 엔딩 크레딧 올라갈 때마다 '아 이젠 거의 뭐 신앙심으로 보는 거라 이런 것도 돈 주고 보는 거지' 하면서 씁쓸한 적이 많았는데, 오늘은 정말 오랜만에 즐기면서 봤네요! 성난 사람들 감독, 극본가가 참여했다던데, 이 드라마를 얼른 봐야겠다 싶기도 했고요. 내년 어벤져스를 별로 기대하지 않았는데, 슬금슬금 다시 기대됩니다!
aDayInTheLife
25/04/30 23:25
수정 아이콘
기대감이 또.. 올라간다!?
HighlandPark
25/05/01 15:19
수정 아이콘
성난사람들 진짜 재밌습니다
에반스
25/04/30 23:21
수정 아이콘
전 하도 마블 영화에 실망을 해서 그런지 몰라도 브레이브 뉴 월드보다도 훨씬 재밌게 봤습니다.
뭔가 이제 드디어 대장역 해야될 캐릭터가 나온것 같은 느낌... 브레이브 뉴 월드때 느꼈던 느낌은..
'아 근데 쟤가 이제 어벤저스 영화 나오면 포스터 한 가운데 중심 딱 잡아줄 크기의 캐릭터인가?' 무게감이 너무 떨어지는거 아닌가? 라는 느낌이었다면

이번에 엘레나는 쟤 정도면 대장해도 되겠네... 싶은 느낌의 이미지입니다. (물론 썬더볼츠 컨셉상 실수도 많이하고 겁나 얻어터지긴 하겠지만)
그만큼 매력적이고 무게감이 확실히 있어보여요. 연기를 참 잘했다 싶습니다.

영화 내부적으로 보면 동료 모으는 부분까지는 진짜 흥미진진했는데 마지막 센트리 부분은 솔직히 말하면 좀 많이 졸렸습니다.
이게 결국 파워 그래프상으로 상대가 안되는 대립을 붙여놓다보니 저런식으로 마무리를 해야되는건 이해를 하는데...
저런식으로 기승전결의 결부분을 마무리 짓는게 맞는건가 싶기도 하고.. 분명히 좀 다른 연출이었다면 더 좋았겠지 않았나 싶어요.

윗분도 말씀해주셨지만 이정도면 블랙위도우2 나와도 전세계적으로 흥행하지 않을까요.
2대 xxx 중에 현실적으로 제일 캐릭터 잘 잡아놓은게 블랙 위도우 아닌가... (캡아, 블랙팬서, 아이언맨... ㅠㅠ)
aDayInTheLife
25/04/30 23:25
수정 아이콘
센트리는 좀 애매한 캐릭터고 글 상에서도 언급한 얼렁뚱땅이 좀 모여있긴 하죠. 다만 뭐 영화가 즐거워서 용서되긴 하지만…
aDayInTheLife
25/04/30 23:30
수정 아이콘
별개로 저는 샘 윌슨이 부족함을 인정하는 논-슈퍼 히어로의 느낌이 매력적이긴 한데 그게 반대로 캡틴이라는 상징성에는 부족한 느낌이긴 하죠.
확실히 무게를 잡아줄 중심 인물로는 부적절하단 생각도 드네요.
에반스
25/04/30 23:42
수정 아이콘
결국 누군가는 영화 포스터 한가운데에 박혀야 하니 (저도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엔드게임떄는 캡아, 인피니티워때는 아이언맨 + 타노스 였네요)
좋든 싫든 그 무게를 짊어져야할 캐릭터가 되어야 한다고 봐요. 그런 의미에서는 지금 캡아는 쬐금 모자라고 사실 판4나 썬더볼츠 캐릭터들은 쌓아올린 서사가 너무 없는거 같긴합니다.

사실 그 과정을 페이즈5에서 열심히 쌓아올렸어야 했는데 헛방망이만 열심히 후려버린지라.. 급한대로 잘 만들어서 (일단 썬더볼츠는 합격점 주려구요) 둠스데이랑 시크릿 워즈에서 잘 해소 하기를 바래봅니다.
25/05/01 10:26
수정 아이콘
썬더볼츠의 메인은 누가봐도 옐레나인데, 원조격인 블랙위도우조차 사이드킥이라서....
현재는 토르가 그나마 정통성이 있다고 보여지긴 합니다.
25/05/01 00:19
수정 아이콘
둠스데이나 시크릿워즈 편에서도 중심을 잡아줄 히어로가 필요한데 지금 현재 상태에서 누가 돨지 감이 안잡히네요.엔드게임까지는 그티브와 아이언맨이 했었는데 그 이후에 나온 케릭터들을 묶어줄 중심 히어로가 딱히 안 떠오릅니다.
진짜 캡틴마블로 가려다가 상황이 돌아가는걸 보니 실패한건가 싶기도 하고요.
aDayInTheLife
25/05/01 07:56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무게 중심을 잡아줄 인물의 부재는 좀 커보이긴 하네요. 특히나 후발주자들이 전부 좀 미묘 내지 망해버려서…
25/05/01 10:26
수정 아이콘
토르: 난가??!
25/05/01 07:51
수정 아이콘
전 별로였습니다. 마블영화라는것만알고갔는데 아는 캐릭터도 없고 액션도 시원찮고
굳이 비유하자면 울버린 보러갔는데 로건 보고 온 기분.(로건만큼 재미있다는뜻은 아님니다.)
aDayInTheLife
25/05/01 07:55
수정 아이콘
흐흐 액션씬 차이는 좀 있긴 하죠. 지향점도 좀 다르긴 하구요.
25/05/01 10:36
수정 아이콘
최소 블랙위도우 정도는 보고 갔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실상 블랙위도우2편에 가깝거든요.
그나저나 아는 캐릭터가 없는 상태일 정도면 애초에 안보셨어야 하는게 맞는거 같아요;;;;
비유하신 것처럼 등장인물들이 전부 사이드킥 출신에, 딱히 특별한 능력이 있는게 아니라서요.
신의 능력을 가진 빌런을 피해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가는 장면이 상징적인 부분인데,
그런 장면을 받아들이는 관점의 차이에서 평가가 갈릴 거 같네요.
김퐁퐁
25/05/01 08:37
수정 아이콘
저는 애초에 마블을 그렇게 좋아하진 않습니다...만 원래 재미의 허들이 낮아서 웬만하면 다 재밌게 봅니다.
그래도 아이언맨 1,2,3 / 캡틴 아메리카 윈터솔져 / 가오갤 3 정도는 오 괜찮은데? 하고 본 정도입니다.(어벤져스는 아직 안봤습니다)
하지만 누가 뭐래도 제가 가장 감명깊게 본 마블 영화는 이터널스입니다. 인간을 꿈꾸는 히어로들에게 엄청나게 감정이 이입됐었네요.
주변인들은 아무도 이해 못하는데 영화 중간에 영화관에서 아이유맹키로 눈물이 차올라서 폭풍오열을 했었던 기억이 있네요.

여튼 이렇게 이상한데 꽂히는 사람이다보니 논-슈퍼 히어로라는 표현이 굉장히 매력적이게 다가옵니다.
마블영화를 간만에 기대하고 보게 되겠네요
aDayInTheLife
25/05/01 09:36
수정 아이콘
재밌게 보세요.
25/05/01 08:52
수정 아이콘
정말 재밌었어요. 저한테는 윈터솔저 급.

플로렌스 퓨 때문인지 계속 미드소마가 오버랩되기도 했고...

캐릭터들이 다 인상적이었습니다. 뭔가 하나씩 잔반 같은 구석이 있는 캐릭터들로 맛깔나게 볶음밥 한 판 비벼낸 느낌.
aDayInTheLife
25/05/01 09:36
수정 아이콘
잔반..이라는 표현이 틀리진 않은게 밥 정도 빼면 다 어디서 나오긴 했죠. 크크
그럼에도 맛깔나는 맛이구요.
왕립해군
25/05/01 10:56
수정 아이콘
현대인이 지닌 심리적 문제(트라우마,우울증,약물중독 등등)를 등장인물과 이야기로 잘 소화해내서 좋았네요.

액션 기대하고 보면 별로지만 서사로 본다면 재미있게 볼만 합니다
aDayInTheLife
25/05/01 13:52
수정 아이콘
서사의 흐름이 괜찮더라구요.
시린비
25/05/01 12:10
수정 아이콘
그럭저럭 재밌게 봤습니다 액션씬이야 뭐 틈틈히 있었고 내려가기 전 장면에서 충분히 보여주지 않았나 싶기도
이런 이야기도 있는거겠죠 마블이라고 다 똑같은 영화들도 아니니
몇몇 편의적인 진행이 있긴 했는데 뭐 장르물에서 이정도야 싶은 부분이고
수어사이드 스쿼드보단 훨씬 나은듯
aDayInTheLife
25/05/01 13:53
수정 아이콘
편의적 전개가 없는 건 아닌데 뭐 그걸 그렇게 안풀었다간 너무 복잡해지는 거죠 크크
타카이
25/05/01 12:31
수정 아이콘
소소한 유머코드가 좋았습니다
무거운 것도 나름 가벼운 마음으로 볼 수 있게 잘 만든 영화
블랙위도우를 보거나 그 기반 내용만 알고
어벤져스만 봤어도 무리 없이 소화가능한듯
aDayInTheLife
25/05/01 13:53
수정 아이콘
블랙 위도우하고 앤트맨 와스프만 보고 드라마는 안봐도 괜찮더라구요. 대략적 내용은 알았지만..
제랄드
25/05/02 08:37
수정 아이콘
저도 범작 정도는 되는 듯 합니다. 캡아4보다는 조금 더 나은 느낌. 액션은 별로 기대하면 안 되겠다는 건 첫 시퀀스에서 느꼈는데 의외로 나중에... 노스포 글이라 설명은 못하겠고 상당히 괜찮게 뽑은 장면도 있어서 만족스러웠습니다.
aDayInTheLife
25/05/02 08:40
수정 아이콘
액션이 저도 나름 괜찮은 편이긴 했는데 상급 내지 최상급 액션 영화는 아니더라구요.
44년신혼2년
25/05/02 15:39
수정 아이콘
슈퍼 히어로 액션 영화가 아닌 슈퍼 히어로 심리 치유 영화라는 장르를 만든게 아닐까 하네요. 크크
오늘 연차내고 쉬면서 영화 보는데 중요한 지점에 회사에서 전화 와서 대응하느라 중요부분 다 놓치고 엔딩 부분만 봤네요. 크
넷플릭스에 다시 나오길...
aDayInTheLife
25/05/02 15:41
수정 아이콘
아이고 고생하셨습니다. 크크
아마 마블이라 디즈니플러스 단독..일 것 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79 [일반] 챗지피티와 사라져가는 질문 대하여 - 질문이 사라진 집에서 [19] EnergyFlow5901 25/06/10 5901 5
104278 [일반] [방산] 오르카, FA-50, 인니 그리고 천무 [30] 어강됴리6681 25/06/10 6681 5
104277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3 [12] Poe5571 25/06/09 5571 44
104276 [일반] 그 남자는 과연 '천명'의 욕심이 없었을까 - 한 중국 교수의 논설 [204] 된장까스11461 25/06/09 11461 10
104275 [일반] 실사화의 어려움 (feat. 드래곤 길들이기), 스포 有 [15] 부대찌개5329 25/06/09 5329 2
104274 [일반] 드라마 광장을 봤습니다(확실하게 스포 포함) [50] 능숙한문제해결사9253 25/06/09 9253 0
104273 [일반] 9살의 이별편지 [10] Secundo5817 25/06/09 5817 21
104271 [일반] 재미있는 컨셉의 웹갤러리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4] 니체4244 25/06/09 4244 3
104270 [일반] 중국 정권변동? [93] 如是我聞16469 25/06/08 16469 2
104268 [일반] Intro. 사랑 유랑(流浪) [1] IoP4443 25/06/07 4443 1
104266 [일반] G7 확장 돌림노래, 그래서 한국이 들어간다는건가? [26] 어강됴리9001 25/06/07 9001 8
104265 [일반] AI 번역 능력 현재 어디까지 왔나 - 테스트 해봤습니다 [31] 여기8331 25/06/07 8331 15
104264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실사화를 보고 왔습니다(약 스포) [24] 44년신혼2년9844 25/06/06 9844 1
104263 [일반] 내가 죽어도 살아있을 기업: 버핏은 죽어도 코카콜라는 남는다 [24] Eternity9179 25/06/06 9179 5
104262 [일반] 일상잡담 [10] 로즈마리5341 25/06/06 5341 20
104261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2 [18] Poe5314 25/06/06 5314 38
104260 [일반] 해변에서 우연히 마작을 하게되다. [8] 가위바위보5966 25/06/06 5966 5
104259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0)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2) [4] 계층방정3446 25/06/05 3446 2
104258 [일반] 개발자, AI보다 싸다. [23] 타츠야13152 25/06/04 13152 4
104257 [일반]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 – 해외 생활 넋두리 [31] 쿠쿠다스12488 25/06/04 12488 79
104256 [일반] 웹소설 추천 : 섀도우 슬레이브 [17] 중년의 럴커7768 25/06/04 7768 5
104255 [일반] 영화 [신명] 관람 후기 [22] 아케르나르10277 25/06/04 10277 2
104254 [일반] 프로세카 극장판 감상문 (스포 포함) [3] 일사공사일육5332 25/06/03 533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