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23 00:47:14
Name 스물다섯대째뺨
Subject [일반] 무선 블루투스 송/수신기 사용기
제가 침대에 누워서 게임, 영상을 보는데 상당히 진심인데, 포터블 모니터에 폰이나 스위치를 연결해서 쓰려니까 사운드가 좀 많이 안좋아서 너무 괴롭더라구요. 근데 헤드폰이건 스피커건 대부분 유선제품만 있다보니  여기서 무선 송수신기를 달아서 쓰면 어떨까 라는 생각에 구매를 해봤습니다. 처음에는 분명히 알리발 저가 제품으로 시작했는데, 이게 아쉽고 저게 아쉽다보니 결국 처음부터 좋은거 쓸걸...하면서 돈만 2배로 썼네요.

저는 사실 막귀인데다 오디오 지식도 없어서 오히려 돈을 더 썼던거 같고, 또 대부분 송수신기보다는 무선전용 제품을 사용해서인지 이런 유선기기에 연결해서 쓰는 제품들 정보가 상당히 적더라구요. 이왕 이렇게 된거 간단히 사용기나 올려볼까 하고 적어봅니다.

일단 송신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
1. 알리발 만원 언더 usb형 송신기
- 기본적으로 고음질 무선코덱 잘 지원(aptx, aptx HD, aptx AD, aptx LL 등)
- 이런 사운드 송신기는 일반 블루투스 동글과 다르게 usb 사운드 장치로 인식되기 때문에 직접 블루투스 관리가 어려움
- 연결되면 그럭저럭 쓸만한데 페어링 자체가 죽을거처럼 불편하고 연결이 매우 불안정
- 노이즈가 상당히 많이 낌


2. 알리발 조금 더 비싼 usb형 송신기
- 역시 기본적으로 코덱들은 잘 지원
- 연결은 훨씬 안정적임, 노이즈도 상당부분 적어짐
- 다만 역시 블루투스 연결 관리가 힘들고, 역시 페어링을 시도하는데 대체 뭐랑 시도하는지 알수 없어서 그 부분 불편
- 딱 단일기기끼리 (폰 - 스피커) 연결하려면 괜찮을거 같지만 pc에서도 쓰고 폰에서도 쓰고 수산기나 이어폰등 이거저거 쓰면 불편


3. 크리에이티브 bt-w6
- 프로그램을 통해 연결 관리 용이
- 노이즈는 매우 개선되서 못느낌
- 비싸요.. 위에 저가 제품들과 비교하면 많이 비싸요. 이게 비싸서 망설이다가 괜히 돈 더들었네요


다음으로 수신기도 적어볼게요.
왠지 모르게 글 쓰면서 현자타임이 찾아오는거 같습니다

1. 역시 알리발 만원 언더 저가 수신기 (+ 유선 이어폰 or 헤드폰)
- 역시 나름대로 코급 코덱들은 잘 지원함 (블루투스 tweaker로 확인까지 해봤습니다.)
- 근데 연결할때마다 음량이 지멋대로 날뛰고 음질과 레이턴시가 살짝 애매함.
- 역시나 연결이 불안정해서 가끔씩 끊기는 경우 발생

2. qcy (hi-res인증) 무선 이어폰
- 고급코덱들 대부분 지원안하거나 LDAC만 지원 (LDAC은 안드로이드 폰 아니면 송신할 수 있는 방법이 제한적)
- aptx 계열 지원 안하는게 음악들을때는 상관없는데 영상, 게임용으로는 싱크문제로 불편
- 공간감이나 정위감등은 기대하기 힘듬(이건 제품따라 다를거 같네요. 게이밍용 모델도 있긴 한거 같습니다.)

3. fiio - btr 13
- 해외 구매시 이런 유사제품중 중 상당히 저렴(물론 위의 저가제품보다는 비싸더라구요)
- 블루투스 수신기능은 덤일뿐 내장된 dac, amp 성능이 상당히 괜찮다고함 (잘 모르지만 소리가 좋아진건 느껴지네요)


뭔가 엄청나게 많이 사고 쓴 기분인데 막상 적어보니 각각 3개씩이었네요. qcy이어폰은 수신기는 아니지만 구매한김에 같이 적어봤습니다.
오늘의 결론  : 그냥 무선이어폰, 스피커을 사서 쓰자. 라고 정리되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
25/04/23 09:23
수정 아이콘
혹시 bt-w6 pc에 쓰실때, 간헐적으로 usb 연결 끊기는 소리가 나는 현상은 없으신가요?
제가 그런 현상을 겪고 있는데, 로그로 봤을때 bt-w6이 원인인 것으로 보여서요.
실제로 연결이 끊기는 것은 아니고, usb 연결 끊기는 소리가 나면서 컴퓨터가 간헐적으로 렉이 걸립니다.
스물다섯대째뺨
25/04/23 10:34
수정 아이콘
혹시 usb 전원 옵션 살펴보셨나요? 저는 딱히 그런적 없는데 아마 미사용시 usb전력을 끄거나 하는 옵션을 예전에 꺼둔 기억이 있어서 혹시 그거 아닐까싶네요.
라즈베리파이
25/04/23 11:27
수정 아이콘
네 해당 옵션은 확인했고, 이게 로그로 봤을때 bt-w6이 하나는 연결되어있는데 하나 더 있고(?) 그게 연결이 끊기는 듯이 로그가 남아서요.
답변 감사합니다.
25/04/23 12:50
수정 아이콘
긴 선을 구하면 되잖습니까 버럭 저는 죄다 유선입니다
안군시대
25/04/23 15:04
수정 아이콘
이갓저것 해보다가 결국 블루투스 동글 + 아무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귀결하게 되더라고요. 브리츠급 중저가 헤드셋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럽게 사용중입니다.
Winter_SkaDi
25/04/24 12:08
수정 아이콘
저는 게임사운드는 블루투스로 썼을 때 딜레이가 있어서
동글이 있는 로지텍 G773, 소니 인존버즈, 삼성JBL 퀀텀TWS 이렇게를 상황에 맞게 돌려 쓰고 있는데 아주 만족중입니다.
액티비아
25/04/24 16:39
수정 아이콘
저도 알리에서 산 BT 송수신기들 여러개 다 버렸습니다. 아주 구식 BT버전아니고 코덱 지원하면 다 똑같은거 아닌가 했는데 그게 전혀 아니라는 걸 깨닫고 결국 다 순정 BT 기기로 맞추게 되더라고요.
심지어 키마 연결용 BT 동글도 별별 문제를 다 겪었습니다.

좀 오래된 얘기지만 레이턴시는 결국 해결 못하고 소니에서 나온 전용 헤드셋 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89 [일반] 맹물을 마시는데 전혀 갈증이 해소되지 않을때 [27] 김아무개9078 25/06/12 9078 4
104288 [일반] [영화공간] <인천상륙작전>에서 <바스터즈>의 향기를 느끼다 [6] Eternity4628 25/06/11 4628 8
104287 [일반] 오늘 나눈 대화 [10] 공기청정기4663 25/06/11 4663 4
104286 [일반] 논리와 시간 [39] 번개맞은씨앗8480 25/06/11 8480 0
104285 [일반] 러시아가 북한에 샤헤드-136 드론 생산 능력 제공 [37] 된장까스7476 25/06/11 7476 3
104284 [일반] 탕수육은 어딜가도 맛있다. [36] 인민 프로듀서6183 25/06/11 6183 10
104282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 더하지도, 빼지도 않은. (약스포) [2] aDayInTheLife4004 25/06/10 4004 1
104281 [일반]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웹 개발 지식 / 웹의 역사 [17] Fig.16766 25/06/10 6766 21
104280 [일반] 재미있는 역사 [19] 류지나5562 25/06/10 5562 10
104279 [일반] 챗지피티와 사라져가는 질문 대하여 - 질문이 사라진 집에서 [19] EnergyFlow6239 25/06/10 6239 5
104278 [일반] [방산] 오르카, FA-50, 인니 그리고 천무 [30] 어강됴리7112 25/06/10 7112 5
104277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3 [12] Poe5991 25/06/09 5991 44
104276 [일반] 그 남자는 과연 '천명'의 욕심이 없었을까 - 한 중국 교수의 논설 [204] 된장까스11938 25/06/09 11938 10
104275 [일반] 실사화의 어려움 (feat. 드래곤 길들이기), 스포 有 [15] 부대찌개5667 25/06/09 5667 2
104274 [일반] 드라마 광장을 봤습니다(확실하게 스포 포함) [50] 능숙한문제해결사9638 25/06/09 9638 0
104273 [일반] 9살의 이별편지 [10] Secundo6134 25/06/09 6134 21
104271 [일반] 재미있는 컨셉의 웹갤러리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4] 니체4566 25/06/09 4566 3
104270 [일반] 중국 정권변동? [93] 如是我聞19012 25/06/08 19012 2
104268 [일반] Intro. 사랑 유랑(流浪) [1] IoP4739 25/06/07 4739 1
104266 [일반] G7 확장 돌림노래, 그래서 한국이 들어간다는건가? [26] 어강됴리9358 25/06/07 9358 8
104265 [일반] AI 번역 능력 현재 어디까지 왔나 - 테스트 해봤습니다 [31] 여기8872 25/06/07 8872 15
104264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실사화를 보고 왔습니다(약 스포) [24] 44년신혼2년10172 25/06/06 10172 1
104263 [일반] 내가 죽어도 살아있을 기업: 버핏은 죽어도 코카콜라는 남는다 [24] Eternity9589 25/06/06 9589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