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2/16 02:57:13
Name INTJ
File #1 다운로드파일.jpg (100.4 KB), Download : 2621
File #2 다운로드파일_20250216_025123.jpg (104.9 KB), Download : 2604
Subject [일반]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와 스토브리그






초인, 백강혁과 백승수, 그리고 나

드라마 중증외상센터와 스토브리그를 보며 느꼈던 감정은 단순한 재미를 넘어선 어떤 해방감이었다. 두 드라마 모두 각자의 분야에서 압도적인 능력을 가진 주인공이 등장한다. 한 사람은 중증외상센터에서, 한 사람은 프로야구 프런트에서, 각자의 무대에서 초인적인 능력과 의지를 발휘하며 불합리한 현실과 맞선다. 그리고 끝내 이겨낸다. 나는 그 모습이 너무도 짜릿하고 감동적이었다.

왜일까. 단순히 그들이 똑똑하고 유능하기 때문이었을까? 물론 그것도 있다. 하지만 그보다 더 나를 사로잡았던 건 그들이 직면하는 상황 자체였다. 병원의 비효율적인 시스템, 정치 싸움, 무능한 상사, 부당한 외압, 변화에 대한 저항. 어딘가 익숙하지 않은가? 회사에서, 조직에서, 현실에서 나 역시 마주했던 것들이었다. 그리고 나는 그 앞에서 늘 무력했다.

드라마 속 주인공들은 정면으로 맞선다. 때론 대립하고, 때론 전략적으로 움직이며 끝내 자신이 원하는 결과를 쟁취해낸다.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걸 안다. 불합리에 맞서 싸우다간 오히려 내가 잘려 나갈 수도 있고, 더 큰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 그래서 나는 참는다. 굴복한다. 그러면서도 마음속엔 억울함과 좌절이 쌓여 간다.

나는 가끔 상상해본다. 만약 내가 드라마 속 주인공이었다면? 병원에서, 야구단에서 그들이 했던 것처럼 나도 내 자리에서 싸울 수 있을까? 하지만 현실은 드라마와 다르다. 드라마에서는 주인공이 고난을 겪더라도 결국에는 자신의 신념을 지키고 변화를 이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다. 내가 어떤 부당함을 지적한다고 해서 시스템이 바뀌는 것도 아니고, 내가 혼자서 싸운다고 해서 구조적인 문제가 해결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나는 조직에서 눈엣가시가 되고, '말 많고 까다로운 사람'이라는 평가를 받을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드라마를 보면서 더욱 감정이입을 하게 된다. 주인공이 힘겹게 싸우고, 여러 방해에도 굴하지 않고 끝내 변화를 만들어낼 때, 나는 속으로 그를 응원하며 한편으로는 부러워한다. 내가 하지 못하는 일을 해내는 그들의 모습이 나의 대리자가 되어준다. 마치 내 속에 응어리진 감정들이 그들의 행동과 대사 한 마디로 해소되는 느낌이다. 그 순간만큼은 현실에서 참아야 했던 억울함과 분노가 조금이나마 풀리는 것 같다.

그러나 동시에 씁쓸함도 남는다. 드라마가 끝난 뒤 현실로 돌아오면, 나는 여전히 같은 자리에 서 있다. 변화하지 않는 조직, 변명만 늘어놓는 상사, 제대로 된 시스템 없이 돌아가는 일들. 결국 나는 다시 참아야 하고, 다시 현실에 순응해야 한다. 그러면서도 마음 속 한 편에는 계속 의문이 남는다. 정말로 어쩔 수 없는 걸까? 정말로 나는 아무것도 바꿀 수 없는 걸까?

드라마를 통해 얻은 카타르시스가 단순한 대리 만족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내게 작은 용기를 남겨주길 바란다. 물론 나는 드라마 속 주인공처럼 모든 걸 바꿀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초인이 아니다. 하지만 아주 작은 것부터라도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무리하게 맞서는 것이 아니라, 조금 더 현명하게 내 의견을 표현하고, 적어도 스스로 부끄럽지 않은 선택을 하는 것부터 말이다.

결국 현실은 드라마가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포기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작은 싸움이라도 해볼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조금씩 용기를 내다 보면, 언젠가는 나도 내가 바라는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

드라마는 끝나도 현실은 계속된다. 하지만 그들이 남긴 울림은 내 안에 남아 있다. 비록 나는 초인은 아니지만, 조금이라도 더 나아지고 싶다는 마음을 품고 현실을 살아간다. 나는 드라마 속 주인공처럼 극적인 변화를 만들지는 못하겠지만, 적어도 나만의 방식으로 현실과 타협하지 않는 방법을 찾아가고 싶다. 그리고 언젠가는, 나 역시 누군가에게 작은 울림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슬이아빠
25/02/16 04:22
수정 아이콘
추천합니다.
라온하제
25/02/16 10:31
수정 아이콘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글쓴분 말씀대로 중증외상센터 보면서 느꼈던 감정이 스토브리그를 보면서 느꼈던 것과 유사한 것 같네요.

스토브리그에서 백단장이 그랬죠,
'제가 없더라도 불합리한 것에 대해 저항해달라'

마음과 자세가 달라지고 조금의 변화를 추구한다면, 콩나물 시루에 물 주듯이 우리 사회, 조직이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것이라 생각합니다!
25/02/16 11:26
수정 아이콘
좋은 글이네요.
에프케이
25/02/16 13:22
수정 아이콘
두 드라마를 너무 재밌게 보고 좋아하는 사람으로 너무 공감가는 글입니다. 잘 읽었습니다.
바보영구
25/02/16 14:01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고맙습니다.
25/02/16 14:07
수정 아이콘
제가 이런류의 드라마 보면 뭔가 벅차고 나도 열심히 일해야지 라는 생각이 들때가 많은데
제가 감정을 글로 표현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4197 [일반] 태양광 산업 기사회생? [113] 如是我聞16388 25/05/18 16388 8
104195 [일반]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스트 액션 히어로. (노스포) [93] aDayInTheLife13221 25/05/17 13221 7
104194 [일반] 미신에 대한 생각 [25] 여기9615 25/05/17 9615 14
104193 [일반] AI 음악 딸깍! 도전해보기 [11] 여행의기술8973 25/05/16 8973 8
104192 [일반] 닭비디아 주가 [43] 퀀텀리프18093 25/05/15 18093 0
104191 [일반] <해벅> - 장점과 단점이 동시에 보인다는 것. (노스포) [7] aDayInTheLife8175 25/05/16 8175 1
104190 [일반] 북한은 과연 김주애가 권력을 승계받는게 가능할까요? [69] 독서상품권14797 25/05/15 14797 2
104189 [일반] 어쩌면 PGR의 미래? [45] bifrost10888 25/05/15 10888 4
104188 [일반] 중동외교의 대전환을 꾀하는 듯한 트럼프 [30] 크레토스9820 25/05/15 9820 1
104187 [일반] 유나이티드 헬스그룹의 행보가 매우 심상치 않습니다 [24] 독서상품권18958 25/05/15 18958 6
104186 [일반] 더 적게... 더 적게! 46키 키보드 [63] Kaestro8917 25/05/15 8917 12
104185 [일반] AI Agent와 MCP [12] 모찌피치모찌피치6193 25/05/14 6193 5
104184 [일반] 일본 여행중 지갑 잃어버렸다 찾은 썰.ssul [27] 오징어개임8487 25/05/14 8487 9
104183 [일반] 본조비... [38] a-ha10955 25/05/13 10955 5
104182 [일반] 걸레빤 물.. 평양냉면을 먹고 오다. [107] 김삼관13345 25/05/13 13345 4
104181 [일반] 고양국제꽃박람회에 다녀왔습니다 [11] 及時雨6875 25/05/13 6875 5
104179 [일반]  '주호민 아들 아동학대 혐의' 특수교사 항소심서 무죄 [205] 퍼그21366 25/05/13 21366 13
104178 [일반] 도재욱선수의 결승진출을 보면서... [37] 이영수`12477 25/05/13 12477 21
104174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6)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5 [6] 계층방정5234 25/05/12 5234 4
104173 [일반] 이제와서 데스노트(애니) 정주행을? [20] 김삼관6317 25/05/12 6317 1
104172 [일반] 미국이 대중 관세를 90일 간 연기하였습니다. [82] 김유라12983 25/05/12 12983 4
104171 [일반] 중드 추천 [오복임문] 소개 글 (스포 최소화) [15] 마음속의빛6274 25/05/12 6274 0
104170 [일반] [번역] 무역 포커에서 이기는 패: 미-영 경제 번영 협정 검토 [3] Q-tip9844 25/05/10 984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