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3/07 15:14:31
Name 번개맞은씨앗
Subject [일반] 기술자적 유연성
:: 기술자적 유연성 ::

함수 f가 있습니다.

학자는 이렇게 말합니다.

학曰 : f를 모두 이해하기 전에 이는 진실이 아니므로 쓸 수 없다.

일반인은 이렇게 말합니다.

일曰 : f에 오류가 있는 이상 이는 불량품이므로 쓸 수 없다.

기술자는 이렇게 말합니다.

기曰 : f에 a를 넣어보니, b가 나오는군. b가 필요할 때 f를 써야겠어.

— —

학자와 달리,
기술자는 f를 이해를 못해도 쓸 수 있습니다.
입출력만 경험적으로 확인하면 됩니다.

일반인과 달리,
기술자는 오류가 나도 쓸 수 있습니다.

어떻게 오류가 나도 쓰는지
2가지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

예시 1 : 반복

오류가 날 확률이 10%입니다.
함수 f가 작동하는데 3초가 걸립니다.

m을 넣어봅니다.
원하는 건 학인데, 학이 나오는군요. 좋습니다.

n를 넣어봅니다.
원하는 건 고래인데, 상어가 나오는군요.

그러면 n을 다시 넣어봅니다.
이제 고래가 나옵니다. 6초 걸려서 해결했습니다.

즉 오류가 나면, 다시 하면 됩니다.
2번 반복한다고 할 때, 오류 확률은 1%입니다.
3번 반복하면 0.1%가 될 것입니다.

예시 2 : 전용

a를 넣으면 토끼가 나와야 하는데,
a를 넣었는데 도끼가 나옵니다.

오류가 나는 걸 자세히 보니,
그건 특징이 있습니다.

실은 a'도 함께 들어간 것이었습니다.
a'가 불량을 일으킨 거죠.

a ∩ a'를 넣었더니 도끼가 나온 겁니다.
내 목적에는 토끼가 나와야 하는데요.

이때 기술자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a ∩ a'를 f에 넣으면 도끼가 나오는군. 도끼가 필요할 때 f를 써야겠어.

즉 다른 목적, 다른 용도로
그 오류를 이용할 궁리를 합니다.

특정 목적에 있어서는
버그였던 걸
다른 목적에 유용하게 써먹는 겁니다.

— —

기술자는 언제 어떤 함수라 필요할지 모르니,
f, g, h, j, k ...
함수를 다양하게 수집합니다.

그 기술자가 차고에서 일한다고 해봅시다.
차고의 선반에 함수들이 다양하게 나열되어 있습니다.

기술자는 경험에 근거하여
그 입출력을 알고 있습니다.

필요할 때
갖다 쓰면 됩니다.

그는 평소에
함수를 모아야 합니다.
도구를 모아야 합니다.

새롭게 시도해보고,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관찰합니다.

이거 언젠가 쓸모 있겠는데?
그러고 수집해둡니다.

새로운 함수를 찾기도 하고,
이미 있는 함수에
새로운 입력을 넣어보기도 합니다.

함수를 새롭게 하거나,
함수의 도메인을 새롭게 확장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두 함수를 결합하면 어떻게 될지 생각해봅니다.

궁금하니 시도해봅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기억해둡니다.

만약 기억력이 부족하다면,
잘 기록해둡니다.
나중에 찾기 쉽게 잘 기록해둡니다.

그러나 모든 걸 기록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어떤 건 입출력이 직관적입니다.

그런 건 기록할 수 없습니다.
기억해둡니다.

그가 만약에 기술자적인 몰입을 했다면,
잘 기억되어서, 필요한 순간에 딱 떠오를 것입니다.

— —

기술자는 심지어
타인도 이렇게 봅니다.

기술자적 유연성이란,
타인과 협업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인 것입니다.

n을 넣어봅니다.
상어를 가져다줍니다. 오류입니다.

n을 다시 넣어봅니다.
고래를 가져다줍니다. 해결되었습니다.

타인을 이해를 못하겠다면서
나는 저 사람이랑 같이 일 못해!

라고 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경험을 쌓으면 될 일입니다.

내가 원하는대로 해주지 않는다고
저 사람은 불량품이야!

라고 하지 않습니다.
다시 요청하면 됩니다.

또는 다른 사람에게 요청하면 됩니다.

— —

지금까지 이야기한 건
단순화해서 말한 것입니다.

실제로는 학자들 중에도
기술자적 유연성을 가진 사람들이 많고,

일반인들 중에도
다른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기술자적 유연성이 높은 사람들이 있을 것이며,

직업이 기술자인데
유연성이라고는 형편없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전기쥐
25/03/07 15:22
수정 아이콘
프로그래머 : 함수 f에 a를 넣었는데 왜인지는 모르겠지만 어떻게든 f(a)가 나와서 불안하네요.
유리한
25/03/07 15:25
수정 아이콘
프로그래머: 어?
노둣돌
25/03/07 15:25
수정 아이콘
기술자를 존경하게 됐습니다.
본 받아서 잘 활용하겠습니다.
25/03/07 15:56
수정 아이콘
재밌는 글이었고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네요.
이글의 제목은 [기술자적 유연성]이 아니라, [사고의 유연함에 대하여]가 맞지 않겠느냐 라고요.
25/03/07 17:23
수정 아이콘
원래 공학은 과학보다 유연합니다.
모링가
25/03/07 17:50
수정 아이콘
이제 0을 0으로 나눠볼까요?
바닷내음
25/03/07 21:52
수정 아이콘
f(a) 를 넣으면 b가 나오게 짰는데 한방에 b가 나오네요
….제대로 짠거 맞나??????????
안군시대
25/03/08 01:09
수정 아이콘
제가 기술자인데 기술자들 그렇게 유연하지 않습니다(엄근진)
그놈의 채신기술 사용해야 한다면서 프로젝트를 엉망진창으로 만들어버린 이xx, 김xx.. 잊지않겠다. 리팩토링 한답시고 코드를 개판으로 만들어놓고 퇴사해서 한달동안 버그잡느라 고생하게 만든 박xx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282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 더하지도, 빼지도 않은. (약스포) [2] aDayInTheLife4064 25/06/10 4064 1
104281 [일반]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웹 개발 지식 / 웹의 역사 [17] Fig.16877 25/06/10 6877 21
104280 [일반] 재미있는 역사 [19] 류지나5628 25/06/10 5628 10
104279 [일반] 챗지피티와 사라져가는 질문 대하여 - 질문이 사라진 집에서 [19] EnergyFlow6311 25/06/10 6311 5
104278 [일반] [방산] 오르카, FA-50, 인니 그리고 천무 [30] 어강됴리7195 25/06/10 7195 5
104277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3 [12] Poe6062 25/06/09 6062 44
104276 [일반] 그 남자는 과연 '천명'의 욕심이 없었을까 - 한 중국 교수의 논설 [204] 된장까스12017 25/06/09 12017 10
104275 [일반] 실사화의 어려움 (feat. 드래곤 길들이기), 스포 有 [15] 부대찌개5749 25/06/09 5749 2
104274 [일반] 드라마 광장을 봤습니다(확실하게 스포 포함) [50] 능숙한문제해결사9729 25/06/09 9729 0
104273 [일반] 9살의 이별편지 [10] Secundo6226 25/06/09 6226 21
104271 [일반] 재미있는 컨셉의 웹갤러리 하나 소개해 드립니다 [4] 니체4632 25/06/09 4632 3
104270 [일반] 중국 정권변동? [93] 如是我聞19105 25/06/08 19105 2
104268 [일반] Intro. 사랑 유랑(流浪) [1] IoP4806 25/06/07 4806 1
104266 [일반] G7 확장 돌림노래, 그래서 한국이 들어간다는건가? [26] 어강됴리9432 25/06/07 9432 8
104265 [일반] AI 번역 능력 현재 어디까지 왔나 - 테스트 해봤습니다 [31] 여기8984 25/06/07 8984 15
104264 [일반] 드래곤 길들이기 실사화를 보고 왔습니다(약 스포) [24] 44년신혼2년10234 25/06/06 10234 1
104263 [일반] 내가 죽어도 살아있을 기업: 버핏은 죽어도 코카콜라는 남는다 [24] Eternity9651 25/06/06 9651 5
104262 [일반] 일상잡담 [10] 로즈마리5760 25/06/06 5760 20
104261 [일반] 조금 다른 아이를 키우는 일상 12 [18] Poe5850 25/06/06 5850 38
104260 [일반] 해변에서 우연히 마작을 하게되다. [8] 가위바위보6422 25/06/06 6422 5
104259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0) - 뒤늦은 깨달음, 경시제 유현 (2) [4] 계층방정3919 25/06/05 3919 2
104258 [일반] 개발자, AI보다 싸다. [23] 타츠야13621 25/06/04 13621 4
104257 [일반]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 – 해외 생활 넋두리 [31] 쿠쿠다스12957 25/06/04 12957 7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